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연변인민출판사 항전승리 기념도서 륙속 출간
조글로미디어(ZOGLO) 2015년9월23일 12시51분    조회:1128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연변인민출판사에서는 항일전쟁 승리 및 세계반파쑈전쟁 승리 70주년을 맞으면서 가렬처절했던 항일전쟁에서의 조선족과 관련된 내용들로 만들어진 조선문도서들을 륙속 출판하고있다. 아래는 최근에 출판되여 독자들과 대면하였거나 곧 대면하게 되는 기념도서들이다.

《항일련군의 조선족녀전사들》 (리광인 림선옥 김창석 편저)

가렬처절했던 항일의 나날에 11개 군으로 무어진 동북항일련군의 조선족장병들은 민족 독립과 해방을 위하여 피끓는 청춘과 고귀한 생명을 바쳤다.그들중에는 가녀린 몸으로 총대를 잡고 나서서 청춘도 사랑도 생명도 선뜻이 바치고 자식도 가족도 희생하면서 자랑스럽고 눈물겨운 력사를 쓴 조선족녀전사들도 적지 않다.

이 책에 수록된 49명 녀전사들은 그녀들중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항일련군 녀전사들, 피어린 전쟁의 년대에 중화민족의 영웅군상을 이룬 그녀들의 사적은 처절하고 감동적이고 눈물 없이는 읽을수 없는, 세계 반파쑈전선에서 그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자랑찬 력사이다.

《항일련군의 조선족녀전사들》은 오늘날 청소년들이 항일투사들의 간고한 투쟁생활을 리해하고 오늘의 행복을 소중히 여기도록 가르칠수 있는 귀감으로 될것이다.

《중국조선족꼬마항일영웅들》 (리광인 림선옥 저)

겨레의 항일 아동단과 소선대원들의 거룩한 항일이야기를 엮은 도서이다.

수천명에 달하는 조선족아들딸들이 피어린 항쟁에서 희생되였다. 그들중에는 나어린 아동단원들을 망라한 꼬마항일영웅들ㅡ항일 아동단과 소선대원들도 있다. 그들의 이야기는 실로 눈물과 감동 없이는 읽어내려갈수 없는 파란만장한 드라마와 같다.

《중국조선족꼬마항일영웅들》에 오른 소년렬사들과 항일이야기 대부분은 저자가 소년렬사들의 피어린 발자취를 추적하면서 널리 조사하고 정리해낸 생생한 자료들에 바탕을 두고있어 더구나 감동적이다.

이 책은 소년렬사들의 전기와 항일이야기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10대 소년들만이 아닌, 어른으로 성장한 항일선렬들의 어린 시절 항일이야기도 다각도로 수집하여 립체적으로 다루었는바 청소년들에 대한 애국주의교양에서 중요한 자료로 될것으로 기대된다.

《승리의 기록》 (최삼룡 편)

기념문집에는 중국공산당문헌으로부터 항일사건들에 대한 해석, 항일투사들의 회상기, 항일투쟁시기의 우리 민족의 삶을 반영하면서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불타는 적개심을 나타내고 항일영웅들을 가송한 소설, 항일투쟁중에서 창작되고 공연된 연극, 20세기초 즉 항일투쟁 반세기에 류전된 설화작품 등이 실렸다.

중국조선족은 20세기 상반기 일본제국주의와의 피어린 투쟁중에서 불의와 압제에 도전하는 혁명정신과 원쑤와 용감히 투쟁하여 최후의 승리를 쟁취하는 생명저력을 세상에 과시하였으며 반만년 력사행정에서 쌓아온 민족 고유의 전통문화를 남김없이 빛내였다.

기념문집은 항일전쟁 승리 70돐을 기념하는 승리의 기록으로서 수백만자에 달하는 항일투쟁기록에서 후대들의 공부와 후대들에 대한 교육에 도움이 될만한것들을 선록하였는바 중국조선족항일투쟁사에 대해 쉽게 읽을수 있는 보급용 간략독본이 될것이다.

《항일가곡선집》(남희철 주필)

항일전쟁시기 우리 민족이 즐겨 불렀던 노래 200수를 선정하여 엮었다.

《8년항전》으로 일컬어지는 중국의 전면적인 항일전쟁시기에 우리 민족은 중국의 광활한 대지에서 성스러운 항일전쟁에 앞장서서 일본제국주의침략자들과 결사전을 벌이는 한편 군민들에게 항일 의지와 용기를 북돋우어주고저 수많은 항일가곡들을 만들고 불러왔다.

간고했던 항일전쟁의 나날을 회고하고 항일전쟁에서 희생된 선렬들을 추모하고 이들의 유지를 되새기면서 출간된 《항일가곡선집》은 항일가곡을 사랑하고 대를 이어 애창하면서 영웅적인 항일렬사들의 정신이 길이길이 전해지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담기도 했다.

