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균선
http://www.zoglo.net/blog/cuijunshan 블로그홈 | 로그인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단상/수필/기행

<심청전>의 효사상의 심층적 의의 (董 鹏)
2013년 01월 24일 21시 00분  조회:11130  추천:0  작성자: 최균선
                                         摘要
 
《沈青传》是韩国古典小说作品中一部具有鲜明特色的文学作品。《沈青传》形成于朝鲜后期,带给了读者很多的感动,即使到了现在,这部作品依然受到很多喜爱古典小说人们的青睐。《沈青传》这部作品已经被翻译成多种语言,流传到国外被人们所喜爱。
  一提到《沈青传》,人们自然而然地想到了“孝”。《沈青传》里的“孝”极具现代意义。现在关于“孝”的各种含义到处流传。沈青的“孝”是积极的,是值得人们关注的一种“孝”。同时也启发了现代人们对“孝”的探索.为构造和谐美好的社会具有重要意义。
 
关键词:孝 沈青 古典小说 感动
                                                                          
 
                                       초록
 
<심청전>은  한국 고소설중에서  특별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에 형성되어 많은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이 작품은 여러 외국어로 번역되어 다른 나라에도 널리 알려졌다.
  우리는 흔히 <심청전>이라고 하면 “효”를 생각하게 되었다. <심청전>에 나타난 효사상은 지극히 심대한 현대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심청이 의 효도정신은 오늘까지고 널리 전해지게 된 것이다. 심청이의 효를 긍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우리 삶에 접목시켜, 현대 사람들의  “효도정신”에 접목시킨다면 조화롭고 아름다운 세상을 이루어가는 역사 행정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키워드:효, 심청, 고소설, 감동
 
차례
초록………………………………………………………………3
1장 서론……………………………………………………5
2장 본론............................................................ 8-22
2,1  <심청전>의 형성 배경……………………………  8-9
2.2  <심청전>의 경개………………………………………9
2.3  <심청전>의 주제와 구조 ………………………… 10-16
2.3.1 <심청전>의 주제……………………………………10-12
2.3.2 <심청전>의 구조……………………………………12-14
2.3.3 <심청전>의 사상적 특징………………………… 14-16
2.4   <심청전>의 효사상의 심층적 의의…………… 16-22
2.4.1 <심청전>의 효사상의 심층적 의의…………… 16-19
2.4.2 <심청전>의 효사상의 제약성……………………19-21
2.4.3 <심청전>의 효사상이 주는 계시………………  21-22

3장 결론………………………………………………23-24
감사의 말…………………………………………………25
참고문헌………………………………………………  26-27
 
 
                                       Ⅰ. 서론
 
1.1연구 목적과 의의
<심청전>은 가장 한국적인 작품이면서도 범세계적 성격을 가진 작품 으로서 여러 외국어로 번역되어 다른 나라에도 널리 알려졌다. 1972년에는 독일에서 <오페라 심청전>이 공연되어 절찬을 받기도 하였다. 이 작품은 한국의 민족 예술이라고 하는 판소리로도 불려지는 데 고소설 가운데 특이 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개화기에 신문학 비평가들로부터  '눈물 교과서'라는 혹평을 받기도 하지만, 우리는 「심청전」의 효사상을 무조건 현대사회의 현실에 맞게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도 유익할 것이다.
1.2 연구사 검토
  <심청전>은 <춘향전>과 함께 고소설 가운데 대표적 작품으로서 그에 따른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되어왔다. <심청전>의 배경사상론으로 불교 와 도교사상을 주제와 관련시켜 많이 논의되었는 데 흔히 심청이의 효를 유교적인 성격의 것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심청전>의 주제가 효이고, 그 효가 오늘날도 중요하다고 하는 것으로는 어딘지 부족하다.
1,3 연구 범위와 방법
필자는 본고에서 선행연구자들이 사회학적, 심리학적, 구조주의적, 신화 비평적으로 한 연구 성과를 참조하면서 <심청전>에 나타난 효사상의 현대 의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심청전> 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배울 점이 분명히 있을 것이고, 심청이의 효를 긍정적인 것으로 우리삶에 접목시켜, 현 시대의 좀 더 나은 효에 대해 모색해 볼 수 있는 유익한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2. 본론
 
