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http://www.zoglo.net/blog/kokuryeo 블로그홈 | 로그인

카테고리

※ 댓글

  •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홈 > 전체

전체 [ 63 ]

3    개가어 客家语 하카어 댓글:  조회:1776  추천:0  2017-11-01
하카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더 좋은 문서가 되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6년 6월 3일) 하카어/객가어 客家话 사용 국가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사용 지역 광둥 성 동부, 푸젠 성과 장시 성이 맞닿아 있는 지역 언어 인구 29,937,959[1] 문자 한자 언어 계통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   하카어/객가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없음(중화민국 (대만)의 공용어에 포함하자는 법안이 제출된 적이 있다), 타이페이 지하철에서 사용되는 네 가지 방송 언어 중 하나; 중화민국 정부는 하카어 보존을 위해 하카어 방송을 후원하고 있다. 표준 The Guangdong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 created an official romanisation of Meixian Hakka dialect in 1960, one of four languages receiving this status in Guangdong. It is called Kejiahua Pinyin Fang'an. 언어 부호 ISO 639-3 "); padding-right: 13px;">hak 하카어(Hak-kâ-fa/-va, 객가어. 중국어 간체: 客家语, 정체: 客家語, 병음: Kèjiāhuà)는 중국어의 방언으로, 주로 광둥 성 동부, 푸젠 성 서부, 장시 성 남부에서 쓰이지만, 해외의 화교, 중국인에게도 많이 쓰이는 언어 이다. 객가인들은 당, 송나라 시대에 남하하였기 때문에 그 당시 중국어의 특징이 아직까지 보전되어 있다. 그 후 대만으로의 이주는 청나라 초기에 시작되었다. 객가어 사용자들이 여러군데 분포해있기 때문에, 주위 언어, 방언에서 영향을 받은 차용어가 많아 지역별로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 특징[편집] 어음의 특징은 많은 지역에서 성모 s와 sh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s로 발음한다. 또 옛 입성운미(入聲韻尾) -b[-p], -d[-t], -g[-k]를 보존하고 있으며, 북경어의 성조는 4개인 데 반해 하카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 하카 (민족) 중국어 행정원객가위원회 하카 텔레비전 각주[편집] 이동↑ "); padding-right: 13px;">Ethnologue report   歡迎來到客家維基百科。 Fôn-ngiàng lòi-to Hak-kâ Vì-kî-pak-khô. 有麼個問題做得到廳下(中文:客棧)參詳一下仔。客家維基百科已有七千篇條目,請大家好好打拼。做得試試看 歡迎來到客家維基百科。 Fôn-ngiàng lòi-to Hak-kâ Vì-kî-pak-khô. 有麼個問題做得到廳下(中文:客棧)參詳一下仔。客家維基百科已有七千篇條目,請大家好好打拼。做得試試看
