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품배우인 리동훈은 이름보다 “떼떼”로 사람들에게 많이 익숙해있다. 그만큼 그가 소품을 통해 소화해낸 “떼떼”역은 보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만큼 실감났고 이들의 마음속에 깊숙이 아로새겨졌다.
“연변의 소품은 극성을 띠고 선과 악을 선별하고 옳고그름을 판단하기에 단순한 개그에 비해 웃고나면 무언가 남는것이 있게 되지요. 연변소품의 특색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특점을 계속 고집하기에는 요즘 관중들이 개그에 대한 요구가 부단히 변화되고있다는 현실이 있어요. 연변의 소품도 개혁이 필요할 때가 도래한것 같아요.” 25일 자택에서 리동훈씨를 만났을 때 그가 꺼낸 말이다.
얼마전 연길시조선족예술단 구연부 8명 배우는 한국에서 펼쳐진 제1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에 참가하고 돌아왔다. 이들은 “부모는 거울”, “대리 학부형”, “감주장사”, “얻은것과 잃은것” 등 연변에서 많이 알려진 소품들과 만담 등으로 “뻥치기”라는 한시간 반 분량의 공연을 했다. 그러나 연변에서 배를 끌어안고 웃던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현지 관중들의 반응은 달랐다. 한국방문으로 그는 연변의 오늘날 소품이 한국의 70년대 개그와 비슷하다는 느낌을 갖게 되였다. 다른 참가팀의 공연을 보면서 단순한 개그로도 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무언극을 보면서도 배를 끌어안고 웃는 관중들의 모습을 보면서 연변의 특색만을 고집하기보다는 외국의 우수한 점들도 따라배워 연변소품에 알맞게 새로운 변화가 필요함을 절실하게 느꼈다.
안도 장흥촌태생인 리동훈씨는 초중을 졸업한 뒤 농사일을 하면서도 문예가 좋았던지라 농촌선전대에서 노래를 하고 춤을 추고 “삼로인”을 했다. 1976년에 연변연극단을 바라고 시험에 참가했는데 락방되였다. 3년후 친구의 추천으로 연변구연단의 시험에 통과되면서 본격적으로 배우의 길에 올랐다.
전문적인 연기지도를 받지 못하다 보니 연극단의 집중강습에도 참가했고 모방도 해보면서 연기실력을 쌓아갔다. 처음에는 만담이나 삼로인을 위주로 하면서 소품에도 참가했다. 그러다 1986년에 소품 “통졸임사건”으로 리동훈은 “떼떼”로 이름을 알리게 되였다.
당시 “통졸임사건”대본을 받고나서 머리속에 떠오른 인물이 바로 말을 먹던 고향의 이웃아저씨였다.또 조선만담을 들으면서 말을 먹는 연기가 그토록 인상 깊었던 그였다. 하여 그는 말을 먹는 연기를 하면 어떻겠냐고 연출한테 제의했다. 그렇게 리동훈은 “떼떼”로 등장하고 인기를 끌었으며 여러 소품을 통해 상대 배우인 오선옥씨와 더불어 “떼떼부부”로 이름을 날리게 되였다.
그의 실감나는 연기에 리동훈씨가 실생활속에서도 말을 먹는가 하는 의문을 가지는 사람도 많았다. 지어 아이들이 리동훈씨의 “떼떼”흉내를 따라하다보니 부모들의 “항의”도 들어왔다.
그동안 “새 중국 창립 60돐 탁월한 공헌을 한 구예가"”칭호, 연변 “진달래”문예상 등 수많은 국가, 성, 주 상을 수여받은 리동훈씨는 현재 연길시조선족예술단에서 근무하면서 소품출연은 물론 후배들에게 연기를 가르치고있다. “연기는 생활속에서 오기에 그속에서 생동한 인물들을 많이 배워야 한다”는게 후배들한테 주는 조언이였다.
항상 풋풋한 느낌 그대로인 리동훈씨는 이웃들과 장기도 두어판 두고 자전거를 타면서 즐거운 여가생활도 즐기고있다.
연변일보 허국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