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판권수입으로 부자된 인터넷 소설가들
조글로미디어(ZOGLO) 2017년2월13일 08시33분    조회:1357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 인터넷작가들이 쓴 인터넷소설이 영화, 게임, TV드라마 등으로 만들어지며 수천만원의 수익을 내는 문화콘텐츠로 떠올랐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모바일 독서앱을 통해 전자책을 내려받아 읽는 독자층은 무려 6억명, 거대한 전자책 독자층들은 중국 전자책 시장을 미국에 이은 세계 2위에 올려났다. 한편으로는 신흥 백만장자들을 탄생시키고있다. 글솜씨 하나로 1년에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을 벌어들이는 온라인 소설가들이 부지기수이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중국에서는 온라인 문학이 큰 돈이 된다”며 성공한 인터넷 소설가 당가삼소(唐家三少,본명 장위)의 사례를 소개했다.

당가삼소는 지난해 인터넷소설 《두라대륙》(斗罗大陆)의 출판수익 및 각종 판권 계약으로 약 1680만딸라를 벌어들였다. 이는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인 스티븐 킹 등에 견줄만한 수준이라고 NYT는 설명했다.

중국 인터넷 소설가의 활약은 장위만이 아니다.

지난해 11월, 중국 인기 온라인 소설 작가들의 2015년 판권가격이 공개됐다.

중국의 모바일 및 온라인 독자들 사이에 최고 스타로 통하는 탕가삼소(1981년 생)의 2015년 판권수입은 1억 1000만원, 랭킹 2위인 천잠감자(天蚕土豆, 본명 리호, 1989년생)는 4600만원, 3위 양진동은 3800만원을 각각 벌어들인것으로 집계됐다. 상위 10위 작가들은 모두 1000만원이 넘는 판권수입을 올려 우리 사회의 신흥부호 대렬에 합류했다. 불과 3년전인 2012년에 비해 이 인기 작가들의 판권가격은 무려 17배 수준으로 폭등했다. 놀라운것은 이들 대부분이 1980년 이후 태여난 20, 30 대 젊은 작가들이란 점이다. 휴대폰 사용자가 무려 7억명에 육박하는 중국에서 이들은 감각적인 필력으로 모바일시대 독자들의 감성을 파고들며 일약 백만장자 대렬에 합류했다.

1위 전자책 기업 “차이나 리딩”의 리용자와 작가 규모

중국 1위의 전자책 기업 “차이나 리딩”은 중국의 대형 포털 텐센트의 계렬사인데 휴대폰용 독서앱과 웹사이트를 통해 전자책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들의 핵심 수익모델은 “프리미엄”, 즉 제한적인 무료 콘텐츠로 독자들을 끌어들인 뒤 이를 유료로 전환하는것이다. 인기 온라인 작가의 작품이 나오면 처음에는 무료로 공개해 독자들의 반응을 살핀다. 그러다가 작품이 흥행몰이를 할 조짐을 보이면 바로 유료로 전환하는것이다. “차이나 리딩”의 경우 모바일과 웹에 등록된 독자만 무려 6억명이다. “차이나 리딩” 1개 회사만 해도 계약을 하고있는 작가가 무려 400만명이다. 여기에 매년 1만명의 신진작가들이 부자의 꿈을 좇아 시장에 뛰여들고있다. 인기작가는 한달에 50만원 수준의 수입을 보장하며 창작의욕을 자극한다. “차이나 리딩”의 오문휘대표는 “좋은 작품은 충분한 보상을 할 때 나온다”고 밝히기도 했다.

인터넷 작가 신흥부자대렬 진입은 판권수입 덕분

작품이 영화나 TV드라마, 게임으로 만들어져 국내 혹은 해외 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할 경우 작가들은 말 그대로 돈벼락을 맞는것이다. “차이나 리딩”의 한해 30, 40 편의 작품이 다른 쟝르로 만들어져 대박을 터뜨린다. 오문휘를 비롯한 중국의 전자책 기업가들은 그래서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처럼 전세계 시장에서 신드롬을 불러일으킬 메가 히트작을 꿈꾼다. 전자책 업체 “차이나 리딩”은 400만명의 작가집단이 매년 1000만편의 작품을 제공하고 매일 3억명이 이를 읽는다. 대표적인 전자책마트인 당당닷컴은 2016년 매출이 140억원으로 1년만에 30억원이 늘어났다. 지난 한해 당당닷컴을 통해 한권 이상의 전자책을 산 사람은 4000만명에 이른다. 아마존중국도 자사의 전자책 “킨들”사용자가 월간 기준으로 41배나 늘어났다.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기업인 어낼리시스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전자책 시장은 118억원을 기록했다.