《항일전쟁과 중국조선족》 (김춘선 주필)

중국조선족의 항일투쟁력사는 다른 민족들의 항일투쟁보다 일찍 시작되였고 또한 걸어온 길 장려하면서도 험난했다. 보통 중국에서의 항일전쟁시간을 두고 《관내의 8년 항전》, 《동북에서의 14년간의 항일투쟁》이라고 일컫고있다. 그러나 동북에서의 중국조선족의 항일투쟁은 20세기초에 있은 《일로전쟁》후의 1907년부터 1945년에 이르기까지 장장 38년이라는 피어린 투쟁의 력사를 경유하였다고 할수 있다.

중국조선족은 중국공산당의 정확한 령도하에 앞사람이 쓰러지면 뒤사람이 이어가면서 항일전쟁의 최후승리를 쟁취하였다. 허허벌판 만주벌에서 눈바람을 이겨내며 주야장천으로 싸운 중국조선족항일투사들, 령어의 몸으로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갖은 혹형을 당하다가 차거운 쇠사슬을 찬채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항일지사들 그리고 지금까지도 산천황야의 무주고혼이 되여 심산의 어느 밀림속에 소리없이 누워있는 항일영렬들의 거룩한 넋은 세세손손 멀고먼 후세까지 전해지리라 믿어의심치 않는다.

