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연변인민출판사 항전승리 기념도서 륙속 출간
조글로미디어(ZOGLO) 2015년9월23일 12시51분    조회:1093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연변인민출판사에서는 항일전쟁 승리 및 세계반파쑈전쟁 승리 70주년을 맞으면서 가렬처절했던 항일전쟁에서의 조선족과 관련된 내용들로 만들어진 조선문도서들을 륙속 출판하고있다. 아래는 최근에 출판되여 독자들과 대면하였거나 곧 대면하게 되는 기념도서들이다.

《항일련군의 조선족녀전사들》 (리광인 림선옥 김창석 편저)

가렬처절했던 항일의 나날에 11개 군으로 무어진 동북항일련군의 조선족장병들은 민족 독립과 해방을 위하여 피끓는 청춘과 고귀한 생명을 바쳤다.그들중에는 가녀린 몸으로 총대를 잡고 나서서 청춘도 사랑도 생명도 선뜻이 바치고 자식도 가족도 희생하면서 자랑스럽고 눈물겨운 력사를 쓴 조선족녀전사들도 적지 않다.

이 책에 수록된 49명 녀전사들은 그녀들중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항일련군 녀전사들, 피어린 전쟁의 년대에 중화민족의 영웅군상을 이룬 그녀들의 사적은 처절하고 감동적이고 눈물 없이는 읽을수 없는, 세계 반파쑈전선에서 그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자랑찬 력사이다.

《항일련군의 조선족녀전사들》은 오늘날 청소년들이 항일투사들의 간고한 투쟁생활을 리해하고 오늘의 행복을 소중히 여기도록 가르칠수 있는 귀감으로 될것이다.

《중국조선족꼬마항일영웅들》 (리광인 림선옥 저)

겨레의 항일 아동단과 소선대원들의 거룩한 항일이야기를 엮은 도서이다.

수천명에 달하는 조선족아들딸들이 피어린 항쟁에서 희생되였다. 그들중에는 나어린 아동단원들을 망라한 꼬마항일영웅들ㅡ항일 아동단과 소선대원들도 있다. 그들의 이야기는 실로 눈물과 감동 없이는 읽어내려갈수 없는 파란만장한 드라마와 같다.

《중국조선족꼬마항일영웅들》에 오른 소년렬사들과 항일이야기 대부분은 저자가 소년렬사들의 피어린 발자취를 추적하면서 널리 조사하고 정리해낸 생생한 자료들에 바탕을 두고있어 더구나 감동적이다.

이 책은 소년렬사들의 전기와 항일이야기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10대 소년들만이 아닌, 어른으로 성장한 항일선렬들의 어린 시절 항일이야기도 다각도로 수집하여 립체적으로 다루었는바 청소년들에 대한 애국주의교양에서 중요한 자료로 될것으로 기대된다.

《승리의 기록》 (최삼룡 편)

기념문집에는 중국공산당문헌으로부터 항일사건들에 대한 해석, 항일투사들의 회상기, 항일투쟁시기의 우리 민족의 삶을 반영하면서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불타는 적개심을 나타내고 항일영웅들을 가송한 소설, 항일투쟁중에서 창작되고 공연된 연극, 20세기초 즉 항일투쟁 반세기에 류전된 설화작품 등이 실렸다.

중국조선족은 20세기 상반기 일본제국주의와의 피어린 투쟁중에서 불의와 압제에 도전하는 혁명정신과 원쑤와 용감히 투쟁하여 최후의 승리를 쟁취하는 생명저력을 세상에 과시하였으며 반만년 력사행정에서 쌓아온 민족 고유의 전통문화를 남김없이 빛내였다.

기념문집은 항일전쟁 승리 70돐을 기념하는 승리의 기록으로서 수백만자에 달하는 항일투쟁기록에서 후대들의 공부와 후대들에 대한 교육에 도움이 될만한것들을 선록하였는바 중국조선족항일투쟁사에 대해 쉽게 읽을수 있는 보급용 간략독본이 될것이다.

《항일가곡선집》(남희철 주필)

항일전쟁시기 우리 민족이 즐겨 불렀던 노래 200수를 선정하여 엮었다.

《8년항전》으로 일컬어지는 중국의 전면적인 항일전쟁시기에 우리 민족은 중국의 광활한 대지에서 성스러운 항일전쟁에 앞장서서 일본제국주의침략자들과 결사전을 벌이는 한편 군민들에게 항일 의지와 용기를 북돋우어주고저 수많은 항일가곡들을 만들고 불러왔다.

간고했던 항일전쟁의 나날을 회고하고 항일전쟁에서 희생된 선렬들을 추모하고 이들의 유지를 되새기면서 출간된 《항일가곡선집》은 항일가곡을 사랑하고 대를 이어 애창하면서 영웅적인 항일렬사들의 정신이 길이길이 전해지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담기도 했다.

