康外山的蒙古现地活鲜鲜的报道
http://www.zoglo.net/blog/alex1210 블로그홈 | 로그인

※ 댓글

  •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한민족/한글/한류

[칼럼] 대한민국 방문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 유감
2016년 05월 26일 01시 54분  조회:4400  추천:0  작성자: 몽골 특파원
HOME > 알렉스 강의 몽골 뉴스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칼럼] 대한민국 방문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 유감
 
몽골 대통령 이름 한글 표기는, 2005년 6월 22일에 열린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63차 회의에서 확정된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가 옳은 표기이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기사입력  2016/05/26 [00:24]
 
 
【UB(Mongolia)=Break News GW】
본 기자가 며칠 전 작성해 올린 몽골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 관련 기사가, 5월 25일 수요일, 재외동포언론인협회(약칭 재언협, OKJA=Overseas Korean Journalists Association, 회장 김훈 영국 유로 저널 대표) 웹사이트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몽골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 관련 기사가 재외동포언론인협회(약칭 재언협, OKJA=Overseas Korean Journalists Association, 회장 김훈 영국 유로 저널 대표) 웹사이트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알렉스강 특파원

본 웹사이트에, 일반적으로 지구촌 각국의 재외 동포 기자들이 각자가 거주 중인 국가의 지구촌 뉴스를 시시각각 게시하고 있는 상황이긴 하나, 본 기자가 빈번하게 올려대는 몽골 뉴스는 좀처럼 헤드라인 근처에 접근을 못하더니, 이번 몽골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으로 그나마 관심이 쏠리는 모양새여서 그나마 다행한 느낌을 갖게 된다.

현재, 지구촌 각국 100여개 몽골 한인 동포 언론사와 1,000여명의 회원이 가입돼 있는 재외동포언론인협회는, 그동안 대한민국과 700만(<=720만) 재외동포 사회와의 소통 확대, 교류와 협력, 그리고 재외동포 언론 네트워크 강화 등을 위해 지난 2002년부터 대한민국에서 재외동포언론인(기자)대회를 해마다 개최해 왔으며, 2011년부터 봄철과 가을철 등 1년에 두 차례씩 행사가 열리고 있다.

그런데, 설마, 본 기자가, 본 기자가 작성한 몽골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 관련 기사가 재외동포언론인협회(약칭 재언협, OKJA=Overseas Korean Journalists Association, 회장 김훈 영국 유로 저널 대표) 웹사이트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고, 감격스러워 이렇게 호들갑스럽게 기사 작성에 나섰겠는가?

본 기자의 속내는 다른 곳에 있다.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Цахиагийн Элбэгдорж=Tsakhiagiin Elbegdorj) 대통령의 대한민국 방문 보도에 나선 국내 일부 일선 기자들의 몽골 대통령 이름 표기가 중구난방이어서 분명히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한 나라의 대통령 이름의 한글 표기를 이렇게 멋대로 해도 되는 건가? 지구촌 초강대국 미국이나 러시아 대통령이 아닌 몽골 대통령이라서 우습다는 건가? 어찌 이리 무심한가? 몽골 주재 한인 동포이기도 한 본 기자로서는 참으로 통탄할 노릇이다.

대한민국에는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이하 위원회)’라는 게 엄연히 존재한다. 한국어에 새로 들어오는 외국어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를 심의하고자 1991년 9월 국립국어연구원(현 국립국어원)과 한국신문편집인협회(1996년 1월 23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로 이름을 바꿈)가 공동으로 구성한 게 바로 이 위원회이다. 현재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 인원은 총 19명이며 바로 이 총19명의 인원이 대한민국 외래어표기법 결정의 전권을 갖는다. 그야말로 엄청나면서도 막강한 언어 분야의 권력이 아닐 수 없다.