길림신문 김태국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215
  • 民国文人的爱情,生死契约,与子成说,从来不是空口白话 爱情是什么,相信不同的人会有不同的回答。 爱情是初见时,你惊艳了我的时光,从此人间无数繁华,我只爱你的笑靥如花。 爱情是分隔千里,剪不断的绵绵思念,纵是山高路也长,也阻挡不了我们在梦里相聚。 爱情是眼里有光,身边有你。不负这山河万里,不负岁月悠长,执...
  • 2019-06-23
  • 전국 조선문 주류 매체중 첫 칼럼상으로 주목 영광의 수상자들. 왼쪽으로부터 박광성, 김혁, 황유복, 우상렬, 모동필. 길림신문사에서 주최하고 통화청산그룹에서 후원한 《길림신문》 제1회 ‘두만강’ 칼럼상 시상식이 6월 20일 장춘 본사 회의실에서 있었다. 전국 조선문 주류 매체 가운데서 제일 처음으로 설...
  • 2019-06-20
  • ‘송화강’잡지 창간 60주년 기념 계렬행사 열려 60돐 생일을 맞은 ‘송화강’이 그동안 걸어온 감동의 려정을 되돌아보고 앞날을 다지는 의미있는 행사를 가졌다.  ‘송화강’잡지(주필 리호원, 할빈시조선민족예술관 소속) 창간 60주년 기념식 및 ‘송화강’ 문학상 시상식...
  • 2019-06-17
  •  제18회 중국 포석조명희문학제 및 포석청소년문학상 시상식이 10일 할빈시조선족제1중학교에서 열렸다.       한국포석조명희기념사업회, 연변포석회, 흑룡강성조선족작가협회에서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에 한국에서 온 5명의 시랑송가들과 할빈조1중 2명 학생의 시랑송, 그리고 30여 명 소녀합창단의 정...
  • 2019-06-12
  • 단편소설집 `내 여자친구의 아버지들` 낸 김경욱 진지함·찌질함 공존하는 소설 우연 부딪힌 인간 모습 그려 "한 인간의 生을 들여다보는 건 우주 들여다보는 일과 같아"   현미경으로 보면 근엄한데 망원경으로 보면 폭소를 자아내는 이형의 세계다. 작가 표현을 빌려 저 폭소를 환언하면 `찌질함`쯤 되시겠다...
  • 2019-06-10
  • 건국 70주년을 맞아 다양한 활동을 준비하고 있는 연변작가협회 시가창작위원회에서는 6월 8일부터 9일까지 이틀간 두만강 1번지로 불리는 화룡시 숭선진에서 현지창작활동을 진행하였다. 상천촌의 고추장공장에서 정황을 소개하고 있는 로현철서기(좌5) 연변작가협회 부주석이며 시가창작위원회 주임인 김영건은 &ld...
  • 2019-06-10
  • 브란튼베르그… 여성 웹사이트 '메갈리아' 유래된 '이갈리아의 딸들' 소설가 인터뷰   페미니즘 입문서로 불리는 소설 '이갈리아의 딸들'(민음사)을 쓴 작가 게르드 브란튼베르그(77)는 기자를 보자마자 물었다. "왜 한국에서 내 책이 다시 잘 팔리기 시작한 거죠?" 1996년 국내에 번역...
  • 2019-06-07
  • "한국 무당 만나고 싶다…차기작 '판도라의 상자' 주제는 환생" (서울=연합뉴스) 이승우 기자 = 한국에서 특히 인기가 많은 프랑스 베스트셀러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5일 "우리가 왜 태어났을까, 죽으면 어떤 일이 펼쳐질까, 스스로 질문하지 않으면 우리 삶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베르베르는 이날 ...
  • 2019-06-05
  •    본사소식 료녕성조선족문학회에서 주최한 "시와 시인의 만남, 오이오시합평회"가 5월 25일 심양 료녕성조선족문학회 사무실에서 진행되였다.    이번 "시와 시인의 만남, 오이오시합평회"에는 80고령의 로선배님들을 비롯해 한국에서, 청도에서, 단동에서, 환인에서 멀다하지 않고 달려온...
  • 2019-05-28
  • 2019년 제4회 연변청소년시조백일장 도문서  착상이 뛰여난 아이디어  통통 튀는 시어   170여명 조선족청소년들이 참석한 시조대잔치- 제4회 연변청소년시조대잔치가 5월 25일 도문시 국문생태원에서 펼쳐졌다. 올해의 시조백일장은 '조선언어문자의 날' 5주년을 맞으며 치러지는 시조대회여서 그...
  • 2019-05-27
  • 중화인민공화국 창건 70돐에 즈음하여 통화청산그룹 후원으로 《로년세계》에서 ‘설봉컵’ 생활수기 응모를 벌린다.   응모제재: 중로년생활을 주축으로 에워싸고 서로에게 보귀한 거울로 될 수 있는, 남녀로소들이 살아가면서 얽히고 풀어가는 세상만사가 응모범위에 들어갈 수 있다.   쟝르형식: 생...
  • 2019-05-25
  • 연변시랑송협회 송미자 회장에 따르면 건국 70주년을 맞으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의 떳떳한 일원으로 우리 말과 우리 글을 쓰면서 살아가는 조선족들의 민족문화정서를 고양하고 시랑송문화를 한층 높은 차원에 끌어올리기 위하여 연변주조선언어사업위원회(번역국)와 연변작가협회가 주최하고 연변시랑송협회가 주관하는 가 ...
  • 2019-05-21
  • 북산 정자를 찾은 시인들. 연변시인협회 20여명 시인들은 5월 18일과 19일, 이틀동안 도문시 석현진 수남촌에서 현지창작활동을 하면서 이 마을의 력사와 전통문화, 새시대 농민들의 생활모습을 깊이있게 료해하였다.  연변시인협회 전병칠 회장은 활동에 앞서 “전국선진기층당조직, 국가급 전통부락, 길림성문...
  • 2019-05-21
  • 이탈리아 유력신문 인터뷰 …‘표절사태’ 침묵 이후 4년만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소설가 신경숙이 문재인 대통령의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대화 노력을 지지하며,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 작가는 지난 4월17일 소설 ‘리진’의 이탈리아어 번역·...
  • 2019-05-20
  • 조선족 청년작가들의 모임‘팔구쟁이’문학좌담회 중앙민족대학에서 ★‘팔구쟁이’란 해내외 거주 조선족 80, 90후 글쟁이들이 문학을 주제로 문학 정보와 소식 등을 공유하고 토론하고 소통하면서 조선족 문단의 친목을 도모하려는 취지로 2017년 11월에 개설한 위챗그룹이다. “쓰다가 읽다가...
  • 2019-05-15
  • 제6회중국조선족호미문학상 공모   2014년부터 중국조선족문인들을 상대하여 펼쳐 온 『중국조선족호미문학상』을 올해에도 제6회로 공모하게 되였다. 지구촌에 흩어져 살고 있는 우리 민족동포들에게 우리 민족의 언어와 문자를이어가면서 민족의 정체성을 재인식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 믿어...
  • 2019-05-14
  • 《死水》 闻一多 这是一沟绝望的死水, 清风吹不起半点漪沦。 不如多扔些破铜烂铁, 爽性泼你的剩菜残羹。 也许铜的要绿成翡翠, 铁罐上绣出几瓣桃花; 在让油腻织一层罗绮, 霉菌给他蒸出些云霞。 让死水酵成一沟绿酒, 漂满了珍珠似的白沫; 小珠们笑声变成大珠, 又被偷酒的花蚊咬破。 那么一沟绝望的死水, 也就夸得上...
  • 2019-05-05
  • 《写在五四青年节前》   青春,   是坚韧的草。   纵然在风沙岩石间,   吐翠的意志, 何曾被磨灭;   青春,   是烂漫的花。   那料峭的春寒,   最终会被它的热情驱逐, 绽放在和煦的圃中;   青春,   是动人的歌。   何曾有过丝毫的凄怨,   尽管窗外飘零的, 是深秋的落叶;   青春,   是绚...
  • 2019-05-05
  • 이윤석 전 연세대 교수, 황일호 문집서 홍길동 일대기 찾아 "한글 홍길동전은 18세기 후반에 나온 작자 미상 소설" 황일호 문집에 나오는 홍길동전붉은색 선 안이 제목인 노혁전(盧革傳)이다. 푸른색 선 안은 "성은 홍(洪)이고, 그 이름은 길동(吉同)"이라는 뜻이다. [이윤석 전 연세대 교수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
  • 2019-04-24
  • 작가 이외수.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지은 인턴기자] 작가 이외수, 전영자 부부가 졸혼의 형태로 결별한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우먼센스’ 5월호에 따르면 이외수 부부는 지난해 말부터 별거에 들어갔으며 이혼 논의 끝에 졸혼의 형태로 결별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이외수 작가...
  • 2019-04-23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