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닌 밤중에 홍두깨’다. 고향 동네의 보스(首领)가 마을 총회가 있으니 지정한 시간에 지정한 장소에 도착하여 출석하도록 하쇼! 지령을 보내왔다.마을의 전답들이 도시 개발의 저변에 깔려 들어간다는 부언이다.하여 내 유소년 시절의 희노애락이 서려있고 청춘의 꿈을 키워주던 고향으로 허겁지겁 찾아떠났다.
사나운 시류에 떠밀려 바닷가 어느 동네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누구이다.오래 동안 부평초 방랑살이의 빗바람을 실컷 마시고 타향살이의 쓴맛 단맛을 만끽하며 떠돌았어도 고향을 전혀 등지고 산 것은 아니다.고향의 변천에 시시로 눈을 주고 그 뉴스를 무시로 렴탐하면서 사모불망(思慕不忘)으로 지나왔다.타지에서 생계가 급하여 허둥대면서도 조용할 때면 늘 진한 향수(乡愁)에 젖어 고향 모습을 그리었고 가고파의 회포로 가슴을 젖히군 하였던 나다.
마을에 들어서니 추억은 살아 숨 쉴 뿐 눈앞에 펼쳐진 정경에 기분은 나락으로 떨어진다.낯선 아스팔트의 량켠에 주인을 잃은 빈집들이 수두룩하고 세월의 무게를 감내하지 못해 땅으로 가라앉은 집들과 서까래가 처진 모습도 보이는데 빈터에 자란 무성한 잡초가 삭막한 풍경을 그려내며 정신적 공황을 불렀다.뜰과 마당을 어림할 수 없는 터전에서 길건너에 줄지은 현대화 건물을 보며 가슴 속의 고향은 옛날과 오늘의 경계에서 오락가락하였다.어느 때일가 돈에 혈안이 된 개발자가 돈다발을 내던지고 삼켜버릴 신세,내 사랑하는 고향이 분명 새로운 숙명을 맞이하고 있었다.
마중 나온 친구와 술좌석으로 직행했다.고향을 떠나 장장 30여년,강산이 세번도 더 변하고 마주한 친구 향친들의 머리에는 폭설이 내렸다.그래도 술잔을 기울이며 안부를 확인하고 깜박거리는 기억을 더듬으며 덕담에다 잡다한 이야기를 섞어가며 말 꽃을 피웠다.말말결에 동네에서 아기의 도고한 고고성이 울린지는 어느 옛날이고 70대면 장년,60대면 청년,50대면 소년,40대면 어린애라는 소리다.거의가 땅을 버린채 현대판 디아스포라(离散的犹太人)식 류랑민으로 전락하였는데 인구의 격감으로 기존의 년령대 구분 문법이 허물어 진 것이다.향민들이라 해야 세부득이 사정으로 본가를 지키는 로년자들, 팔자 사주에 따라 움찍거리는 약자들, 고향의 돈벌이도 짭짤하다는 몇몇 젊은이들이 탯자리 파수군으로 남아있다.그러나 어느 땐가 무슨 낌새가 나면 철새처럼 날아갈 그들이다.고향의 존망이 불보듯 뻔하다는 말이다.
농업이 나라의 기본이라며 정부는 갖가지 진흥책을 단골 메뉴로 등장시키나 돈이 으뜸인 향민들에게는 외쳐본다 해야 버럭질이고 군짓이다.역빠르고 잽싸고 상황에 따라 비굴해지기도 해야 하는 세태인데 그 땅뙈기는 언녕 어느 전문인에게 이양되고 모두가 삶의 바다에서 산산히 흩어져 나간다.그들에게 있어서 가난의 티를 벗고 상류층 향상을 위한 생존 투쟁은 아직도 필연적인 미완의 과제인 것이다.이 선량한 향민들이 언제면 희망의 피안에 이르고 그 가족단란의 소박한 꿈은 언제나 이뤄질 것인가.
