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1일 ~24일 비교문화학자 김문학씨는 무한에 “원정”하여 원 무한대학 철학계 교수이며 현 화중과학기술대학 철학계 교수인 등효망 (邓晓芒)과 여러차례 심층적인 문화대담을 나누었다.
등교수는 당대 중국인문학의 대표적학자의 한사람으로서,중국고전철학계의 권위로 꼽히는 대가이다. 중화외국철학사학회 상무이사 ,《독일철학》주필이며 장기간 서양고전철학의 연구와 규명에 종사하였으며 또한 현대 서양철학,맑스주의철학, 미학,중서철학과 문화비교 ,문예이론과 문학평론에 걸쳐 많은 업적을 쌓았다.
등교수는 사회비판과 사회문제에 적극 참여하여 "신실천미학"과 "신비판주의"이론을 창립한 학자로도 유명하다.또한 당대 유명한 현대 모더니즘소설의 기수로 불리는 잔설(残雪)의 오빠로서 ,잔설과 함께 문학과 미학에 관한 대담집을 내기도 하면서 활발한 비평활동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문학씨는 이번에 등효망 교수와 《중국의 계몽은 왜 필요한가?》란 주제를 둘러싸고 문화,철학,사상,신앙과 학술부패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화제로 4차례나 심층적인 대담을 하여,서로가 박람강기와 독특한 견해를 피로하는 대화의 무대를 펼쳤다.(조글로사이트 김문학코너에 곧 전문 발표)
또한 22일 오후 동효망교수의 초청으로 김문학씨는 화중과학기술대학 인문학원 철학계 연구생과 고급학년 학부생을 상대로 "중일한문화의 비교"란 타이틀로 강연을 하였다.
김문학씨는 이번 강연에서 주로 "일본,일본 문화란 무엇인가?"를 비교 ,해명하는 내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김문학씨는 강연에서 "1949년이래 중일의 상호인식,연구를 비교해보면 중국에 대한 일본의 연구,인식의 심도와 폭에 대조해 보아도 중국의 일본인식,연구는 상당히 후진적이다.일본이 중국을 아는만큼 중국이 일본을 알자면 이데올로기적 정치에 편향하는 인식방법론을 시정해야하며 정치외에도 지극히 중요한 "문화의 일본 "을 이해하는 것이 급선무다 "고 지적했다.
강연중에 김씨는 일본과 일본문화에 대한 중국의 보편적 비틀어진 고정관념 "상식"에 대해 바로잡는 내용을 이야기했다.
이를테면 우리가 흔히 착각하고 있듯이 "무사문화"는 야만이 아니라 일본의 사대부(지식인)문화로서 중,한보다 일본의 지식인이 칼을 차고 행동하듯이 실천력에서 뛰어났기에 지식과 행동으로 동아시아에서 솔선으로 근대화를 이루었다고 지적했다 .
그리고 일본인은 중국,한국인의 전통적 의식구조중의 적아불공대 천(敌我不共戴天)의 그것과는 달리 ,적아라도 영용하게 싸우다가 전사하면 그 영혼을 존중하고 기리는 "적아쌍방영혼평등"의 관념을 갖고있으며 일본인이 이토히로부미를 암살한 적수 안중근을 기리고 모셔오는 실례,항일전쟁때 국민당병사와 전투중,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한 중국병사를 위해 위령비를 세운 많은 실례를 들어서 설명을 하였다.
청강자들은 “우리가 미처 모르거나 오해했던 일본문화의 참모습에 대해 비교 ,해석해 주셔서 교과서에 안나오는 ‘일본문화 특강’이 되였다”고 평했다.
결론에서 김문학씨는 일본을 이기려면 정서적인 대응보다는 실제적으로 소프트파워 (软实力),문화력을 키우고 국민소질을 높이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이번 특강에 대해 등효망 교수와 박사생들은 입을 모아 "진짜로 김교수는 귀를 챙 챙 울리는 (振聋发聩)신선한 강의를 해주셔서 정말 학술적 수확이 컸다 "고 말했다.
김문학씨는 최근 중일한 국제문화연구원의 학술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중국에서 "중국 일류인문학사회학 지성,학자 작가들과 시리즈 문화대담"을 펼쳐 학계와 문화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조글로사이트 연재중)
조글로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