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현 내두산촌의 가을빛 전경.
중국조선족은 조선반도에서 두만강과 압록강을 건너 중국대륙에 천입한 민족으로 강의 애환을 담고있는 민족이다. 그래서 유명한 가곡 “눈물 젖은 두만강”이 있고 조선족의 이민사를 담은 최홍일의 장편소설 “눈물 젖은 두만강”이 있다. 그러나 강을 건너지 않고 중국대륙으로 천입한 조선족이 있고 그들로 구성된 조선족 마을이 있다는것을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그곳이 바로 하늘아래 첫 동네라고 하는 안도현 이도백하진 내두산촌이다.
1926년에 조선 양강도 갑산지역에서 건너온 몇몇 수렵호들이 내두산 동쪽 기슭에 산재하면서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이들은 유독 강을 건너지 않고 조선 갑산에서 중국 장백산 기슭을 넘나들었는데 그 길목은 두만강 발원지의 웃쪽으로 중국과 조선 변경에서 유일하게 땅으로 이어진 곳이다. 내두산촌의 촌명은 한때 도산으로 불렸던 내두산에서 기원했는데 내두산의 두 산봉우리는 녀인의 가슴을 방불케 한다. 이 역시 관광의 한 공간으로 현재 백하림업국 광명림장에서 이곳에 경마장을 운영하고있다.
산재호로 시작한 내두산촌은 1930년대초에 이르러 비교적 큰 마을로 발전하였다. 이 시기 일본군들은 집단부락을 건설했는데 가장 특징적인것은 마을 주변에 토성을 쌓은것이 아니라 아름드리 이깔나무를 벌목하여 목책을 두른것이다. 목책의 높이는 3메터 가량이고 목책에 사용된 이깔나무의 직경은 50cm에 달했다고 한다. 1970년 초까지 이 목책은 1메터 높이를 보존하고있었고 현재에도 몇 곳에 반메터 가량의 목책흔적이 남아있는데 새해부터 일부를 복구할 예정이다.
1936년~1937년 사이 동북항일련군 제1로군 제6사가 내두산에 진주하여 항일근거지를 개척했다. 이 시기 동북항일련군의 명장 왕덕태도 내두산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항일유적비가 세워져있다.
장백산 아래 첫 동네인 내두촌은 원시림과 조선족촌이라는 독특한 인문경관으로 여러번 영화촬영지로 선정되였는데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1991년에 제작한 예술영화 “하얀 꽃” 중의 일부 장면은 내두산촌에서 촬영되였고 장춘영화촬영소에서 제작한 “장백의 아들”도 이곳에서 촬영되였다.
내두산촌에서는 중국조선족전통장례문화를 지금까지 지켜가고있는데 아직도 촌에서는 상여회를 운영하면서 상여로 장례를 치른다. 금년 9월, 내두산촌에서는 중국조선족전통장례문화를 다시 복구하기 위해 상여를 수건했는데 흑룡강성 할빈시의 한 문화단체에서 중국조선족전통장례문화를 그대로 담은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였다. 이를 계기로 금후 내두산촌을 중국조선족전통장례문화촌으로 꾸려갈 타산이다.
내두산촌의 조선족민속촌은 해마다 많은 국내외관광객을 유치하여 적지 않은 수입을 올리고 있다.
“일찍 1950년대에 주덕해 주장께서 우리 촌을 방문하고 촌의 발전에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촌에서는 민족의 풍속을 잘 지켜나감과 동시에 장백산관광구역의 조선족 첫 동네라는 유리한 조건을 이용하여 조선족민속촌을 잘 꾸려나갈 의향입니다. 촌에서는 들쭉나무를 심었는데 앞으로 들쭉수입이 만만치 않을것 같습니다. 또 야생 매조열매의 개발에도 신경 쓸 생각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명년에 들쭉축제와 매조축제를 벌려 우리 동네를 세상에 크게 홍보할 타산입니다.” 내두산촌 전호산촌장의 말이다.
연변일보 글·사진 김인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