유명을 달리 하신 우리 선조들, 보리고개 춘궁기(春穷期) 때면 영양실조로 얼굴이 누렇게 뜨시면서 일년에 300일을 웃도는 고된 로동에 부대끼셨다.그들은 이 땅을 옥토로 만들어 해해년년 풍작을 이룩하고 후세들에게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는 풍의족식의 태평성대를 만들어주려 불철주야의 로고를 바치셨다.하늘 땅과 싸워 이 고장을 산좋고 물맑은 안락정토로 건설하여 세세대대의 자자손손이 이 땅에서 영화를 누리는 것이 그들의 최고 리상이었었다.이 선조들의 혈한으로 얼룩진 희망의 땅들이 건설의 세찬 물결에 말끔이 사라진단다.
그 세월이 남긴 난감한 기억들을 말끔히 지우고 싶다.지난 세기의 50년대 우리의 유치원 시절은 농업합작화의 초기, 어른들이 밤교대 탈곡을 하시다 잠간 휴식이 되면 허기진 배를 채우시려 삶은 무우를 간장에 찍어 드시던 희한한 장면이 새삼스럽다.이 옛일을 젊은 넘들에게 들먹거렸더니.”아니,그 사람들이 머리가 열번 돌고 얼이 백번 빠진거 아니여요? 자기의 땅에서 자기 힘으로 지은 자기 곡식인데 왜 쌀밥을 지어 배 터지게 안 먹어요?!” 라며 두눈을 동그라미로 만든다.“아니야!배부르면 좋은 걸 그들이 왜 몰라! 그것은 그 시대인들의 기성도덕이었고 그 세대가 떠멘 운명이었어.바로 그 나날의 력사를 창조하는 길에서 그이들이 그렇게 쌓아 온 행복의 열망이 개혁개방의 장엄한 서막을 세차게 열어제낀 원동력이 아니였겠냐?” 나의 궁색한 답변이었다.
오늘의 력사를 이어가는 후대들,이들은 풍요의 시대를 즐기면서 비단 같은 포장도로 위에서 자가용을 슬슬 몰고 다니며 그 옛날 장원급제했던 반가(班家) 도령의 금의환향(锦衣还乡)에 짝질게 없다고 자신하며 고을 원님도 부러울 게 없다고 자부할 것이다.현대화 정보기기를 휘두르며 고기 반찬 속에서 야채만 골라집는 세대들이다.새로운 시대,새로운 가치관, 새로운 목표를 가진 후예들 어깨에 가늠이 어려운 고향의 미래가 놓여 있다.
정보사회를 대변하는 스마트폰도 알기 전에 지능사회가 물살을 일구며 몰려오는데 다음 시대의 고향 모습은 무엇일 것인가. 오래지않아 고향 주소는 지도에서 가뭇없이 사라지고 인터넷 가상공간에나 한줄로 남을 것만은 틀림없다.그때면 우리는 완벽한 실향민이 될 것이 아닌가.
인생의 모년에 파 들고 싶던 안식처,영고성쇄(荣枯盛衰)의 만장 력사를 침잠한 기억의 낚시터,락엽귀근(落叶归根)의 본거지, 이 고향이 가속으로 사라진다. 만감이 서린 가슴을 안고 집에 돌아온지가 이슥한데 그 상실감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이 위인은 아직도 심한 열병을 앓고 있다.
(끝)
연변일보 .2017-08-11일
그러나 하북 혹은 하남 지어는 남방의 시골들을 가보세요 가보를 지켜 나가면서 그 땅을 목숨으로 걸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한족들은 자기의 이른바 땅을 목숨으로 보존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조선족은 이땅을 버리고 간다는 자체는 이해해야 하고 절때 그분들 나무람하지 말고 조선족자치주 정부 나으리들이 반드시 앞장서 해결해야 할 일이 아닐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