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한동포문인협회 부회장 변창렬시인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그에게서는 삶의 거의 모든것이 시로 표현되고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변창렬한테는 “사랑도 시고 증오도 시다.”, “좋은건 좋아서 시고 나쁜건 나빠서 시다. 고운건 고와서 시고 미운건 미워서 시다. 즐거워서 시고 괴로워도 시다…”
변창렬시인(1958년생)은 길림성 서란현에서 출생한 농촌토배기다. 1976년 서란조선족고중을 졸업하고 시공부에 애착하면서 1979년 《도라지》잡지에 시 “행군”으로 데뷔, 그로부터 10년간 《연변문예》, 《도라지》, 《길림신문》 등에 선후로 60여수를 발표하는 실적을 쌓기도 했다. 그중에는 가사 “바가지타령”은 히트곡으로 애창되기도 했다. 1981년 《연변문예》 제11기에 발표된 시 “어머님”은 그 이듬해 중앙민족출판사에서 편찬한《자치주창립 30돐 서정시선집》에 수록되는 성과도 올렸다.
한창 시재가 하루 다르게 꽃피는 시기이였던 지난 세기 90년대, 생계를 위해 변창렬시인 역시 20여년간 절필해야 하는 고배를 마셨다. 인생의 황금시기에 잠시 시쓰기를 그만두었던것이다. 어쩌면 간고하고도 험난했던 삶의 현장은 오늘날 변시인이 시단으로 재데뷔하는 산실로 되였는지도 모른다. 비록 그동안 시를 접고 중국의 연해지역과 한국땅에서 품팔이, 개체기업, 식당, 류통장사 등 갖은 떠돌이생활을 했지만 그러면서도 그는 끝끝내 시를 버리지 않았다. 항상 메모지와 필을 갖추고 다니다가도 령감만 떠오르면 기록해두었다. 그리고 아무리 고되더라도 저녁이면 그것들을 정리해두군 했다. 그러는 변창렬시인에게 동료들은 “푼전 1전도 나오지 않는 그 짓거리 왜 하냐.”라고 핀잔을 주면 그는 “사람 사는게 그게 아니야. 난 시를 쓰지 않으면 못살아.”라고 항변하군 했다.
한국에서의 고된 삶의 현장에서도 그는 간혹 명성이 있는 시인이 특강을 한다는 소식만 들으면 열두밤중이라도 찾아갔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부산에서 대구로, 포항, 호미곶으로, 대전으로 시공부를 위해서라면 한국의 그 어딘들 가보지 않은 곳이 없다.
그렇게 변창렬시인은 지난 20여년간 갈고 닦은것들을 토대로 2013년에 재등단했다. 그는 한국의 거의 모든 노가다판을 전전하면서 자기만의 인생행로를 개척했고 자기만의 개성이 뚜렷한 시풍격을 갖추었다. 그리하여 짧디짧은 4년간에 선후로 《연변일보》, 《연변문학》을 비롯한 국내 문학잡지부간과 한국의 신문잡지들에 근 200여편의 시를 발표했고 두만강문학상, 《도라지》문학상, 재한동포문학상, 한국국회문화상, 문학바탕시인 신인상, 중한문화교류 공헌상 등 십여차 수상하는 영광도 지녔다.
변창렬시인은 재한동포문인협회 부회장으로서 그 역할도 착실하게 발휘해가고있다. 그는 또《연변일보》, 《길림신문》, 《흑룡강신문》, 《도라지》, 등 신문과 잡지 그리고 한국의 문학지들에 “재한조선족문인 현장시특집”을 묶어 발표하면서 재한조선족시인들에게 활무대를 만들어주었다. 스마트폰 위챗을 리용해 재한조선족문인 시살롱도 조직해 시인들이 매일 이 공간에 신작을 발표하는가 하면 경험담도 교류하면서 서로 함께 진보하는 모습을 보여 재한조선족문인들로부터 호응을 얻고있다.
시인 허창렬씨는 그를 “인천앞바다의 거세찬 바람에 잘 그을은 튼실한 어부들처럼 감실감실하다. 초겨울의 감나무에 대롱대롱 매달린 홍시처럼 얼굴색이 불깃불깃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동안 중국과 한국의 대도시들에서 30여년간 활보하면서 큰 세상을 보아왔지만 변창렬시인은 항상 자기는 길림성 서란산골의 “촌놈”이라고 우긴다. “촌놈이 어때서? 생태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최고야.”시골농부의 순박한 심성, 직심스러운 기질로 모든 문인을 포옹하고저 애쓰는 그의 사람냄새를 느끼게 하는 한마디다.
매일 아침 5시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저녁 늦게까지 일하면서 번 돈으로 자신을 찾아온 모든 손님들에게 소주 한잔에 따스한 국밥 한그릇이라도 대접하고야 밝은 웃음을 피우는 변창렬시인, 그래서 동료문인들은 그를 호방한 묵객 김삿갓, 봉이 김선달에 비유하기도 한다.
연변일보 장경률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