2.1 <심청전>형성 배경
고소설 작품 중에는 당시에 민간에 전해오던 설화를 수용하여 구성한 작품이 많이 있다.<심청전>역시 당시에 전해 오던 설화를 배경으로 하여 형성되었는데 여러 이본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내용 단락을 구성하는 데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 하는 설화를 적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심청의 출생 : 태몽(胎夢) 설화 ② 심청의 성장과 효행 : 효행 설화, 인신공희(人身供犧) 설화 ③ 심청의 죽음과 다시 살아남 : 재생(再生) 설화
④ 심청의 아버지 만남과 아버지의 눈 뜨기 : 개안(開眼) 설화 등이다.
<심청전>은 작자 미상이지만 이 작품의 각 단락을 구성하면서, 상술한 설화를 수용하여 작품의 효과를 올리도록 구성하였다. 그래서 이 작품은 한국의 문학적 전통 위에서 작품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었다.
2.2 <심청전>의 경개
주인공 심청은 생후 7일 만에 어머니를 잃고 눈 먼 심봉사 밑에서 동냥젖을 먹어가며 자랐으며, 철이 들자 아버지에 대한 효성이 지극했다. 15살 때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하여 절에 시주할 공양미 삼백 석에 뱃사람들에게 몸이 팔려 임당수에 제물로 바쳐진다. 그 후, 심봉사는 뺑덕어미란 음란한 여자와 살며 세속적인 인간으로 변모되고 만다.
한편, 물에 빠진 심청은 죽지 않고 수정궁에서 지내다가 연꽃이 되어 임당수에서 선원에게 발견된다. 선원은 이 꽃을 황제에게 바치고 청이는 연꽃에서 환생하여 황후가 된다. 심청은 아버지를 못잊어 맹인 잔치를 베풀고, 그 자리에서 아버지를 만난다. 딸을 만난 심 봉사는 반가움에 눈을 뜨게 된다. 이 작품의 이야기는 현실 세계가 중심을 이루는 전반부와 환상의 세계가 중심을 이루는 후반부로 구분된다.
가난한 심 봉사의 외딸 심청의 지극한 효성과 아버지를 위한 헌신적인 사랑은 전반부의 중심 내용이다. 이 부분에서는 효성이라는 사회 윤리적 가치가 중심축에 놓여있다. 물론, 이야기의 핵심적인 모티프는 인신공희 (人身供犧)이다. 후반부는 심청의 환생과 함께 심봉사가 광명을 얻는 환상 적인 세계가 펼쳐진다.
2.3   <심청전> 주제와 구조
2.3.1 <심청전> 주제 
효를 최대의 덕목으로 강조한다는 면에서는 유교적이고, 화주승을 통해 부처의 신통력을 내세운 점에서는 불교적이며, 옥황상제와 선궁(仙宮), 선녀 등이 등장해서 심청을 소생시킨다는점은 도교적이라 할 수 있다. 주제에 대해서는 불공에 따른 불교적 극락왕생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대체로 심청의 효를 주제로 보고 있다.
  심청전의 주제와 그것이 작품 속에 구현되는 과정을 살피기 위해서는 이 작품의 전개과정에서 보이는 극적 전환의 핵심인 심청의 자기 희생과, 이를 통해서 뚜렷이 구분되는 대립적 두 세계 즉 현실공간과 초월공간이 갖는 시대 사회적 의미를 상호 관련성 아래 파악하고 그 심층적 의미를 음미해 보아야 한다.
  심청전은 심청이 인당수에 투신하는 대목을 전환점으로 해서 작품의 전반부와 후반부가 너무나도 대조되는 모습으로 이질적인 전개를 보인다. 이러한 환상세계에서 볼 수 있는 삶의 논리가 현실 세계에까지도 적극 개입됨으로써 맹인 심봉사가 딸을 만난 감격으로 눈을 뜨게 되는 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보이기까지 한다.
이처럼 심청은 현실 세계와 환상 세계를 매개하는 중간자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심청의 의미를 윤리적 덕목의 화신 그 자체에 둘 것이 아니라 한국인의 고난과 아픔, 대립과 긴장을 해소시켜 주는 구원자적 존재라는 적극적 안목에서 음미 해석해야 할 것이다.
2.3.2<심청전>구조
<심청전>은 순환구조를 이루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바 '비현실 계와 현실계의 순화'과 '현실계에서의 순화'이 나타나는데, 이 두가지 순환유형을 비교해 보면, 첫째, 앞의 것은 현실계와 비현실계가 순환하는데 비하여 뒤의 것은 현실계 안에서 행과 불행이 순환된다는 점이 다르고, 둘째, 현실계의 고난과 불행이 앞의 것 은 비현실 계에서 극복되는데 비하 여 뒤의 것은 현실계 안에서 극복되어 바뀐다고 하는 점이 다르다.