2    소수민족 옛명칭도표 지리,력사자료 댓글:  조회:1434  추천:0  2017-10-23
  서                 북 서             남 동                 남           동                북 1 회족: 회회 回族 古称 回回   묘족: 남만,구려(구리)苗族 古称 南蛮,九黎  고산족: 류구 高山族 古称 琉球       조선족: 예맥,고구려朝鲜族 古称 濊貊,高句丽       2 보안족:서남이保安族 西南夷分支 장족: 토번 藏族 古称 吐蕃  써족: 동만畲族 古称峒蛮 만족:말갈 满族 古称 靺鞨      3 동향족: 싸르타,쌀타东乡族 古称撒尔塔 동족: 락월侗族 古称骆越   어원크족: 퉁구스지계鄂温克族 通古斯支系 4 로시아족: 슬라브,아라사俄罗斯族 斯拉夫 쫭족: 장,동,퉁壮族 古称 獞, 僮   오르첸족: 퉁구스지계鄂伦春族 通古斯支系 5 카자흐족; 오손 哈萨克族 古称 乌孙 리수족: 률속傈僳族 古称 栗粟   허저족: 흑근, 녀진, 赫哲族 古称 黑斤 6 키르기즈족: 견곤柯尔克孜族 古称 坚昆  나시족: (강)챵족후예纳西族 羌人后裔   다우르족: 거란达斡尔族 古称契丹 7 쌀라족: 강撒拉族 古羌  따이족: 파이 傣族 古称 摆夷      8 타지크족:갈반타 塔吉克族 古称羯盘陀  부랑족: 포자만布朗族 古称 朴子蛮     9 위글족(위구르족,위올족): 회흘,회홀 维吾尔族 古称回纥 아창족: 아창阿昌族 古称 峨昌     10      타타르족: 달단塔塔尔族 鞑靼一部    노족: 서남이怒族 西南夷一支     11 우즈베크족: 돌둴곁가지 乌孜别克族 突厥分支 먼바족: 챵족후예门巴族 羌族后裔      12 유고족: 회흘裕固族 回纥  부의족: 백월布依族 古称百越     13 시버족(쎄베족): 림호분지,선비锡伯族 林胡分支,鲜卑 더앙족德昂族 西南夷分支     14 토족: 찰한몽골(백몽골) 토곤, 토혼,토욕혼 토곡혼 土族称察罕蒙(白蒙古)土昆  吐浑  두룽족: 고해独龙族 古称古奚     15 몽골족: 동호,실위 蒙古族古称东胡,室韦    하니족: 챵,고강哈尼族 古羌     16    지노족: 파스, 바십基诺族 古称巴什     17   경족: 안남京族 古称安南     18   징퍼족(경파족): 서남이景颇族 西南夷支系     19   라후족: 서남이拉祜族 西南夷分支     20   거로족: 서남이 仡佬族 西南夷     21   리족(려족): 백월黎族 百越     22   뤄바족 : 강,챵珞巴族 古羌     23   수족: 백월水族 百越     24   토가족(투쟈족): 파 土家族 古称巴     25   요족: 막요瑶族 古称莫徭     26   이족: 곤이彝族 古称昆夷     27   푸(프)미족: 강普米族 古羌     28   와족: 佤族 古称 濮복     29   챵족: 당호강, 청강羌族 唐秏羌 青羌     30   모난족: 령毛南族 古称伶     31   무로족: 근仫佬族 古称谨     32         33         학생들과 학교  지리,력사선생님들에게 좋은 자료입니다.   지리,력사에 관심있는 분들한테도 좋은 자료
1    예쁜 우리말 댓글:  조회:4459  추천:0  2017-10-22
예쁜 고유어(낱말) * 거레: 까닭없이 어정거리며 느리게 움직이는 짓 * 건목: 정하게 다듬지 않고 대강만 만드는 일 * 고샅: 마을의 좁은 골목길 * 구듭: 남을 위한 귀찮고 힘드는 뒤치다꺼리 * 난달: 길이 이리저리 통하는 곳 * 드레: 인격적으로 점잖음과 무게 * 띠앗: 형과 아우, 오빠와 누이 사이의 정분 * 매개: 일이 되어가는 형편 * 물초: 온통 물에 젖은 상태 * 미립: 경험에서 얻은 묘한 이치(요령) * 살품: 옷과 가슴 사이의 빈틈 * 섭치: 여러 가지 물건 중에서 변변치 못하고 너절한 것 * 속종: 마음 속에 품고 있는 소견 * 