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한국에 살고 있는 취학연령의
중국동포 자녀 중 정규교육을 받고 있는 초중고생은 10명중 3명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중국동포 자녀들의 경우 한국
사회에서 이방인으로 겉돌거나, 범죄 등의 유혹에도 쉽게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11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19세 미만 조선족 동포 4만3890명 가운데 취학 연령대인 만 7∼18세
청소년 수는 2만6299명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교육부
조사 결과 지난해 4월 기준 국내 초ㆍ중ㆍ고교에 재학 중인 조선 동포 학생 수는 9215명에 불과했다.
|
서울 대동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이 방과 후 교실에 모여 놀고 있다. |
학생들이 학업 상 어려움으로 중도 탈락, 35%만 정규 교육의 수혜를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성기 협성대 교양교직학부 교수는 “조사 결과 다문화 학생의 학업 중도 탈락률은 일반 학생의 4배 가량이나 된다”며 “2003년 위탁교육 제도가 만들어졌는데 교육청 등에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교육당국의 소극적인 지원도 이같은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한국 국적을 취득한 학생까지 포함해 전교생의 70~80%가 중국 동포 자녀인 대동초등학교의 경우, 도보로 10분 거리에 있는 한국이주ㆍ동포개발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지난해부터 이들 학생을 위한
대안학교 설립을 준비해 왔지만 실패했다.
서울시교육청이 연구원을 올해 지정한 대안교육 위탁기관 42곳에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 서류가 미비됐고 시설이 다소 미흡했다는 것이 이유다. 하지만
한국어 실력이 모자라 대동초 내 대다수 중국 동포 학생이 수업을 따라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감안, 융통성을 발휘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연구원의) 제출 서류가 미흡한 부분이 있어 한 차례 반려시킨 뒤 다시 서류를 받았지만, 초등학교 3ㆍ4학년만을 대상으로 해 문제가 있었다”며 “시설에서도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고 밝혔다.
대신 시교육청은 연구원을 대체할 수 있는 다문화 대안학교로 서울 구로구
오류동 지구촌학교를 대동초 측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구촌학교는
버스로만 왕복으로 1시간 넘게 소요된다. 말이 서툰
어린이들이 자칫 위험할
수도 있다.
지구촌학교는
베트남 등
동남아 출신 이민자 자녀들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대동초 관계자는 “중국 동포들은 한국어
공부에 도움이 안 된다는 이유로 자녀를 지구촌학교에 보내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