"이 작품에 나타난 순환은 모두 불행한 현실을 폐기하고 행복한 새로운 현실을 만들려고 하는 현실의 재생적 순환의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다"고 순환의 의미와 원리에 대하여 정리하고 있다. 또 따른 각도에서 심청이 임당수에 몸을 던지는 투신 이전의 세계와 임당수 투신 이후의 두 세계로 크게 나누어 파악할 수 있다.
  임당수에 투신함으로써 심청에게는 새로운 세계가 시작된다. 새로운 세계는 초경험적, 환상 세계이다. 따라서 심청은 더 이상 일상 세계의 비속 한 여인이 아니다. 심청전에서 볼 수 있는 현실계와 초월계라는 대립되는 두 세계의 공존 현상은 이 작품의 주제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2.3. 3 <심청전> 사상적 특징
『심청전』은 현대소설처럼 완벽한 구성과 논리적 일관성을 구비하지 못했어도 당시대 사람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었던 것은 환상적 이야기 이면서도 인물들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환경들이 충분히 납득이 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심청전>의 인물과 구성이 겉으로 보기에는 단조롭지만 그 단조로움 속에 깊은 의미와 사상이 담겨 있기도 하다. 특히 주제와 사상 측면에서 보면 현실 세계에서 쉽게 부딪칠 수 있는 문제를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접수하고 공감할 수 있게끔 문학 적인 감동을 앞세우고 이야기하고 있다.
<심청전>에서 주제로 제시한 것은 자기 희생의 가치와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작품은 교훈이나 도덕을 가르치기에 앞서 독자에게 즐거움과 감동을 주는 이야기로서 인생의 진실을 보여주고 거기서 교훈을 얻게 한다는 것은 그 다음의 문제이다. <심청전>의 주제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는 이런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막연 한 도덕률이나 교훈적 차원에서 그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기존의 견해는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심청전>의 주제를 막연히 효라고 규정짓는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비극적 정화'로 보거나 '희생적 참회(懺悔)·비원(悲願)에 의한 생극락' 또는 '인간의식의 각성' 이라고 본 것 등이 그런 견해의 일종이다.
  심청의 행위 가운데서도 그녀의 죽음에 특히 비중을 두고 있는 데 그녀 의 죽음은 제의적 의미도 가진다. 선인들의 안전과 심봉사의 개안을 성취 시며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선행의 결과는 자신에게도 왕후가 되는 영광을 가져다 주었다는데 이 작품의 핵심적 의미가 있다.
2.4  <심청전>의 효사상의 심층적 의의
2.4.1 <심청전> 효사상
<심청전>의 가장 핵심적 사건은 바로 심청의 '희생과 그에 대한 보상'이므로 <심청전>의 주제는 '심청의 (선한 행위로서)희생효'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심청의 '희생 효'는 인간의 '보편적 심성으로서의 효'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의 전통 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효의 문화가 가장 아름답고 독특하게 체현된 것이라 할 수 있는 <심청전>에서 자신의 목숨을 바쳐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려 했던 지극한 효성을 나타내고 있는 데 정말 실제적인 효도인가 하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우리가 감동받지 않을 수 없는 사실은 아버지를 위해 바친 심청이의 아름다운 효심이 때문이다. 
동양의 전통 문화의 가장 핵심적인 정신문화는 효사상이다. 효사상의 배경에서 본 심청의 효행은 불교적 효관에 의한 자기희생적 효와 유교적 효의 충돌은 절대적인 신앙으로 극복한 효행이었다. 이와 같은 자기 희생적 효의 선행에 대하여 도교적 질서를 제시하여 보상했다고 볼 수 있다. 심청의 효는 개인적 효로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본받아야 하며 실천해야 할 효인 것이다.