우금: 시냇물이 급히 흐르는 가프르고 좁은 산골짜기 * 의초: 동기간의 우애, 부부 사이의 정분 * 정가: 허물이나 흠을 쳐들어 흉봄 * 누리: 우박 * 는개: 가는 비 * 나우: 좀 많이, 약간 낫게 * 되우: 아주, 된통, 몹시 * 무장: 갈수록 더 * 해미: 바다의 짙은 안개 * 나우: 좀 많이 * 퍼니: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는 모양   * 무녀리: 한 배의 새끼 중에서 가장 먼저 나온 새끼 * 모촘히: 조금 지나치게 * 벗바리: 뒤를 보아 주는 사람, 배경 * 부루말: 백마 * 개호주: 범의 새끼 * 하리다: 마음껏 사치하다 * 가멸다: 재산이 많다 * 간대로: 그다지 쉽게 * 곰다시: 무던히 곱게 * 국으로: 생긴 그대로 * 존조리: 부드럽고 조리 있게 * 지며리: 차분하고 꾸준히   * 시난고난: 오래 가눈 모양 * 시나브로: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 조릿조릿: 조바심이 나서 초조한 모양 * 이드거니: 분량이 좀 많게 * 안다미로: 남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게 * 결곡하다: 마음씨가 깨끗하고 야무져 빈틈없다 * 곰살굳다: 성질이 부드럽고 다정하다 * 공칙하다: 성질이 강하고 과격하다 * 구순하다: 의좋게 지내다 * 깨끔하다: 깨끗하고 아담하다 * 꺽꺽하다: 성질이 억세어서 부드러운 맛이 없다 * 끌끌하다: 인품이 맑고 바르고 깨끗하다 * 끌밋하다: 깨끗하고 헌칠하다 * 능준하다: 표준에 차고도 남아 넉넉하다 * 겨끔내기: 서로 바꾸어 하기 * 깨단하다: 오래 생각나지 않다가 어떤 실마리로 말미암아 깨닫고 분명히 알다. * 몬존하다: 성질이 차분하다 * 부접하다: 가까이 사귀거나 다가들다. * 이아치다: 자연의 힘이 미쳐서 손해가 있게 하다. * 엄전하다: 하는 짓이 성숙하고 점잖다 * 왜자하다: 소문이 널리 퍼져 요란하다 * 조쌀하다: 늙었어도 얼굴이 깨끗하고 조촐하다 * 종요롭다: 없어서는 안 될 만큼 매우 긴요하다 * 팔초하다: 얼굴이 좁고 아래턱이 뾰족하다 * 기연미연: 분명하지 않게   * 여낙낙하다: 성품이 곱고 부드러우며 상냥하다 * 함초롬하다: 좀 축축하고 차분하다 * 다넘스럽다: 쓰기에 거북할 정도로 크다 * 도섭스럽다: 수선스럽고 능청맞게 변덕을 부리는 태도가 있다 * 뒤넘스럽다: 되지 못하게 건방지다 * 곰송거리다: 겁이 나서 몸을 오그리다 [출처] 예쁜 고유어(낱말)| 다솜 : 사랑 시나브로 : 모르는 새 조금씩 조금씩 타래 : 실이나 노끈 등을 사려 뭉친 것 단미 : 달콤한 여자, 사랑스러운 여자 그린비 : 그리운 선비, 그리운 남자 산마루 : 정상(산의) 아미 : 눈썹과 눈썹사이(=미간) 언저리 : 부근, 둘레 이든 : 착한, 어진 도투락 : 어린아이 머리댕기 아띠 : 사랑 소담하다 : 생김새가 탐스럽다 오릇하다 : 모자람이 없이 완전하다 성금 : 말한 것이나 일한 것의 보람 미르 : 용 미리내 : 은하수 마루 : 하늘 가람 : 강 아라 : 바다 너울 : 바다의 사나운 큰 물결 희나리 : 마른 장작 씨밀레 : 영원한 친구 너비 : 널리 벗 : 친구 미쁘다 : 진실하다 노루막이 : 산의 막다른 꼭대기 샛별 : 금성 볼우물 : 보조개 아람 : 탐스러운 가을 햇살을 받아서 저절로 충분히 익어 벌어 진 그 과실 아람치 : 자기의 차지가 된 것. 새암 : 샘 느루 : 한번에 몰아치지 않고 시간을 길게 늦추어 잡아서 가시버시 : 부부 마수걸이 : 첫번째로 물건을 파는 일 애오라지 : 마음에 부족하나마, 그저 그런 대로 넉넉히, 넉넉하 지는 못하지만 좀 내 : 처음부터 끝까지 닻별 : 카시오페아 자리 베리, 벼리: 벼루 나룻 : 수염 노고지리 : 종달새 노녘 : 북쪽 높새바람 : 북동풍 높바람 : 북풍. 