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지린성 연길시 연변일보 사옥에서 바라본 연길시 야경. 화려한 고층 건물과 조명 사이로 많은 자동차가 지나고 있어 경제발전 상황을 가늠할 수 있다. ·연길=박형민 기자 | ||
조선 말~일제강점기 우리민족 대거 이주 / 이건산업·쌍방울 등 국내기업 '성공 신화'
연변은 중국 길림성 산하 조선족자치주다. 연길·용정·도문·혼춘·화룡·돈화 등 6개 시와 왕청·안도 등 2개 현으로 구성됐다. 자치주의 주도(州都)는 연길시로, 전주와 비슷한 60만명 정도가 살고 있다. 연변 전체 인구는 227만명이며, 조선족 인구는 80만명으로 대략 35%를 차지한다. 이전에는 북간도로 불렀으며,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에 걸쳐 우리 민족이 대거 이주하면서 중국 교포들이 집단으로 거주해온 곳이다.
1952년 자치구가 설립되고, 1955년 자치주로 변경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자치주 주장은 간접선거로 선출하고 있으며, 당위원회와 행정의 투톱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동안 한국에서 힘들었던 중소기업들이 새로운 활로를 찾아 중국 연변에 진출했지만, 대부분 성공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이건산업, 쌍방울, 인삼공사, 백산생수 등 규모 있는 기업들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목포 출신의 정영채 성보그룹 회장은 호텔과 백화점에서 큰 성공을 거둔 연변의 신화다.
올 한 해 연변의 화제는 단연 연변을 연고로 한 축구팀의 1부 리그 진출이다. 박태하 전 국가대표 감독이 이끄는 연변팀이 갑급리그에서 우승하며 연변 교포사회를 축구로 똘똘 뭉치게 했다.
▲ 연변대 전경. |
전북일보와 교류 협약을 한 연변일보가 중국 교포들의 자긍심을 높이는 데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1948년 창간된 연변일보는 중국내 최초의 조선족 종합일간지며, 연변조선족자치주 당위원회 기관지다. 60여년에 걸쳐 우리겨레의 역사를 기록했으며, 중국 전역에서 민족의 활강을 집중조명해왔다. 중국어판과 별도로 한글판을 내고 있는 이 신문사 현관에 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조형으로 새긴 것이 인상적이었다.
연길시에 있는 연변박물관도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있는 데 일조를 하고 있다. 중국의 100대 중점 박물관이기도 한 이곳은 중국에서 우리 민족의 전통 풍속이 어떻게 지켜지는지 3000여점의 민속문물이 보여준다.
연변을 찾는 한국인들에게 도문시는 민족분단의 아픔을 느끼게 하는 곳이다. ‘눈물 젖은 두만강 ‘의 배경지인 도문공원에서 두만강을 사이에 둔 북한 땅이 바로 눈앞에 들어온다. 이번 방문에서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 속에서 지게를 진 북한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북한이 고향인 사람들 중에는 이곳에서 눈물을 흘리거나 통곡하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