본 위원회에 의해 한글 표기가 확정된 몽골어 낱말은 현재 모두 17개 낱말이다. 하지만, 외래어표기법 제3장 표기 세칙에 보면 21절에 걸쳐 세계 21개 언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원칙이 나열되어 있긴 하나 어찌된 일인지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원칙은 빠져 있다. 낱말 그대로 외래어표기법은 외래어를 대한민국의 자모인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이다. 언어마다 음운 체계나 문자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언어의 어휘를 다른 언어로 흡수해 표기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칙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의 경우 한국어 이외의 다른 언어(21개 언어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에스파냐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중국어, 폴란드어,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타이어, 베트남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등임)에 있는 음운을 표준어에 있는 비슷한 음운과 1대 1로 대응시켜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몽골 낱말의 한글 표기는 중구난방이다. 한-몽 수교 직후부터 몽골 대학 강단에서 한국어 교육의 일선에 서 왔던 본 기자로서는, 그동안 몽골어의 한글 외래어표기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그동안 위원회가 확정한 외래어 표기를 살펴보고 몽골어의 한 낱말, 한 낱말을 일일이 세심하고 꼼꼼하게 챙겨 왔다. 이제는 몽골 낱말만 보고도 위원회의 의중을 헤아릴 수 있게 됐다.

현재, 일부 국내 언론 매체, 일부 인터넷 누리집에서는 위원회의 결정과 다른 표기가 발견되고 있으며, 이런 혼선과 무식함은 되풀이 되고 있다. 몽골 현직 대통령의 이름인 ‘Элбэгдорж(Elbegdorj)’는 2005년 6월 22일에 열린 63차 회의에서 ‘엘베그도르지’로 확정됐으나, 몽골 현지나 대한민국 언론 매체에서는 ‘엘베그도르지’보다 ‘엘벡도르지’라는 표기가 대세다.

우리나라를 방문하기도 했던 몽골 초대 대통령의 이름인 ‘Очирбат(Ochirbat)’는 1997년 5월 30일에 열린 제 16차 회의에서 ‘오치르바트’로 확정돼 한국 언론에서 그렇게 줄곧 쓰고 있으나, 최근 외국인 교수로서 대한민국 어느 대학교 학과장에 임명된 몽골인 교수의 이름 ‘Отгонцэцэг(Otgontsetseg)’는 같은 ‘О’가 들어갔는데도 ‘오’가 ‘어’로 바뀌어 지금 ‘어트겅체첵’으로 표기되고 있다.

몽골의 수도 이름 ‘Улаанбаатар(Ulan Bator)’의 한글 표기는 제18차 회의에서 ‘울란바토르(정확한 몽골 발음으로는 올랑바타르)’로 확정된 바 있으나, 어찌된 일인지 몽골 현지 인터넷 언론 매체와 몽골 정기노선을 운행하는 대한항공 누리집에는 버젓이 ‘울란바타르’로 올라 있고, 더욱이 이 ‘울란바타르’라는 한글 표기를 학교 이름으로 사용하는 대학교가 얼마 전까지 몽골에 존재(지금은 UB로 표기한다)했다. 중구난방으로 표기되는 몽골 낱말의 한글 표기가 어디 이것뿐이겠는가.

본 기자의 의중은 발음 문제를 가지고 따따부따(=딱딱한 말씨로 따지고 시비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하고자 함이 아니다. 본 기자는 그런 문제로 본 기자에게 시비를 걸어올 수도 있는 부류들과 시간을 낭비할 의사가 전혀 없다. 그런 문제는 이의 제기자(異意提起者)와 위원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요컨대, 본 기자의 속내는 대한민국 외래어표기법 결정의 전권을 가진 위원회가 확정한 표기를 통일해서 쓰자는 것이다.



지난 1990년 3월 26일 대한민국과 몽골의 국교가 수립된 뒤, 정부 차원(정부 차원의 한국어 교육은 1992년 9월부터이다. 민간 차원의 한국어 교육은 1991년 몽골에서 이미 이뤄지고 있었으며, 한-몽 수교 이전의 북한어 교육은 북한 유학생들에 의해 수행됐음)의 몽골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는 대한민국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한국어 교원 파견에서부터 비롯됐다.

한-몽 수교는 지난 2016년 3월 26일로 26돌을 넘겼고 중고등학생, 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포함한 몽골에서의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 수는 해마다 늘어나 공식적인 집계에 따르면 이미 수 천 명(비공식적으로는 만 명)을 넘어섰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처럼 일단 몽골 사람들이 외래어 표기법을 무시하고 발음대로 적는 몽골 낱말의 한글 표기에 익숙해지면 바로 잡기가 힘들다.

속을 끓이던 본 기자는 지난 2010년 7월의 제17차 국제한국언어학회(ICKL) 정기학술대회는 물론, 지난 2010년 11월 몽골과학기술대(MUST)에서 열린 국제한국학학술대회에서 「대한민국 외래어표기법에 따른 몽골 낱말 표기에서 제기되는 문제」라는 주제의 논문을 통해 여러 한국인 및 몽골인 교수들에게 외래어표기법의 준수 당위성과 관심 집중을 호소하는 개인적인 노력을 기울인 바 있다.