된바람 달소수 : 한 달이 좀 지나는 동안 닷곱 : 다섯 홉. 곧 한 되의 반 더기 : 고원의 평평한 땅. 덕 덧두리 : 정한 값보다 더 받은 돈 (비슷한말 ; 웃돈) 덧물 : 얼음위에 괸 물 도래샘 : 빙 돌아서 흐르는 샘물 마녘 : 남쪽. 남쪽편 마장 : 십리가 못되는 거리를 이를 때 '리'대신 쓰는 말 마파람 : 남풍.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샛바람: 동풍 하늬바람: 서풍 몽구리 : 바짝 깎은 머리 묏채 : 산덩이 버금 : 다음가는 차례 버시 : 지아비. 남편. '가시버시'는 부부의 옛말 부룩소 : 작은 수소 살밑 : 화살촉 새녘 : 동쪽. 동편 새벽동자 : 새벽밥 짓는 일 샛바람 : '동풍'을 뱃사람들이 이르는 말 서리담다 : 서리가 내린 이른 아침 헤윰 : 생각 도투락 : 리본 햇귀 : 해가 떠오르기전에 나타나는 노을 같은 분위기 온 : 백 즈믄 : 천 나르샤 : 날다 벌 : 아주넓은 들판, 벌판 한 : 아주 큰 온누리 : 온세상 아사 : 아침 달 : 땅,대지,벌판 시밝 : 새벽 샛별 : 새벽에 동쪽 하능에서 반짝이는 금성 어둠별 꼬리별, 살별 : 혜성 별똥별 : 유성 붙박이별 : 북극성 닻별 : 카시오페아 별 여우별 : 궂은날에 잠깐 떴다가 숨는 별 잔별 : 작은별 가늠 : 목표나 기준에 맞고 안 맞음을 헤아리는 기준, 일이 되어 가는 형편 가래톳 : 허벅다리의 임파선이 부어 아프게 된 멍울 노량 : 천천히, 느릿느릿 가라사니 : 사물을 판단할 수 있는 지각이나 실마리 갈무리 : 물건을 잘 정돈하여 간수함, 일을 끝맺음 개골창 : 수챗물이 흐르는 작은 도랑 개구멍받이 : 남이 밖에 버리고 간 것을 거두어 기른 아이(=업둥이) 개맹이 : 똘똘한 기운이나 정신 개어귀 : 강물이나 냇물이 바다로 들어가는 어귀 나릿물 : 냇물 고삿 : 마을의 좁은 골목길. 좁은 골짜기의 사이 고수련 : 병자에게 불편이 없도록 시중을 들어줌 골갱이 : 물질 속에 있는 단단한 부분 눈꽃 : 나뭇가지에 얹힌 눈 곰살궂다 : 성질이 부드럽고 다정하다 곰비임비 : 물건이 거듭 쌓이거나 일이 겹치는 모양 구성지다 : 천연덕스럽고 구수하다 구순하다 : 말썽 없이 의좋게 잘 지내다 구완 : 아픈 사람이나 해산한 사람의 시중을 드는 일 굽바자 : 작은 나뭇가지로 엮어 만든 얕은 울타리 그느르다 : 보호하여 보살펴 주다 그루잠 : 깨었다가 다시 든 잠 그루터기 : 나무나 풀 따위를 베어 낸 뒤의 남은 뿌리 쪽의 부분 기이다 : 드러나지 않도록 숨기다 기를 : 일의 가장 중요한 고비 길라잡이 : 앞에서 길을 인도하는 사람 길섶 : 길의 가장자리 길제 :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구석진자리, 한모퉁이 길품 : 남이 갈 길을 대신 가 주고 삯을 받는 일 겨끔내기 : 서로 번갈아 하기 고빗사위 : 고비 중에서도 가장 아슬아슬한 순간 까막까치 : 까마귀와 까치 깔죽없다 : 조금도 축내거나 버릴 것이 없다 깜냥 : 어름 가늠해 보아 해낼 만한 능력 깨단하다 : 오래 생각나지 않다가 어떤 실마리로 말미암아 환하게 깨닫다 꺼병이 : 꿩의 어린 새끼 꼲다 : 잘잘못이나 좋고 나쁨을 살피어 정하다 꽃샘 : 봄철 꽃이 필 무렵의 추위 꿰미 : 구멍 뚫린 물건을 꿰어 묶는 노끈 끄나풀 : 끈의 길지 않은 토막 끌끌하다 : 마음이 맑고 바르며 깨끗하다 .               타니 : 귀걸이. 새녘 : 동쪽. 동편. 미르 : 용. 나래 : 논, 밭을 골라 반반하게 고르는 데 쓰는 농구. 칼잠 : 좁은 공간에서 여럿이 어깨를 모로 세워 끼워 자는 잠. 