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시집은 농촌에 가라고 중국 녀대생들에게 권고합니다”(하)
조글로미디어(ZOGLO) 2021년8월27일 09시32분    조회:813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기획 [한국친구 길림체험]— 쌀의 이야기 (2) 구태편(하)

전통 쇠가마에 성공한 쌀밥, 실패한 누룽지

안내원이 전람관 2층에서 리모콘을 누르자 건물의 북쪽 창문에 걷혀져있던 커튼이 한번에 량쪽으로 쫙 젖혀지더니 초대형 유리 창문 밖으로 일망무제한 황금물결이 한눈에 안겨왔다. 일행은 와~ 하고 탄성을 질렀다.

지난해 3월에 농업농촌부와 길림성농업농촌청으로부터 전국 농업 중대 기술 협동 보급 계획 시점대상, 길림성 벼산업 시점 대상 록색 고효률 시범기지로 선정된 이 합작사의 유기벼 파종면적은 4,000무이고 복사면적이 만 5,000무에 달한다. 홍광촌은 2014년에 전국 논공정 기계화 시범촌 칭호와 길림성 새농촌 건설 시범촌 영예칭호를 수여받았다.

조운희 촌서기에 따르면 논에는 농약과 화학비료를 치지 않는 대신 해충을 잡아먹도록 오리농법과 게농법도 도입하고 있다.

정세명씨 부부의 6살짜리 해리양과 3살짜리 신호군은 시범논에 도착하자 논 사이에 뻗은 아스팔트길에서 고삐 풀린 망아지마냥 천방지축 자유로운 질주를 시작했다. 도시에서는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신세계가 펼져졌기 때문이였다.

논판 속에 세워진 관망대에 오른 오누이는  황금물결 사이에 검은색 벼를 심어 만들어진 네개의 한자를 보고 무슨 뜻인가고 아빠에게 묻는다.

 

 
일행이 스마트 향촌 관리 플래트홈 앞에서 전문일군의 소개를 듣고 있다.

 

 
합작사 건물 2층 유리창 사이로 일망무제 펼쳐진 황금물결이 보인다.

 

 

‘수려하고 아름다운 구태’라는 뜻으로 씌여진 〈수미구태(秀美九台)〉 네 글자가 노란 종이우에 쓴 검은 붓글씨처럼 아름답게 안겨온다.

이용득 회장과 정세명 부회장은 구태시조선족중심학교의 전임 교장인 리수남선생과 함께 논에 오리와 게를 푸는 체험도 해보았다.

어린이들이 환성을 지르는 가운데 흰 오리들은 손에서 해방되자 즉시 망망한 벼파도 속으로 사라졌다. 촌민들의 소개에 따르면 논밭에 들어간 오리들은 바다 속에 사라진 물고기처럼 여간 찾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꾀가 든 오리들이 벼에 맛을 들여서 논밭에 들어가면 벼만 골라 먹어대는 것이 고민이란다. 오늘 애들을 데리고 한국 가족이 온다고 하니 특별히 가두어두었던 오리를 오늘 논판에 풀어놓은 것이란다.

그 와중에 개구쟁이 해리양이 게를 논에 푸는 아빠를 유심히 바라보더니 엄마에게 조른다.

 
정세명씨의 세살 난 아들 신호군

 

 
정세명씨의 여섯살 난 딸 해리양

 

“엄마, 저 게들을 다시 건져서 저녁에 구워먹으면 안돼?”

“당연히 안되지, 이 게들은 논에 있는 벌레들을 잡아먹으라고 풀어주는 좋은 친구들이야.”

일행이 홍광촌로인협회에 도착하니 협회의 조선족 로인들이 흥겨운 곡조에 맞춰 전통무용을 추면서 반갑게 맞아주었다. 한국손님들과 두 아이도 성수나서 어깨춤을 들썩이며 로인들 행렬에 가담했다.