심청의 효행의 심층적 의미는 유교적 윤리 관념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초극적인 효행이다. 자신의 몸을 희생하면서 효를 실천한다는 것은 유교적 인 효행관념에 정면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심청의 효는 단순한 효를 행한 사실에만 초점을 맞추 어서는 안 된다. 심청의 효는 의지보다 운명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 더 많다. 즉 심청의 자기 희생은 유교에서 여자는 삼종지도(三從之道)의 정조가 강조되는 사회 현상이 작용한 것이다.
결국 효성이 지극하면 그 부모까지 영화를 누릴수 있다는 <효경>의 사상을 이야기로써 입증하기 싶었다는 말이 된다. 즉 효는 단순한 윤리적 규범일 뿐만이 아니라 종국에는 그에 따르는 응보가 보장된다는 생각을 관통시키고 있다. 심청의 죽음은 부처님과의 약속을 저버리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 효성의 대가로 황후가 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아버지의 눈까지 뜨게 할수 있다는 보상을 받게 함으로써 효의 미덕을 상징화한 것이다.
2.4.2 <심청전>의 효사상의 제약성
  <심청전>에 나타난 전통 도덕의 정신은 “효”이다. 하지만 이야기를 읽고 몇 가지 의문을 가져볼 수 있다. 그것은 심청이 정말 효녀라면 눈 먼 아버지를 왜 혼자 남겨 둘까, 그것이 정말 효(孝)일까하는 의문과 심봉사가 양반의 후예라면 왜 이야기 곳곳에서 그렇게 주책스럽고 어리석은 모습 으로 그려질까 하는 것, 마지막으로 심청이 왕후가 되었다면 아버지를 좀더 일찍, 그리고 좀 더 편하게 찾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었다.
이런 의문점들은 그것이 바로 고전소설의 한계인 지나치고 극단적인 과장과 개연 성의 부족, 논리성의 결여 때문이라고 지적되기도 한다. 그러나 고전이라는 것이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는 보편성을 갖는다는 점, 그리고 오랜 세월에 걸쳐 그 가치가 검증된 작품이라는 정의를 생각해 볼 때, 과거의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표현한 작품들이 지금의 사고체계로는 수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해서 그 가치를 무시 하고 그 작품의 가치를 깎아 내리려 한다면 바람직하지 않다. <심청전>은 이야기의 진실성이 문제가 아니라 작품에서 구가되는 심청의 효성인 것이다.
2.4.3 <심청전>의 효사상이 주는 계시
  한국 국문학에서는 <심청전> 속에서 표현하고 있는 '출천대효(出天大孝)' 라는 말로 심청의 효행을 한민족 효사상의 대표적 상징으로 전하고 있으나 오늘날은 그저 관습적 인식에서 효교육이나 효(행)에 관한 일이 있을때 마다 인용해보는 옛이야기로 남아 있는듯하다. 그러나 실상 도(道) 가 살아있던 동양의 옛나라들에서는 다 도를 지키는 사람들의 행실이 참으로 아름다웠으리라 생각해본다.
오늘날 과학·정보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전통 윤리와 정신을 기반으로 했던 전통 사회의 모습과 생활 방식을 급속도로 변하게 만들었다. 이런 변화에 편승해서 많은 사람들은 문화적 전통과 윤리적 전통 의식을 불합 리한 것으로 생각하고 배척하려고 한다. 그들은 새 시대에서는 새로운 윤리가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다소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인류의 정신사를 살펴보면 모든 중요하고 의미 있는 개혁과 발전, 모든 위대한 혁명조차 그 기본적인 정신은 전통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모든 개혁적인 정신 운동들은 언제나 전통 문화 속에 담겨 있는 기본적인 가치들의 새로운 실현을 지향해 왔다. 따라서 인간의 삶에 있어서 어떤 발전과 변화도 그것이 전통 문화에서 단절되면 참다운 의미에서의 성공을 이룰 수 없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의 도덕적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도덕을 밝히기 위해서 한국의 전통 문화 속에 담겨 있고 면면히 흘러오고 있는 도덕적 가치들을 되살려야 한다. 물론 전통을 중시한다고 해서 그 시대의 변화를 인정하지 않고 과거의 것만 고집해서 안 될 일임은 사실이다.
 
