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성의 달에 큰 바다 … 생명체 있을까
조글로미디어(ZOGLO) 2014년4월11일 10시43분    조회:1711

 이탈리아 사피엔자대학과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항공우주국(NASA) 공동 연구진은 토성 탐사선 카시니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엔셀라두스 남극 얼음층 30~40㎞ 아래에 액체 상태의 물이 대규모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서다.

 이 바다의 깊이는 약 8㎞, 범위는 남극점에서 남위 50도까지 뻗어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공동저자 중 한 명인 칼텍의 데이비드 스티븐슨 교수는 “(지구 에서 둘째로 큰) 미국 슈피리어 호(면적 약 8만2360㎢, 여의도 면적의 2만8400배)와 비슷한 크기”라고 밝혔다. 지금껏 태양계 천체 가운데 이런 바다를 가진 것으로 확인된 것은 토성의 또 다른 위성인 타이탄과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뿐이었다. 

엔셀라두스는 반지름이 250㎞로 지구 달(반지름 1738㎞)의 약 7분의 1 크기다. 표면 온도가 약 영하 180도라 전체가 두꺼운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 이 때문에 햇빛을 거의 그대로 반사해 지구의 달보다 10배 이상 밝게 빛난다. 2005년 이 ‘작은 얼음별’ 지하에 바다가 존재할 것이란 추측이 제기됐다. NASA가 유럽우주기구(ESA) 등과 함께 만들어 1997년 발사한 토성 탐사선 카시니가 엔셀라두스 남극 부근에서 얼음 성분의 수증기가 뿜어져 나오는 현상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2010년에는 직접 찍은 사진도 전송했다. 과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엔셀라두스 지하에 거대한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측했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내놓지 못했다.

 그 뒤 9년, 카시니가 다시 그 답을 줬다. 2004년 토성 궤도에 도착해 10년째 주위를 돌고 있는 카시니는 지금까지 19번 엔셀라두스를 스쳐 지나갔다. 그때마다 엔셀라두스에 전파를 쏘고 되돌아온 주파수 값을 지구로 전송했다. 과학자들은 이 가운데 2010~2012년 비행(총 3회) 때 보낸 신호를 분석해 카시니의 비행속도를 계산했다. 움직이는 차에 레이더파를 쏘아 차의 속도를 재는 스피드건과 같은 원리(도플러 효과)다. 그 결과 카시니의 비행속도가 엔셀라두스 중력장의 영향을 받아 초당 90㎛(1㎛=1000분의 1㎜)씩 미세하게 변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중력이 센 곳을 지날 땐 속도가 느려졌고, 중력이 약한 곳을 지날 땐 빨라진 것이다.

 하지만 표면이 움푹 파여 중력이 약할 것으로 예상된 남극을 지날 때 속도는 예상보다 많이 빨라지지 않았다. 겉으로 보이는 얼음 안쪽에 뭔가 얼음보다 밀도가 큰 것이 있어 카시니를 끌어당겼다는 의미다. 과학자들은 정밀 분석 끝에 그것의 정체를 액체 상태의 물로 지목했다. 물은 얼음보다 밀도가 7% 정도 높다. 바다의 바닥도 얼음이 아니라 규산염 암석일 것으로 예상됐다. 사실일 경우 생명체의 양분이 될 수 있는 성분이 많이 만들어질 수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서행자 박사는 “물이 암석을 풍화시키며 다양한 화학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더 큰 셈”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28
  • 불과 얼마 전, 지구에서 560광년 떨어진 용자리 근처에서 발견된 ‘케플러-10C’ 행성은 지구무게의 17배에 달하는 크기에 대부분이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능성이 제기돼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대기와 물이 존재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지구 유사 행성...
  • 2014-06-06
  • 중심부분인 특이점의 중력이 너무 거대해 해당 경계를 지나면 빛조차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인 블랙홀, 이론적으로만 존재해왔지 실체가 규명된 적은 없는 신비의 실마리가 잡힌 것일까?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일반 광학망원경으로 볼 수 없는 우주감마선을 관측하기 위한 망원경인 NASA 감마선 우주 망원...
  • 2014-06-05
  •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제공한 이 사진은 NASA의 허블 우주망원경이 9년 동안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합성 이미지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841회 공전하면서 얻은 자료는 가시광선뿐 아니라 근적외선과 자외선 대역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압축한 것까지 들어 있어 인간의 눈으로 포착할 수 없는 것들도 표현돼 있다. 특...
  • 2014-06-05
  • 평소 우주와 별 같은 천문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라면 어렸을 적 한번 쯤 ‘지구에서 곧장 달로 가는 수직엘리베이터가 생기면 어떨까?’라는 상상을 해본 적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엘리베이터를 실제로 만들려면 얼마나 대단한 최첨단 건축기술이 필요할지 의문이 들지만 생각보다 답은 가까운 곳...
  • 2014-06-05
  • 美항공우주국(NASA·나사)이 이달 중 화성에 보낼 비행접시 시험비행에 나선다.     나사는 2일(현지시간) 하와이의 카우이섬에 있는 미해군 태평양미사일시험장에서 최초로 저밀도초음파감속기(LDSD)로 이름붙여진 비행접시 시험비행을 준비중이라고 발표했다.      비...
  • 2014-06-04
  • 우리 머리 위 수백 km 상공 위에 주사위가 떠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마치 인공위성처럼 지구를 돌고있는 붉은색 주사위가 공개돼 화제가 되고 있다. 공개 직후 역시나 합성 논란을 일으킨 이 사진 속 주사위는 실제로 370km 상공 위에서 지금도 인간을 ‘굽어보고’ 있다. 화제의 이 사진은 지난달 러시아 우주...
  • 2014-06-04
  • ▲거대한 몸집의 바위로 구성돼 있는 '메가지구'가 발견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사진제공=NASA] '케플러 10c' 행성…천문학자들 당황  새로운 형태의 행성이 발견됐다." "거대한 바위 행성의 발견으로 천문학자들이 당황하고 있다." 지구보다 17배나 무겁고 2배 정도 큰 '바위 행성'이...
  • 2014-06-04
  • 별은 수명이 다할 때 평소보다 수억 배 밝은 빛을 뿜어내다 서서히 낮아지는데 우리는 이를 ‘슈퍼노바’(supernova) 즉, 초신성(超新星) 현상이라 부른다. 별이 진화되는 가장 마지막 단계임에도 ‘초신성’이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순간적으로 폭발하는 모습이 마치 새로 태어나는 것처럼 보이기 ...
  • 2014-06-04
  • 인간이 10개월간의 산고(産苦)를 거쳐 소중한 새 생명을 탄생시키는 것처럼 무한한 우주 속 밝게 빛나는 별 무리도 분명 신생아(新生兒) 시절이 있었을 것이다.  최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신생 항성 ‘IRAS 14568-6304’의 탄생 순간을 공개했다. 지구로부터 약 2,500광년...
  • 2014-06-04
  • 한 아마추어 천문가가 여름밤의 은하수를 바라보고 있다. 수많은 별이 무리를 이루고 있는 은하수는 사실 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 은하를 지구에서 바라본 옆면이다. 우리 조상들은 별들이 마치 강물처럼 흐른다고 해서 은하수라고 불렀고, 서양에서는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 ‘밀키웨이’(젖의 길)라는 이름으...
  • 2014-06-04
‹처음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