《항일전쟁과 중국조선족》 (김춘선 주필)

중국조선족의 항일투쟁력사는 다른 민족들의 항일투쟁보다 일찍 시작되였고 또한 걸어온 길 장려하면서도 험난했다. 보통 중국에서의 항일전쟁시간을 두고 《관내의 8년 항전》, 《동북에서의 14년간의 항일투쟁》이라고 일컫고있다. 그러나 동북에서의 중국조선족의 항일투쟁은 20세기초에 있은 《일로전쟁》후의 1907년부터 1945년에 이르기까지 장장 38년이라는 피어린 투쟁의 력사를 경유하였다고 할수 있다.

중국조선족은 중국공산당의 정확한 령도하에 앞사람이 쓰러지면 뒤사람이 이어가면서 항일전쟁의 최후승리를 쟁취하였다. 허허벌판 만주벌에서 눈바람을 이겨내며 주야장천으로 싸운 중국조선족항일투사들, 령어의 몸으로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갖은 혹형을 당하다가 차거운 쇠사슬을 찬채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항일지사들 그리고 지금까지도 산천황야의 무주고혼이 되여 심산의 어느 밀림속에 소리없이 누워있는 항일영렬들의 거룩한 넋은 세세손손 멀고먼 후세까지 전해지리라 믿어의심치 않는다.