아울러, 지난 2010년 서울에서 국외 한국어교원 연수회가 열렸을 때 권재일 당시 국립국어원장(현재는 학글학회장으로 재직 중임)과의 만남을 통해 몽골 현지 발음과 외래어표기법의 괴리 때문에 외래어표기법이 중구난방이 되어 가는 몽골 상황을 귀띔한 바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현지 발음과 외래어표기와의 괴리 문제를 세계 각국 언어권 별로 점검하고 있는 중이라는 원장의 답변을 당시 듣긴 했으나 왠지 본 기자는 우선 순위 면에서 몽골어가 한참 뒤로 밀리는 느낌을 받았다.

개인적으로는 19명의 위원들을 모두 몽골로 초청해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원칙 확정을 위한 특별 회의라도 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나 본업이 따로 있는 19명의 위원들의 일정을 무슨 수로 조정하며, 게다가 한 명도 아니고 19명의 몽골 체류 비용을 무슨 수로 감당해낼 것인가. 한국어의 공통된 법칙을 찾아 표준 용어와 표준 발음을 정한 것이 표준어 규정이고, 이 규정을 좇아 우리말을 표기하는 기준을 정한 것이 한글맞춤법과 외래어표기법이며, 우리말을 로마자로 적는 기준을 정한 것이 로마자표기법이다.

이 규정들이 언어생활에서 따르고 지켜야 할 공식적인 기준인 동시에 한국어를 사용할 때에 누구나 지켜야 하는 언어의 법칙이라면 이젠 위원회가 직접 나서야 할 때이다. 한글 표기가 확정된 몽골어 낱말을 17개로만 묶어둘 것이 아니라 몽골어의 한글 표기 원칙을 서둘러 확정하고, 일일이 간섭하고 눈에 불을 일구면서 외래어표기법이라는 대원칙을 엄중하게 끌고 나가야 한다. 책임 기관인 위원회는 중구난방인 몽골의 이런 상황 해결에 전혀 뇌파가 작동하지 않는 것일까?

본 기자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사이 어느덧 국내 일부 일선 기자들까지 부화뇌동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몽골어의 한글 표기 원칙 확정은 강 건너 불구경이 아닌 시급히 풀어야 할 당면 과제가 됐다

본 기자는 복수 표준어라는 말은 들어 봤어도 복수 외래어란 말은 들어 보지 못했다. 이건 참으로 통탄할 만한 일이다. 몽골 낱말의 현지 발음과 ‘위원회’의 표기 원칙에 의해 확정된 몽골 낱말의 한글 표기의 발음이 괴리가 심각한 현실이다 보니 그럴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이제는 이 되풀이되는 혼선과 무지를 어떻게든 끝장내야 한다. 특히, 한국어교원들과 일선 기자들은 책임 의식을 갖고 이 점을 반드시 명심해야 마땅할 것이다.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alex1210@epost.go.kr
Copyright ©Break News GW,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itius, Altius, Fortius (Faster, Higher, Stronger)
<편집자주> 국제 회의 동시 통역사인 알렉스 강 기자는 한-몽골 수교 초창기에 몽골에 입국했으며, 현재 몽골인문대학교(UHM) 한국학과 교수로서 몽골 현지 대학 강단에서 한-몽골 관계 증진의 주역이 될 몽골 꿈나무들을 길러내는 한편, KBS 라디오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으로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해 지구촌에 몽골 현지 소식을 전하고 있기도 합니다.
 
 
 
 
 