안날 : 바로 전 날 채꾼 : 소를 모는 아이 보꾹 : 지붕의 안 쪽. 처마 안 쪽 소댕 : 솥뚜껑 덧물 : 얼음 위에 괸 물 새밭 : 억새가 무성한 밭 서덜 : 냇가, 강가의 돌이 많은 곳 알섬 :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섬 두멍 : 물을 길어 담아 두고 쓰는 큰 가마나 독 영각 : 암소를 찾는 황소의 긴 울음소리 선샘 : 빗물이 되솟아나는 샘 배래 :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 위. 난바다 노굿 : 콩이나 팥의 꽃 사춤 : 갈라지거나 벌어진 틈. 벽이나 담의 갈라진 틈을 진흙으로 메우는 일 물마 : 비가 많이 와서 땅 위에 넘치는 물 괴꼴 : 타작할 때 나도는 벼알이 섞인 짚북데기 워낭 : 마소의 턱 아래에 늘어뜨린 쇠고리 또는 마소의 귀에서 턱 밑으로 단 방울 벌불 : 등잔불이나 촛불 등의 심지 옆으로 번져 댕기는 불 목새 : 물결에 밀리어 한 곳에 쌓인 보드라운 모래 사름 : 모 뿌리가 정착된 것. 모를 옮겨 심은 지 4-5일 뒤에 파랗게 된 상태 섯등 : 염전에서 소금을 만들 때 바닷물을 거르기 위하여 땅바닥을 대고 가장자리를 넓고 길 게 둘러막은 장치 봄동 : 봄에 나오는 어린 배추 동바 : 지게에 짐을 얹고 눌러 동여매는 데 쓰는 줄. 우금 : 시냇물이 급히 흐르는 가파르고 좁은 산골짜기 알천 : ① 재물 가운데 가장 값나가는 물건        ② 음식 가운데 가장 맛있는 음식       미르 : 용 의 순수 우리말 푸르미르 : 청룡의 순수 우리말 미리내 : 은하수 의 우리말 커리쉴하프 : 마을수장의 전쟁도구장비들 온새미로 :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시나브로 :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가람 : 강의 우리말 해류뭄해리 : 가뭄후에 오는 시원한빗줄기. 그린비 : 그리운 남자라는뜻의 우리말 그린내 : 연인의 우리말 아라 : 바다의 우리말 마루 : 하늘의 우리말 가온길 :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가온대: 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어라연히프제 : 치마를입고 화살쏘는여성들 가온누리 :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옛말)의 중심(가온대: 옛말)이 되어라. 가시버시 : 아내와 남편의 우리말 그린나래 :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 예그리나 : 사랑하는 우리사이 비나리 : '축복의 말'의 우리말 한울 : 우주 길가온 : 길 가운데 꽃가람 : 꽃이 있는 강 (가람 : 강의 우리말) 늘솔길 :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윤슬 : 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 듀륏체리: 늦게 얻은 사랑스러운 딸자식 물비늘 : 잔잔한 물결이 햇살 따위에 비치는 모양 타니 : 귀걸이 나린 : 하늘이 내린 아리아 : 요정의 우리말 수피아: 숲의 요정 푸실 : 풀이 우거진 마을 달보드레하다 : 연하고 달콤하다 아토 : 선물 까미 : 얼굴이나 털빛이 까만 사람이나 동물을 일컫는 말 꼬두람이 : 맨 꼬리 또는 막내 희나리 : 마른장작 의 우리말 단미 : 달콤한 여자, 사랑스러운 여자 물마 : 비가 많이 와서 땅 위에 넘치는 물 휘들램 : 이리저리 마구 휘두르는 짓 헤윰 : 생각을 뜻하는 우리말 라온하제 : 즐거운 내일를 뜻하는 우리말 (라온 : '즐거운' 이라는 순 우리말) 라온제나 : 기쁜 우리 라온힐조 : 즐거운 이른 아침 (힐조 : '이른 아침'의 순 우리말) 안다미로 : [부사]담은 것이 그릇에 넘치도록 많이 에멜무지로 : 단단하게 묶지 아니한 모양 결과를 바라지 아니하고, 헛일하는 셈 치고 시험 삼아 하는 모양 꽃잠 : 신혼부부의 첫날밤을 이르는 우리말 사나래 : 천사의 날개를 뜻하는 우리말 나르샤 : 날아 오르다를 뜻하는 우리말 베리, 벼리 : 벼루 흐노니 : 누군가를 굉장히 그리워 하는것 노고지리 : 종달새 아미 : 눈썹과 눈썹사이(=미간) 이든 : 착한, 어진 이내 : 저녁나절에 어르스름한 기운 너울 : 바다의 사나운 큰 물결 너비 : 널리 온누리 : 온세상 아사 : 아침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간말이어서 현재일본어(아사=일어로아침) 와 뜻이같습니다 흥미롭네요 ^^;...) 하제 : 내일 아스라이 : 아득히, 흐릿한 슈룹 : 지금은 사라져버린 우산의 옛말 가라사니 : 사물을 판단할 수 있는 지각이나 실마리 초아 : 초처럼 자신을 태워 세상을 비추는 사람 하나린 : 하늘에서 어질게 살기를 바람. 하야로비 : 해오라기. 맨드라미 : 흔히 알고 있는 식물. 순 우리말이다. 꼬리별 : 혜성 별찌 : 유성 그루잠 : 깨었다가 다시 든 잠 옛살비 : 고향 다흰 : 흰 눈꽃같이, 세상을 다 희게 하는 사람 다원 : 모두 다 원하는, 모두 다 사랑하는 사람 바오 : 보기 좋게. 은가람 : 은은히 흐르는 강(가람)을 줄여 만듦. 은가비 : 은은한 가운데 빛을 발하라. 파니 : 아무 하는 일 없이 노는 모양. 퍼르퍼르 : 가벼운 물체가 가볍게 날리는 모양. 포롱거리다 : 작은 새가 가볍게 날아오르는 소리. 늘해랑 : 늘 해와 함께 살아가는 밝고 강한 사람 나릿물 : 냇물 타래 : 실이나 노끈 등을 사려 뭉친 것 도담도담 : (어린아이 등이) 별탈없이 잘 자라는 모습 올리사랑 : 자식의 부모에 대한 사랑. 또는 아랫사람의 윗사람에 대한 사랑 벗 : 친구의 순수 우리말 도래솔 : 무덤가에 죽 늘어선 소나무 한울 : 한은 바른, 진실한, 가득하다는 뜻이고 울은 울타리 우리 터전의 의미 비마중 : 비를 나가 맞이하는 일 서리서리 : 국수나 새끼 등을 헝클어지지 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 감는다는 것 여우비 : 해가 난 날 잠깐 내리는 비 하람 : 꿈의 뜻, 하늘이 내리신 소중한 사람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가론 : 말하기를, 이른 바(所謂). 맛조이 : 마중하는 사람. 영접하는 사람. 아름드리 : 한 아람이 넘는 큰 나무나 물건 또는 둘레가 한 아름이 넘는 것 아련하다 : 보기에 부드러우며 가냘프고 약하다 도투락 : 어린아이 머리댕기 우수리 : 물건 값을 치르고 거슬러 받는 잔돈 가우리 : 고구려(중앙) 구다라 : 백제(큰 나라) 미쁘다 : 진실하다 아띠 : 친구 새라 : 새롭다 다솜 : 애틋한 사랑 다소다 : 애틋하게 사랑하다 다소니 : 사랑하는 사람 난이 : 공주의 순수한 우리말 는개 : 안개비와 이슬비 사이의 가는 비 늦마 : 늦은 장마 비 샘바리 : 어떠한 일에 샘이 많아 안달하는 마음이 강한 사람 '바리'는 어떤 한 분야에 집중적인 사람을 낮추어 부르는 우리말.예)악바리, 군바리 마소두래기 : 말(言)을 이곳저곳 옮겨 퍼뜨리는 것 산돌림 : 옮겨 다니면서 내리는 비(소나기) 호드기 : 버들피리. 