                                              결 론
 
<심청전>은 지배 계층에서부터 천민 계층까지,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즐겨 듣고 읽어온 고전적 작품이다. 그러나 모든 계층의 사람이 즐겼고, 즐긴다고 해서 모든 계층에게 이익을 주는 문학일 수는 없다.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더 그 문학의 주인이 되는 계층에는 엄청난 이익을 안겨주고, 그 반대로 그 문학의 노예가 되는 계층에는 엄청난 피해 를 줄 수도 있다.
하지만<심청전>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는 고전으로서 그 가치가 분명 히 드러나는 작품이라 할 수 있으며, 작품 속 사건의 비논리성, 과장, 문학적 완성도의 미달 등을 이유로 고전적 가치를 폄하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심청의 효행이 구축하고있는 상징성이 가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심청은 우선 앞에서 언급한바 선천 상극문명이 후천 상생조화 문명으로 전이되는 과정의 한 중계자의 상징으로서, 자신의 목숨을 제물로 바쳐서 하느님의 대효(大孝)를 받들어 심봉사의 눈을 뜨게하는 구원자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전통문화의 가장 핵심적인 정신문화는 바로 효사상이다. 효도라 고 하면 부모를 받들어 모시는 행위를 말하지만 그보다 더 나아가 다양한 의미로서의 인간의 참된 도리까지도 포함하게 된다. 우리는 <심청전>과 같은 효를 실천하려고 강조할 수는 없지만 조상들이 실천했던 효를 본받아 바람직한 방향으로 고유의 미풍양속인 효를 실천하도록 하여 <심청전> 에 체현된 효사상이 도덕건교양의 밑거름이 되도록 하려는 데 있다고 본다.
                               
참고 문헌
 
1, 강봉근, 심천전의 인물론, 「국어문학」20, 전북대, 1979.
2,김기동,『沈淸傳의 背景論 』 양주동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1963.
3. 김복희, 심청전의 신화비평적 연구(2), 「이화어문논집」4, 이화여대, 1981.
4,『심청전의 주제 문제』김준겸, 국어국문학논문집 7·8, 도국대, 1969.
5,『심청전의 구성과 주제』김창진, 박붕태 박사회갑논문집, 배영사, 1986.
6, 김창진, 심청전의 구성과 주제, 「봉죽헌 박붕배박사회갑기념논문집」, 배영사, 1986.
7. 유영대, 「심청전연구」, 문학아카데미, 1989
8,『沈淸傳의 異本考』吳世夏, 國文學 6, 고려대, 1962.
9. 정하영 교주, 「심청전 - 한국고전문학전집 13」, 고려대 민족 문화연구소, 1995.
10. 전신재, 심봉사 인간상의 해석 - 이날치판 `심청가`의 경우 -, 「판소리연구」2집,
판소리학회, 1991
11. 정출헌, 심청전의 민중정서와 그 형상화 방식, 「민족문화사연구」9집, 창작과 비평사, 1996
12. 최운식, <심청전>, 시인사, 1984
13. 최운식, <심청전 연구>, 집문당, 1982
14. 김진세 편,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15. 정하영, <심청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95
 
감사의 말
 
논문완성과정에서 최균선교수님께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82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20 인생살이 이모저모 2019-02-26 0 4317
819 (잡문) 진실과 허구의 비애 2018-11-26 0 4415
818 (잡문) 인간다운 삶, 비인간적인 죽음 2018-11-23 0 4552
817 (잡문) 땅, 바다, 하늘 그리고… 2018-11-23 0 4588
816 (잡문) 웃기는 참회 2018-11-16 0 3596
815 (잡문) 시와 시인의 아리러니 2018-11-09 0 3526
814 숲속의 대변론 2018-11-09 0 3651
813 그저 미중부족만이 아닐세그려 2018-11-09 0 3491
812 (잡감) 우문현답 2018-10-05 0 3700
811 (잡문) 진리를 평범하게 말해보다 2018-10-05 0 4008
810 (칼럼) 문학사랑 인간사랑 2018-09-30 0 3826
809 (수필) 구름에 실어본 명상 2018-09-28 0 4167
808 (문화칼럼) 문학혼 2018-09-20 0 4099
807 (잡문) 작가의 량지 2018-09-20 0 3952
806 ( 잡문) 작가정신을 기리다 2018-09-20 0 4190
805 ( 칼럼) 왜 기어이 “북한”이고 “주민”이 되냐? 2018-09-20 0 3651
804 (잡감) 숙명인가? 비애로다 2018-09-14 0 3555
803 (잡문) 엉터리들을 엉터리로 론함 2018-09-03 0 4311
802 자기 부정이 기꺼운 일인가? 2018-08-24 0 4597
801 딱해진 우리네 문학 2018-08-18 0 3806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