중국 전자책 독자층의 60%가 30세 미만 청년층

전자책 성장은 독자들의 독서습관 변화가 뒤받침됐다. 중국 인쇄출판 아카데미에 따르면 책을 읽을 때 전자기기를 통해 독서를 하는 독자층의 비률은 2013년에 이미 전체 독자층의 절반을 넘어섰다. 중국일보에 따르면 중국 전자책 독자층의 60%가 30세 미만의 청년층이다. 특히 이들의 91%는 휴대폰으로 책을 읽는 사람들이다.

중국 전자책 시장의 붐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정부도 “13.5”계획에 전자출판산업을 새롭게 떠오르는 문화산업으로 규정하고 대대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팽창하는 중국 전자책 시장에 걸림돌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성장의 여지가 크다는것도 매혹적이다.

연변일보 신연희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215
  • 재일본조선족작가협회 도쿄에서 성립     「재일본조선족작가협회」 이사들 우측으로부터 사무국장 류춘옥, 부회장 김화숙, 회장 엄정자, 부회장 박은희, 비서실장 김철   2019년 11월 11일,「재일본조선족작가협회」가 일본 도쿄에서 성립되었다. 「재일본조선족작협회」의 창립 준비는 연초(年初)부터 시...
  • 2019-11-26
  • 연변작가협회 정봉숙 주석 일행은 11월 11일 심양에서 연변작가협회 소속 료녕지구창작위원회에 내려가 조사연구를 진행, 료녕성조선족문학회 회장단 성원과 부분 리사, 회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좌담회를 갖고 건설성적인 의견들을 청취하는 동시에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데 힘썼다.   좌담회에서 정봉숙 주석은 먼...
  • 2019-11-15
  • 연변작가협회 정봉숙 주석을 만나 장춘 조선족 문학창작 세미나에 참석한 정봉숙 연변작가협회 주석 11월 10일, 연변작가협회 장춘지역창작위원회에서 조직한 장춘조선족문학 세미나에 연변작가협회 정봉숙 주석 일행이 특별히 참석해 만남과 교류의 장을 가지면서 당지 문학인들에게 훈훈함을 선물했다. 특히 이날 행사에...
  • 2019-11-15
  • 새중국 창립 70돐 기념 장춘시조선족문학 세미나 개최 세미나 현장 11월 10일, ‘새중국 창립 70돐 기념 장춘조선족문학 세미나’가 연변작가협회와 장춘지역창작위원회의 주최로 장춘에서 개최되였다. 세미나에는 장춘시의 문인, 학자들을 비롯해 통화, 매하구, 류하 등지에서 온 조선족 문인들과 문학애호자 총...
  • 2019-11-13
  • 제5회 중국조선족효사랑글짓기공모시상식이 11월 3일  연변군중문화관 회의실에서 열렸다.   효와 사랑은 수천년간 이어내려온 우리 민족의 전통미덕으로 되는바 연변문화예술연구중심에서는 우량한 '효사랑' 전통을 고양하고저 2013년부터 조선족 효사랑 글짓기 공모를 내와 올해로 5회째 이어지고 있다...
  • 2019-11-04
  • 지난 26일 오후, 할빈시동력조선족소학교에서 흑룡강성조선족작가창작위원회 주최, 할빈그린라이프의료기계유한회사의 후원으로 되는 ‘새중국 성립 70주년 기념 흑룡강조선족문단 공로패 수여식 및 리삼월, 한춘, 윤림호 문학작품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흑룡강성 각지에서 온 조선족 작가들을 비롯...
  • 2019-10-29
  • 10월 20일, ‘천하만물이 황금수확과 악수하는 향연의 계절’이라는 제목으로 대련조선족문학회 제1회 가을걷기행사가 력사강좌와 겸해 대련시려순구 태양골단풍마을에서 있었다. 행사는 대련조선족문학회의 년간 계획의 일환이다. 행사에서는 박룡근 명예회장의 〈려순력사와 안중근의사의 의거〉 관련 이야기에...
  • 2019-10-25
  • 중·일·한 3국의 젊은 작가들이 인천에 모여 문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은 11월에 ‘2019 한중일 청년작가회의, 인천’을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중·일·한 청년작가회의는 인천이 중국의 시안, 일본의 도시마와 함께 2019년...
  • 2019-10-23
