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중국대륙의 겨레렬사기념비》
건군 90돐 기념 특별기획-중국대륙의 겨레렬사기념비 (6)
□ 리 함
1
김원영(金元英) 렬사 |
김원영(金元英, 1919-1945.3.24)은 황해도 장연(長渊) 출신으로 알려진다. 김원영의 출생을 두고 1919년 설과 1922년 설 두가지가 있는데 한국의 김원영 독립유공자 공훈록 등 여러 주요자료들에서 1919년생이라고 밝혔기에 본문은 1919년 설을 따르기로 한다. 중국에서의 부름은 구양명(欧阳明)이고 1935년 일제측 “중화민국재류불령선인단체의 정황”(中华民国在留不逞鲜人团体의 情况) 보고서에는 김원영(金元瑛, 张阳明)으로 기재되여있다.
중국땅에서 활동한 조선인 비행사로 알려지기전 김원영은 이름난 항일독립지사인 김보연(金甫渊)의 아들로 나타난다. 김보연은 1919년 4월 상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림시정부의 초대 의정원 의원으로서 1920년에 상해 대한인민단 간사와 상의원을 지내고 1921년에 상해 대한교민단 총무, 1922년-1926년에 류호(留沪)청년회, 림시정부 경제후원회 등 부문에서 활동하면서 상해림시정부 수립에 주추돌 역할을 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김원영의 아버지 김보연은 바로 이런 사람이다. 후날 대한민국림시정부 주석 김구(金九)선생과 동향(同乡)인 관계로 김구선생의 상해진출에 도움을 주게 되였으니 이 도움이 김구선생의 자서전 《백범일지》에 그대로 적혔다.
-이튿날 나는 벌써부터 가족을 데리고 상해에 와있던 김보연의 집을 찾아가서 거기서 숙식을 하게 되였다. 김군은 내가 장연에서 교육사업을 총감하는 일을 할 때에 나를 성심으로 도와주던 사랑하던 청년이였다. 김군의 소개로 전부터 잘 알고있던 리동녕(李东宁), 리광수(李光洙), 김홍서(金弘叙), 서병호(徐炳浩) 등 옛 동지를 만났다. (도서출판 耕慧社, 2006년 2월 초판,제283페지)
김구선생의 회고는 1919년 3.1운동 직후 상해로 망명하던 시절의 일로서 항일독립지사들인 김구와 김보연과의 관계가 이만저만이 아님을 잘 알려주고있다. 1876년생으로 이해 44세인 김구선생은 자기보다 후배인 동향친구를 “사랑하던 청년”이라고 부를만도 했다. 또한 김원영을 포괄하는 김보연 일가가 상해에서 생활하였음도 지적하여준다. 이와 동시에 한국정부에서 고인이 된 김원영의 공훈을 기리여 2001년에 추서한 건국훈장 애국장 공훈록에 따르면 김원영은 “어려서 부모를 잃은 까닭에 안원생(安原生)에게 시집간 누이 김영애(金永爱)의 거처인 북평에서 거주하였다”고 밝히여 김원영의 중국으로의 진출은 상해시절에 앞서 북평에서 이미 생활하였음을 알린다. 모순되는 점은 아버지가 항일독립지사로 살아계시는데 “어려서 부모를 잃은 까닭에” 시집간 누이 따라 북평에서 생활하지 않으면 안되였다는 부분이지만 김원영의 북평생활은 사실인것 같다.
2
어느덧 김원영은 17살 젊은이로 자라났다. 17살 되던 이해 1935년 2월, 김원영은 아버지와 김구선생의 배려로 김구선생이 중국측과 교섭하여 남경에 설치한 조선인 학생훈련소에 입소하여 군사훈련을 받았다. 학생훈련소는 남경의 중국 중앙군관학교에 입교하기전 학생들에게 예비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설치되면서 남경성내 동관두(东关头) 23호에 자리잡았다. 동관두는 옛수도(古都)로 이름난 남경의 유람명승지 부자묘(夫子庙)와 진회하(秦淮河) 가까이에 위치하여 기분도 한결 좋았다.
김원영은 남경의 학생훈련소를 거쳐 남경중앙군관학교를 제19기로 졸업한후 1935년 8월 하순 김학무(金学武), 리성황(李成煌), 정성언(郑成彦) 등이 조직한 사회주의 비밀결사 혁명동지회(革命同志会,일명 10월회)에 입회하여 활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땅에서 활동하는 조선인 혁명가로서의 참된 모습이다.
1939년 2월 광서 류주(柳州)에서 조선인 청년들의 항일단체조직-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韩国光复阵线靑年工作队)가 결성되였다. 김원영은 이 청년공작대의 30여명 대원중의 한사람으로서 그 시절 동지인 김자동(金自东)의 회고문 “중국 상이군인(부상병들을 가리킴) 위문공연 펼친 조선 청년들”에서 생생한 모습으로 나타나 고무를 주고있다.
남경항일항공렬사기념관 밖에 전시된 당년 비행기 모형
후일 대한민국림시정부 기념사업회장으로 활동하는 김자동은 자기의 회고문에서 “류주시내에 당나라때의 문인 류종원을 기념하는 류후공원(柳候公园)이 있는데 광복진선계 청년들의 합숙소가 그 근처에 있었다.”면서 “공원은 공기도 좋고 운동을 즐기기에 좋은 곳이였다. 림정(临政)이 류주에 머무는 동안 나는 거의 매일 공원과 합숙소에 들려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회고문에 쓰고있다.
김자동은 또 이렇게 회고하고있다.