사투리로 호들기(소설'동백꽃') 볼우물 : 보조개를 뜻함 여우별 : 궂은 날 잠깐 났다가 숨는 별 매지구름 :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 아람 : 탐스러운 가을 햇살을 받아서 저절로 충분히 익어 벌어 진 그 과실 아람치 : 자기의 차지가 된 것 느루 : 한번에 몰아치지 않고 시간을 길게 늦추어 잡아서 꼬꼬지 : 아주 오랜 옛날. 겨르로이 : [옛] 한가로이, 겨를 있게. 눈바래기 : 멀리 가지 않고 눈으로 마중한다는 애오라지 : 마음에 부족하나마, 그저 그런 대로 넉넉히, 넉넉하지는 못하지만 미쁘다 : 진실하다 그미 : 그 여자. 숯 : 신선한 힘 즈믄 : 천(1000) 온 : 백(100) 소담하다 : 생김새가 탐스럽다 마닐마닐 : 음식이 씹어먹기 알맞도록 부드럽고 말랑말랑하다 산다라 : 굳세구 ㄲㅜㄷㄲㅜㄷ하다 (신라 김유신 장군의 순 우리말 아명) 하슬라 : 강릉의 순 우리말 고타야 : 안동의 순 우리말 아라가야 : 함안의 순 우리말 새, 하, 마, 노 : 순서대로 동,서,남,북의 우리말 부라퀴 : 자기 이익을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고 덤비는 사람 핫어미 : 유부녀의 우리말 핫아비 : 유부남의 우리말 아리수 : 한강의 우리 한 별 : 크고 밝은 별 샛 별 :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빛나는 금성을 이르는 말 닻 별 : 별자리 중에서 '카시오페아'를 달리 이르는 말 꽃샘바람 : 봄철 꽃이 필 무렵에 부는 찬 바람 소소리바람 : 이른 봄에 살 속으로 기어드는 차고 음산한 바람 돌개바람 : 회오리 바람 섬서하다 : 지내는 사이가 서먹서먹하다 산돌림 : 옮겨다니며 한줄기씩 내리는 소나기 사시랑이 : 가늘고 힘없는 사람 사부랑사부랑 : 물건을 느슨하게 묶거나 쌓아놓은 모양 앙짜 : 앳되게 점잔을 빼는 짓 옴니암니 : 아주 자질구레한 것 (예 : 그렇게 옴니암니 따지지 말게) 모꼬지 : 놀이나 잔치 또는 그 밖의 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일 오비다 : 좁은 틈이나 구멍속을 갉아내거나 도려내다 나비잠 : 갓난 아이가 두팔을 머리위로 벌리고 편히 자는 잠 집알이 : 새 집 또는 이사한 집을 인사차 찾아보는 일 건잠머리 : 일을 시킬 때에 방법을 일러주고 도구를 챙겨주는 일 (예 : 그는 건잠머리가 있으니 잘 가르쳐 줄게다) 하늬바람 : 서풍 북새바람, 됫바람, 된 바람 : 북풍 마파람, 앞바람 : 남풍 자귀 : 짐승의 발자국 다님길 : 사람이 다니는 길 도닐다 : 가장자리를 빙빙 돌아다니다 소마 : 오줌을 점잖게 이르는 말 고수머리 : 곱슬머리 하마하마 : 어떤 기회가 계속 닥쳐오는 모양, 어떤 기회를 마음조이며 기다리는 모양 하르르하다 : 종이나 옷감 따위가 얇고 매우 보드레하다 에움길 : 굽은길 에우다 : 둘레를 삥 둘러싸다, 딴길로 돌리다 희치희치 : 드문드문 벗어진 모양, 군데군데 치이거나 미어진 모양 소마소마 : 조마조마 셈나다 : 사물을 잘 분별하는 슬기가 생겨나다 셈차리다 : 앞 뒷일을 잘 생각하여 점잖게 행동하다 아이서다 : 임신 아퀴 : 일의 갈피를 잡아 마무르는 끝매듭 사달 : 대단찮은 사고나 탈 사그랑이 : 다 삭아서 못쓰게 된 물건 고수련 : 병자를 정성껏 돌보는 일 시나브로 : 조금씩 조금씩 자리끼 숭늉 : 밤에 마시기 위해 머리맡에 둔 물그릇 먼산바라기 : 그저 먼산을 향해 시선을 두고 있음을 뜻하는 말, 비슷한 말로는 '별바라기'가 있다 지망지망히 : 조심성없이 임 : '으뜸'이라는 뜻의 고대 한국어 드레 : 인격적으로 점잖은 무게 (예 : 어려도 드레가 있어 보이는구나) 모람모람 : 이따금씩 한데몰아서 둔치 : 물있는 곳의 가장자리  
‹처음  이전 1 2 3 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