  • "조선족시인들과 국내외 시인들의 만남의 장" "시와 사진, 시와 예술의 만남으로 조선족문화예술의 정수를 보여주었다" "나라와 민족의 미래를 노래한 좋은 시들이다" "소수민족지역에서 이렇게 큰 행사를 주최하다니 과히 놀랍도다" "감동 그 자체였다. 민족이 따로 없이 시와 노래로 하나가 된 축제" ... 건국 70주년을 ...
  • 2019-10-19
  • 10월 18일 오전 연길시 백산호텔 3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된 연변작가협회 제9기 리사회 제4차회의에서 정봉숙이 연변작가협회 주석으로 당선되였다. 1969년에 출생한 정봉숙은 석사연구생 학력에 중국공산당원이며 1989년에 사업에 참가하여 선후로 연길동북아그룹 판공실 주임 겸 공청단 서기, 연길시당위 비서과 비서, ...
  • 2019-10-19
  • 김연혜 기자] 중한 수교 27주년 및 심양시와 한국 성남시 국제자매 결연 21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2019년 중한 문학인 만남, 열한번째 시랑송회’가 10월 12일, 중한교류문화원에서 진행되였다.     김대진 한국 성남문화원 원장은 인사말에서 “해마다 이어지는 시랑송회를 통해 우리는 상...
  • 2019-10-16
  • 매 민족마다 모두 대표적인 작가가 있으며 그들은 여러 민족, 여러 어종, 여러 장르로 구성된 대오를 형성했다. 북경 10월 14일발 인민일보(기자 장하): 제6회 전국소수민족문학창작회의가 14일 북경에서 개최되였다. 18차 당대회이래 우리 나라의 소수민족문학사업은 활기차게 발전하고 나날이 진보하는 좋은 국면을 형성...
  • 2019-10-16
  • 莫言:“诺贝尔文学奖”中国第一人,现状如何? 莫言注定要在伟大祖国历史上青史留名, 他的贡献无需多说,单单“诺贝尔文学奖”中国第一人的地位,怎么说都不为过。相对客观的来说,莫言在获得诺贝尔文学奖之前,知名度不是想象的那么高。想必诸位都有同感,大多都是在莫言获得“诺贝尔文学奖&r...
  • 2019-10-14
  • 中国文学界,似乎不知“批评”为何物很久了。相反,各种奖项一团和气,各位作家商业互吹,才是更常见的情形。如此一来,残雪的“横空出世”反倒在某种意义上反证了诺贝尔文学奖的权威性。   特约作者 | 李勤余 自本月初起,各项诺贝尔奖陆续揭晓,引来广泛关注。中国作家残雪意外在某预测赔率榜上...
  • 2019-10-13
  • ‘80후’시선, 그리고 강물 같은 문학의 맥 길림신문사와 《도라지》잡지사에서 조선족 ‘80후’ 글쟁이들과 공동으로 손잡고 선보이는 ‘80후 시선’코너는 차세대 우리 문학의 모양새를 얼추 소묘해보는 미래지향적인 취지로 기획하였다. 주로 ‘80후’ 글쟁이들의 문학과 글쓰...
  • 2019-10-12
  • 스웨덴한림원, 작년에 수상자 선정 못 해 2년치 수상자 동시 발표  한트케, '베를린 천사의 시' 각본도 집필…2014년 국제입센상 수상 토카르추크, 작년 맨부커상 수상…'세계 3대 문학상' 중 두 개 석권 2018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토카르추크(왼쪽)와 올해 수상자 한트케 [노벨상 웹사이...
  • 2019-10-11
  • ‘2019년 아동문학작가 단풍’필회가 지난 9월 28일에 도문에서 성공적으로 펼쳐졌다. 아둥문학작가들의 우정을 돈독히 하고 심도 있게 아동문학을 연구하며 보다 질 좋은 아동문학작품을 창작하는 것을 취지로 하여 해마다 진행되는 아동문학필회는 연변작가협회 아동문학창작위원회의 중요한 년중행사로 자리매...
  • 2019-09-30
  • 심금 울리는 문학과 함께 깊어가는 '호미곶의 가을' 29일 2019 호미문학대전이 포항시 남구 호미곶일원에서 진행됐다. 호미문학대전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은성 기자 sky@kyongbuk.com 호미곶 바다와 문화·예술이 어우러지는 ‘2019 호미문학대전’이 29일 포항시 남구 호미곶 해맞...
  • 2019-09-30
  • '재한조선족문학창작위원회 성립 및 문학연구세미나'가 지난 5월 24일 오전,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대학교 '조한문학원비교문학연구소'의 주최 하에 중국조선족 학계, 문학계, 언론매체 인사 약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변대학교 과학기술청사 8층 제4세미나실에서 성료됐다.   재한조선족문학은 199...
  • 2019-09-29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