김수안씨. 사진 김경애 기자
|
연변 출신 2006년 귀화한 김정호씨
출간기금 모으는중 큰아들도 사고사
중국 연변 출신 귀화작가 김정호의 유작인 역사소설 <동방명장 고선지>(3부작)와 한중 창작시집 <달빛의 언어>를 나란히 들고 지난주 <한겨레>를 찾아온 부인 김수안(50·사진·도서출판 미르 대표)씨는 뜻밖에도 밝은 모습이었다. “뒤늦게라도 책이 세상에 나와 남편 이름을 남길 수 있어서 다행스러울 따름입니다.”
길림성 백산에서 태어나 연변대학을 나온 고 김정호 작가는 1980년 한시로 중국 문단에 등단한 뒤 90년대 ‘대륙의 스타 시인’으로 활약했다고 한다. ‘장백산문학상’ 등 수상 기록도 화려하다. 그러다 한-중 수교 이전인 87년 해외한민족연구소 이윤기 소장과의 인연으로 남쪽 농촌 총각과 조선족 여성들의 결혼 주선 사업을 도와주면서 한국과 교류하기 시작했다. 89년 한국을 처음 방문한 뒤 문학과지성사의 주선으로 3개월간 머물며 <중국 당대 소설집>을 번역하기도 했다. 이어 베이징에서 아시아경제문화교류센터를 세워 본격적인 한-중 문화교류에 나섰다. 백낙청 교수의 문학평론집을 비롯해 고은 시인의 <만인보> 등 국내 여러 문인의 글을 중국어로 번역해 널리 알리기도 했다. 그러다 2000년 강원도 삼척 출신인 어머니를 모시고 온 가족이 서울로 이주했고 2006년엔 귀화해 정착했다.
“남편이 ‘중국 문단의 명성’을 뒤로하고 굳이 한국으로 돌아온 데는 평생토록 흰 셔츠만 고집하셨을 정도로 민족의식이 강했던 시아버지(김려춘)의 영향이 컸어요. 고선지 장군의 일대기를 필생의 작업으로 삼은 것도 한 시절 대륙을 호령했던 우리 민족의 기개를 후세에 전해야 한다는 나름의 소명 때문이었고요. 그래서 철저한 고증을 통해 역사 사료로 남겨야 한다며 2010년엔 고 장군의 3대 전투지를 직접 답사하기도 했으니까요.”
8세기 당나라 현종에게 멸망당한 고구려 유장의 아들인 고선지는 뛰어난 무예 실력과 지략으로 서역을 정벌한 맹장으로, 일부 서양 역사가들도 나폴레옹이나 한니발의 원정에 비견한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소설에서는 소년 시절부터 티베트군을 격파한 서역 파미르 원정과 이슬람군과 맞선 탈라스 전투 등 고선지의 활약상을 중국 사서를 토대로 150여명의 역사 속 인물을 등장시켜 화려하게 되살려놓고 있다.
“애초 2008년 고선지엔터테인먼트에서 <영웅 고선지> 드라마 제작을 위한 번역 의뢰를 받아 시작했다가 아예 극본으로, 다시 영화 시나리오로 계속 계획이 바뀌었다가 끝내는 모두 무산되고 말았어요. 남편이 떠난 뒤 유고들을 정리하다 보니, 사고 직전 한 출판사와 출간 계약을 맺어놓았더라고요. 그런데 그쪽에서 책을 내기 어렵다며 계약을 취소했어요. 그래서 직접 나서서 책을 내줘야겠다고 결심했죠.”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는 서평을 통해 “시인이자 소설가, 평론가, 번역가로서 한국 문학에 값진 이바지를 하던 김정호 선생이 갑작스러운 사고로 세상을 떠난 것은 못내 안타까운 일”이라고 토로하면서도 “다행히 작고하기 전에 그가 완성해놓은 소설이 간행되니 반갑기 그지없다”고 썼다.
연변 출생으로 연변대 사대에서 음악교육을 전공한 김씨는 방송예술단에서 바이올린 주자로 활동하다 재혼인 김 작가와 15살의 나이 차를 넘어 88년 결혼했다. 남편의 꿈을 쫓아온 낯선 서울에서 전공을 살릴 기회를 찾기 어려웠던 그는 온갖 비정규 일거리를 하며 가족의 생계를 도맡다시피 했다. 이 때문에 출판 사업엔 문외한이었던 그는 이번에 기획·디자인·교정·감수·섭외·배급·홍보까지 모든 과정을 새로 배워야 했다.
“아직도 남편이 남겨 놓은 원고들이 많아요. 중문으로 쓴 시들도 있고요. 위안부 피해자의 실화를 다룬 소설 <검은 나비>(필명 정호)는 2006년 1·2권이 나왔는데 전 5권까지 완성을 짓고 싶어요. 무엇보다 ‘고선지’를 직접 영화로 만들고 싶어 했던 남편의 마지막 꿈이 이뤄졌으면 좋겠어요.”
남다른 시련을 ‘가족애와 의지’로 이겨낸 그의 표정에서 그늘은 찾아볼 수 없었다.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