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국가보훈처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약산 김원봉'을 거론하면서 정치권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문 대통령의 추념사는 이념과 정파를 뛰어넘는 사회통합에 방점이 찍혔지만 야당에서는 김원봉의 월북 경력을 들어 추념사를 반박했다.
문 대통령은 6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4회 현충일 추념사에서 "광복군에는 무정부주의 세력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이어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돼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 힘으로 1943년 영국군과 함께 인도-버마 전선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웠고 1945년 미국 전략정보국(OSS)과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던 중 광복을 맞았다"며 "통합된 광복군 대원들의 불굴의 항쟁 의지, 연합군과 함께 기른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기득권에 매달린다면 보수든 진보든 진짜가 아니다. 국가공동체의 운명을 자신의 운명으로 여기는 마음이 애국"이라며 "이제 사회를 보수와 진보, 이분법으로 나눌 수 있는 시대는 지났다. 스스로를 보수 혹은 진보라고 생각하든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상식의 선에서 애국을 생각한다면 우리는 통합된 사회로 발전해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원봉은 1919년 일제 수탈에 맞서 의열단을 조직해 독립운동을 했다. 이어 1938년 조선의용대장, 1942년 광복군 부사령관, 1944년에는 임시정부 군무부장과 국무위원을 지냈다.
하지만 김원봉은 광복 이후인 1948년 월북해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하고 노동당,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등 고위직을 지냈다. 1952년에는 6·25전쟁에서 공훈을 세웠다며 김일성으로부터 훈장을 받아 그간 국가보훈처의 국가유공자 선정에서 제외됐었다.
이에 야당은 역사적 평가가 엇갈리는 김원봉을 언급한 문 대통령을 비판했다. 특히 야당은 여권이 본격적으로 김원봉을 서훈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보고 있다. 올 초 보훈처 자문기구가 3·1절을 맞아 김원봉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할 것을 권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한차례 논쟁이 불거진 바 있다.
자유한국당은 문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와 관련해 "보수와 진보를 나누지 말자는 대통령의 언급이 김원봉 등 대한민국에 맞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들까지 서훈하기 위한 이 정권의 분위기 조성용 발언은 아니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미군 전몰장병의 희생까지 기린다면서 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북한 정권 수립에 참여하고 6·25 남침의 공으로 북한에서 훈장까지 받았다는 김원봉을 콕 집어 언급한 데 대해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도 "애국에 보수 진보가 없다면서 난데없이 북한의 6·25 전쟁 공훈자를 소환했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청와대는 이념이나 정파를 뛰어 넘자는 것이 대통령 발언의 원래 취지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한미동맹이나 국군 창설 뿌리 언급과 관련해서는 통합된 광복군을 기초로 한 것"이라며 "원래의 취지를 인지해주고 주목해달라"고 당부했다. 외신
이미지를 클릭하면 다음이미지가 보여집니다.
2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