류주에서도 일본군의 공습이 몇차례 있었다. 공습경보 싸이렌이 울리면 모두 근교로 피신했다. 류강(柳江) 건너편은 산과 가까왔으므로 천연동굴로 피했으며 시중심쪽에 있던 우리는 공동묘지쪽으로 나갔다. 묘지사이에 방공호를 파놓아 비행기가 접근하면 그속으로 들어가게 돼있었는데 실제로는 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묘지사이에 앉아 시간을 보내는것이였다. 방공호속에는 길이가 한자 넘는 큰 지렁이들이 보일 때도 있었다. 후날 알게 됐지만 그곳 사람들은 이 지렁이를 별미로 료리해 먹고있었다.
김자동의 회고인용은 류주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시절 김원영을 보는듯이 리해하는데 큰 도움으로 나선다. 김자동의 회고에 따르면 1937년 7.7사변후 중국의 전면 항일전이 시작되면서 중국군의 희생은 막대하고 부상병들이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았다. 이에 김원영 소속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는 1939년 3월초 3.1절 기념행사에 이어 중국군 부상병 위문과 모금연예활동을 활발히 벌리였다.
3
위문과 모금연예활동은 류주에서 가장 크다는 류주대극원(大戏院)에서 치러졌다. 이날 류주대극원 1층 일반석은 전부 매진되고 2층은 중국군 부상자들 초대석이였다. 연예가 시작되자 청년공작대 소년대원들이 “푸른 하늘” 등 가요를 부르며 춤추며 돌아갔다. 연극은 중국인 연예단과의 합동으로 펼쳐지면서 김자동이 피난민 소년 역을 맡아나섰다. 공작대의 막내둥이 녀성대원 오희영(吴姬英)이 피난민 소년으로 분장한 김자동의 누나노릇을 하였다. 연극의 노래는 우리 말이지만 연극은 모두 중국어로 펼쳐졌다. 관중과 부상자들은 반일정서를 고무하는 조선동지들의 연극에 열광적인 환호를 보내며 무대와 관중석을 하나로 이어놓았다.
이날 공연에서의 또 하나의 연극은 동북의 항일유격대를 배경으로 한 “전선의 밤”이였다. 연극의 주연배우는 미남으로 총애받는 김원영이고 대사는 역시 중국어로서 청년공작대의 전원이 출연에 나섰다. 김원영은 중국군 비행사에 앞서 연극의 주연배우로 등장할만치 재능있는 미남청년이였다. 김원영을 모르면 상상이 잘 가지 않는 인생려정 한부분이다.
2005년 8월 대한민국림시정부 기념사업회에서 광복 60돐을 맞으면서 대학생을 주축으로 하는 100여명 답사단을 조직해 상해-중경 10일 현지답사를 조직하였다. 이들 답사단이 광서 류주를 거치면서 보니 당년의 연예활동 보도 신문이 남아있고 그 기사를 썼던 기자가 90대 로인으로 이들을 맞아주었지만 그제날 공연극장은 1939년 4월 이후 조선동지들이 류주를 떠난 뒤 일본군의 폭격으로 완파되였다고 한다.
기념비 구내 비림속에서 전상국, 김원영 비림을 찾은 필자. /2013년 9월 19일 현지촬영
류주를 떠난후 김원영의 인생려정은 크게 바뀌여진다. 김원영은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를 떠나 중국의 군관학생으로 되였다. 이를 증실하는 자료가 최근년간 사천성 성도시당안관에서 발견된 1942년의 “각국교민등기표”이다. 여기 각국교민등기표에 따르면 김원영은 이름을 구양명이라 밝히면서 국적란에 한국, 나이는 22세, 다닌 군관학교는 중앙군관학교 제18기 학원이라고 적었다. 성도시당안관의 소개에는 김원영이 1943년에 18기 군관학교 학습을 마치고 공군비행사로 진출한것으로 알려지지만 공군비행사로의 시초 경력은 잘 알려지지 않는다.
한국에서 알려지는 관련자료에 따르면 김원영은 1944년에 미군이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따라 이해 2월 인도에 가서 비행훈련을 추가로 받다가 중미련합항공대에 배속되고 1945년 1월 상해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는 사실인것으로 보이지만 가장 얼떠름한 부분이 바로 이 시절 김원영의 행적이다. 연구자료들에 따라 김원영을 중국군 공군군관학교 제15기생이라고 하지만 이는 이제 뒤에서 제15기생이 아님이 사실로 드러난다.
그럴 때 1960년 국민당 공군본부에서 출판한 《공군충렬록(共軍忠烈錄)》 제1집 제508페지에 김원영의 간략한 소개가 있어 주의를 모은다.
김원영, 구양명이라고도 함. 중화민국 11년(1922년) 9월 6일 출생. 본적지 한국, 우리 나라 적에 가입한후 상해사람으로 되다. 공군군관학교 제16기 구축조(驱逐组)를 졸업. 공군 제5대대 제29중대 소위 3급 비행원으로 임명. 34년(1945년) 3월 24일, 김원영은 호남 지강(芷江)에서 상양(湘阳)의 일본군을 향해 출격하려고 리륙할 때 비행기사고로 순국… 유족으로 부모가 있음.
김원영이 비행기사고로 순국? 이는 김원영연구에서 가장 주의를 끄당기는 부분이기도 한데 하나는 비행기사고라고 하고 하나는 아니라고 한다. 어찌하든 김원영이 1945년 1월 상해로 돌아왔음을 알게 되였으니 그후의 김원영 발자취를 추적해보기로 하자.
2015년 7월 초고, 2017년 2월 보충정리
파일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