 
트위터 미투데이 페이스북 요즘 공감
기사입력: 2016/05/26 [00:24] 최종편집: ⓒ 2018breaknews.com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0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0 몽골한인상공회의소, 2015년 상반기 임시 총회 개최 2015-07-08 0 4254
79 이필운 경기도 안양시장, 몽골한인회 방문 2015-07-07 0 4323
78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민주평통(NUAC) 제17기 해외 자문위원 위촉장 전수식 거행 2015-07-04 0 4449
77 몽골한인상공회의소, 2015년 7월 정기 월례 조찬 간담회 개최 2015-07-01 0 4447
76 계간지 재외동포 저널, 오는 2015년 7월말에 창간된다 2015-06-30 0 4215
75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2016년 제20대 총선 대비 재외국민 모의 선거 실시 2015-06-29 0 4635
74 몽골한인회, 2015년 제13회 한인의 날 기념 몽골 한인체육대회 개최 2015-06-28 0 4324
73 몽골한인상공회의소, 2015년 6월 정기 월례 조찬 간담회 개최 2015-06-03 0 4110
72 몽골한인회, 2015 제13회 몽골 동포 한마당 큰 잔치 개최한다 2015-05-28 0 4030
71 한국언론사협회(KPA) 연합취재본부, 2015년 조직 개편 완료 2015-05-14 0 4423
70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2015년 상반기 한인 동포 주요 인사 간담회 개최 2015-05-14 0 4341
69 [화보]재외동포언론인단, 경남 창원시 및 통영시 방문 2015-05-05 0 4862
68 [화보]재외동포언론인단, 제주특별자치도 방문 2015-05-03 0 4715
67 제14회 2015 봄철 재외동포언론인대회 폐막 2015-04-29 0 4328
66 재외동포언론인협회(OKJA) 언론인단, 제주특별자치도 제주(濟州)시 안착(安着) 2015-04-25 0 4688
65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UHM) 교수, 2015 봄철 재외동포언론인대회 참가 차 서울 입성 2015-04-24 0 4502
64 제14회 2015 봄철 재외동포언론인대회 개막 초(秒) 읽기에 2015-04-20 0 3741
63 오송(吳松) 신임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 몽골 주재 한인 동포 언론인과의 상견례 간담회 주재 2015-04-15 0 4514
62 몽골인문대학교, 한국국제교류재단 & KB국민은행 후원 한국어 말하기 대회 및 글짓기 대회 개최한다 2015-04-14 0 4123
61 몽골 주재 한인 동포들, 몽골대한체육회(KSCM) 창립 발기인 모임 가져 2015-04-11 0 4109
60 [단독]몽골 전통 자장가, KBS 특집 프로그램 전파 탄다 2015-04-11 0 4410
59 [동영상]대한민국 외교부의 일본 외교 청서 상 한일 관계 관련 기술 관련 성명(2015. 04. 07) 2015-04-08 0 3872
58 몽골 한인 동포 사회의 한-몽골 수교 25돌 축하 겸 이태로 주몽골 대사 고별 리셉션 열려 2015-04-01 0 4901
57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KOFICE)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 2015년 본격 활동 개시 2015-03-30 0 3747
56 [몽골 현지 리포트]대학 교수라는 분이 사실 확인도 하지 않고, 기분 내키는 대로 기사를 씁니까? 2015-03-26 0 3885
55 이태로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 몽골 주재 한인 동포 언론인 초청 이임 고별 오찬 주재 2015-03-20 0 4060
54 2015 춘계 재외동포언론인대회, 오는 4월 23일부터 열린다 2015-03-11 0 4265
53 몽골한인상공회의소(KCCIM), 2015년 정기총회 개최 2015-03-11 0 3769
52 몽골 한인 동포들, 2015 정월 대보름 윷놀이 즐겨 2015-03-05 0 4091
51 세계한국어교육자협회(WATK), 종이문화재단과 양해 각서 체결 2015-03-03 0 3829
50 몽골한인회(KAIM), 2015년 대한민국 3.1절 제96돌 기념 행사 개최 2015-03-02 0 4086
49 몽골한인회와 몽골한인상공회의소, 한인 동포들에게 2015년 설날 인사 2015-02-17 0 4348
48 주몽골 대한민국 대사관, 2015 제12대 몽골한인회 신임 집행부 초청 간담회 개최 2015-02-14 0 3993
47 몽골한인회와 몽골한인상공회의소, 사무실 이전식 거행 2015-02-07 0 4387
46 몽골한인회(KAIM), 2015년도 2월 운영위원회 회의 개최 2015-02-04 0 3492
45 대한민국 GDN 국악 TV 설립 추진위원회 발대식 열렸다 2015-01-25 0 4145
44 몽골한인회(KAIM), 2015년도 정기 총회 성황리에 개최 2015-01-20 0 4548
43 국제언론인연합회(GJF), 서울에서 새롭게 출범 2015-01-16 0 4141
42 한국언론사협회(KPA), 연합취재본부 2015 신년 모임 개최 2015-01-12 0 3827
41 글로벌 관광 융-복합 산업 연합회(GCTIF), 2015 신년 모임 개최 2015-01-12 0 4009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