길림신문 김태국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215
  • 어린시절 엄마, 아빠와 읽었던 이야기책은 머리가 아닌 몸이 기억한다. 이야기는 가물가물해도 즐거웠던 느낌은 선명하다. 함께 책에 빠진 경험은 아이와 부모 모두에게 추억이 된다. 올해 어린...
  • 2016-06-06
  • 도옥 김영건의 4번째 시집인  《물결이 구겨지고 펴지는 리유》가 최근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간되였다.  시집 《물결이 구겨지고 펴지는 리유》에는 총 130여편의 시가 수록되였고 4개 장절로 나뉘었다. 제1부는  "구색아리랑", 제2부 "나무와 물의 대화", 제3부 "몽접의 호수", 제4부 ...
  • 2016-06-06
  •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한국과 중국 문인들의 교류 모임인 한중작가회의 열 번째 행사가 오는 7∼8일 경북 청송 객주문학관과 청송군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다. 양국 작가들은 2007년부터 매년 양국을 번갈아 오가며 양국의 역사, 문화, 문인들의 현재 활동을 공유하는 행사를 열어왔다. 한국의 주요 문인들이 주...
  • 2016-06-02
  • 5월 25일 오전, 연변일보사와 연변작가협회에서 공동으로 주최하고 연변일보 문화부가 주관한 “문학을 꿈꾸는 청춘들에게ㅡ다세대 문학창작교류 특강”이 연길우의유한회사 코스모식당, 코코블랙까페의 후원으로 코코블랙까페에서 진행되였다. 다세대 작가들사이에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기성작가들이 조선족문...
  • 2016-05-26
  • 주향숙의 수필집《누구에게도 기억되지 않는 자유》가 최근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판되였다. 수필집에는 총 50여편의 수필이 수록되여있다. 그중 "나는 나쁜 녀자입니까?', "독한 녀자였을가?", "가을이 아름다운 리유를 아십니까?", "당신은 올수 있는 곳이 있습니까?", "감히 사랑이라 부를수 있습니까" 와...
  • 2016-05-25
  • 귀국 후 첫 기자회견…"수상 예상 못해…11년 전 소설로 상 받으니 이상해"  신작 '흰' 소개…"인간의 밝고 존엄한 지점 바라봐"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상은 책을 쓴 다음의 아주 먼 결과잖아요. 그런 게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국인 최초로 지난 17일 ...
  • 2016-05-24
  • [저자가 독자에게] G국가, 중국 제대로 알기 우리 주변에서는 중국에 대한 담론을 쉽게 들을 수 있다. 다녀온 중국 패키지여행 경험에서부터 각종 매체로부터 접한 정보를 근거로, 중국을 이야기한다. 중국산 가짜와 짝퉁 물건에서부터 여행 중에 보게 된 중국 대륙의 비경에 감탄하는 담론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그런 담론...
  • 2016-05-24
  • 한국문단의 거목으로 흑구(黑鷗) 한세광의 뜻을 기리고 유능한 문학인재를 발굴 육성하며, 국내외를 초월한 문학인재를 발굴하는 수필문학상인 제8회 흑구문학상 대상(본상)에 수필가 임병숙씨(강원도 원주시)의 작품 `꽃`이 선정됐다. 흑구문학상제정운영위원회(회장 서상은)는 최근 제8회 흑구문학상 심사위원회를 열고 흑...
  • 2016-05-19
  • 등단부터 주목받아온 '차세대 韓문학 기수' "소설은 광주민주화운동에서 시작된 질문에 답하는 과정"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소설가 한강(46)이 한국인 최초로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수상자로 결정되면서 작가의 이력과 작품 세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
  • 2016-05-17
  • 송몽규를 기억하다 - 룡정.윤동주연구회 반일지사, 문사 송몽규를 기리는 행사 펼쳐 2016년 5월 15일 오전 룡정.윤동주연구회에서 반일지사, 문사이며 윤동주의 숙명의 동반자인 송몽규를 기리는 뜻깊은 행사를 펼쳤다.   3부로 펼쳐진 행사는 1부로 룡정 동산마루에 잠들어 있는 송몽규묘소와 윤동주 묘소를 참배하고...
  • 2016-05-16
  • [탄생 100주년… 그러나 잊혀진 작가들]  일제강점기 말기와 격동의 해방공간 등에서 활동한 1916년생 작가들의 탄생 100년을 맞아 그들의 작품세계와 삶을 다룬 문학제가 12일 열렸다. 대산문화재단의 ‘2016년 탄생 100주년 문인 기념문학제’는 ‘해방과 분단, 경계의 재구성’을 주제로...
  • 2016-05-13
  • "한자도 우리의 國字" vs "우리 고유문자는 한글뿐"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한글만을 우리 고유문자로 규정한 국어기본법이 2005년 제정된 지 11년 만에 헌법재판소 심판대에 오르게 됐다. '어문정책정상화추진회' 등의 단체와 개인들이 한자를 한국어 표기문자에서 제외한 현행법이 어문생활을 누릴 권리...
  • 2016-05-11
  • 7일, 중국조선족중학생 제17회 “윤동주문학상” 백일장 및 시상식이 연변대학에서 펼쳐졌다. 연변인민출판사 《중학생》잡지사에서 주최하고 한국 연세대학교, 민족문화교육원 등의 후원으로 펼쳐진 이번 경연에 주내는 물론 멀리 흑룡강성, 료녕성, 길림성 산재지역으로부터 지난 1년간 여러가지 글짓기경연에...
  • 2016-05-10
  • 【 앵커멘트 】 민족의 저항시인 윤동주 선생을 기리는 백일장이 그의 생가가 있는 중국 지린성에서 열렸습니다. 비록 사는 곳은 다르지만, 윤동주 시인을 추모하는 마음은 우리나라 청소년들과 다르지 않았습니다. 이도성 기자입니다. 【 기자 】 중국 지린성에 있는 연변대학교. 강당에 모인 200여 명의 조선족 청소년들이...
  • 2016-05-10
  • 안대회 교수, ‘내 생애 첫 번째 시’ 펴내 “통째로 남산을/옮기긴 어려워도/깨끗한 돌 하나는/가져가도 되겠지요/초가집 아래다/고이고이 놓아두면/흐르는 물소리/콸콸콸 들리겠죠.” 요즘 서울에 사는 아이가 쓴 동시 같지만 사실 조선 후기 사람인 김수약이 다섯 살 때 지은 시다. 요즘 동시처럼 ...
  • 2016-05-05
  • 5월 11일부터 15일까지 4박 5일간 중국 칭다오 방문 한국 김  정 대표(시인) / 중국 이문혁 회장(수필가) 해외문화 중국 권대영 지회장(시인) 한국해외문화교류회(대표 김정 시인)는 올해 한중수교 제24주년을 맞아 중국 청도조선족작가협회(회장 이문혁 수필가)초청으로 제7회 한중문화교류차 오는 5월 11일부터 15일...
  • 2016-05-05
  • 박장길의 시집 《너라는 역에 도착하다》가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판되였다. 시집 《너라는 역에 도착하다》는 5개 장절로 나뉘었다. 제1부는 '가슴의 북'으로 시내물, 여름강, 모래섬 등 자연을 소재로 했으며 2부는 '잡초의 가슴에 푸른 칼날이 자란다'로 '가락지', '부자의 독', &#...
  • 2016-05-04
  • 김학철 동상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는 올해로 탄생 100주년을 맞은 문학인 기념 문학제를 연다. 1916년 출생 문인 중 시인 박두진·이영도·김종한·설창수·안룡만, 소설가 김학철·최태응, 시나리오 작가 최금동이 선정됐다. 대산재단과 작가회의는 오는 12일 오전 10시 광화문 교보...
  • 2016-05-04
  • 丁亚平(中国艺术研究院电影电视艺术研究所):记得大约是在2012年4月份,电影审查委员会审查此片的时候,特别通知我们说有重点电影,大家尽可能要克服困难来参加。接到这样的通知,我有幸参加了第一版的看片。这个版本很长。我们通常一个下午看两个片子,但是这个片子我们看了一个下午。看之前,就知道《白鹿原》是一个重...
  • 2016-05-03
  • 【著名作家陈忠实去世】记者从陈忠实家人处获悉,今晨7:40左右,著名作家茅盾文学奖获得者陈忠实,因病在西安西京医院去世,享年73岁。《白鹿原》是陈忠实成名著作,其他代表作有短篇小说集《乡村》、《到老白杨树背后去》等。 陈忠实,中国当代著名作家,中国作家协会副主席。《白鹿原》是其成名著作,其他代表作有短篇小...
  • 2016-04-29
‹처음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