일행이 정심 먹으러 들어간 식당의 부엌에서 우리 민족의 전통 무쇠밥가마를 발견했다. 정세명씨는 한국식 전통방법으로 밥짓기 체험을 했다. 밥을 씻어 앉히고 마른 강냉이속대를 땔감으로 아궁이에 불을 때면서 누룽지를 특별히 좋아하는 정세명씨는 “누룽지를 많이 만들어야지” 라고 중얼거리면서 기대에 가득 부풀어있다. 이쯤 하면 밥이 되었을거라고 가마 두껑을 열어 보니 구수한 밥향기가 물씬 풍겼지만 눈같이 흰 쌀밥에 누룽지는 없었다.  전통 쇠가마에 밥을 해 본 경험이 있는 이용득회장이 껄껄 웃으면서 옥수수속대가 화력이 약해서 누룽지 만들기에 실패한거라 말한다. 누룽지를 만들려면 화력이 센 땔감으로 밥이 될 즈음에 센 불을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논밭에서 벌레를 잡아 먹으며 자란 오리들(정세명 찍음)

 

쇠가마에서 지은 쌀밥으로 정세명 부부는 두 아이와 함께 즐거운 김밥 만들기 체험을 했다. 아이들은 한국 김밥과 중국 김밥의 재료나 제작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아빠엄마에게 물으며 그들만의 오붓한 체험시간을 가졌다.

풀벌레 소리, 새 소리, 기차 소리 ... 풀잎에 떨어지는 비 소리

점심식사는 동북료리로 유명한 구태구 룡가포의 백국식당(白菊饭店)으로 일행을 초대했다. 타성에서까지 비행기를 타고 와서 맛보고 간다는 룡가포 백육순대(龙嘉堡白肉血肠)와 귀한 손님을 모시고 백리길도 마다하고 차를 몰고 와서 대접한다는 돼지뼈따구졸임 등 이 식당의 유명 료리들이 상에 올랐다. 새벽잠을 설친 두 아이는 뼈다귀졸임을 실컷 먹고 곧바로 낮잠에 곯아떨어졌다. 정세명씨도 육질의 쫄깃한 맛을 살리면서도 고기가 뼈에서 쉽게 떨어져 입에 쏙 빨려들어가는 벼따귀졸임에 엄지손가락을 내들었다.

일행은 한족마을인 마안산촌에 위치한 구우산거(汣遇山居) 민박에서 숙박하기로 하고 짐을 풀었다.세련된 서양식 디자인으로 고급 별장 아빠트단지를 방불케 하는 유명 관광지로 잘 꾸려져 있었다. 2층이나 3층 별장식으로 지어진 민박은 고풍스러운 전통미와 현대미를 골고루 갖추어 이색적인 매력을 발산했다. 특히 최대 200평방메터의 가정룸에 온돌까지 갖추어져 있어 주말이나 휴가를 보내려는 도시 사람들이 자주 찾는다고 한다. 가족이나 련인들이 정원까지 딸린 주택에서 전원생활을 만끽하기에 참 맞춤한 장소라고 이용득회장은 말한다.

 
 게를 논에 풀어주기에 앞서

 

 
정세명씨 일가 무릉도원 따로 없네

 

일행은 한 한족 가구에 들려 집안구조와 살림살이들을 둘러보았다. 남방 식물들을 심어 키우는 ‘남과관(南果馆)’이라는 유리 하우스에서 아이들은 한국에서도 본 적 없는 희귀한 식물들을 신기한 눈빛으로 바라보면서 어른들에게 이것저것 캐묻는다.

 
정세명씨가 애들과 함께  잡은 매미(정세명 찍음)

전원주택에서 하루 밤을 보낸 정세명씨는 “동북에서 오래 살면서 처음 잡아봤네요”라고 하며 손바닥에 올려놓은 매미 사진을 보여준다.

“애들과 같이 풀벌레 소리, 매미 소리, 새 소리, 기차 소리, 풀잎에 떨어지는 비 오는 소리...... 도시에선 들을 수 없는 소리와 맡을수 없는 내음들이 참 좋았던 것 같아요. 조용했고 깔끔했고 중국 동북지역의 특색이 있어서 별다른 느낌이였어요”라고 말한다.

 

 
마안산촌의 구우산거 동북특색의 민박 체험 (정세명 찍음)

 

저녁에 일행은 밖에 상을 차리고 숱불을 피워놓고 다양한 중국식 고기뀀을 구워서 소주와 함께 먹으면서 뀌뚜라미 소리를 들으며 밤을 밝혔다. 부엌과 멀리하는 전통적인 한국 남편과는 달리 집에서 료리를 책임진다는 정세명씨가 솜씨를 보였다. 장춘에서 특별히 사들고 온 특급 소고기를 보더니 먹음직하게 썰어서 고추장으로 재우고 뀀 양념을 발라 ‘정세명표’한국식 소고기 바비큐를 직접 구웠는데 별맛이였다. 중국 료리도 못하는게 없단다.이젠 다양한 중국 료리법에 한국식을 가미하면서 독특한 맛을 살려내는 료리솜씨로 늘 중국친구들을 초대해 가정연을 마련한다고 한다. 일행은 돌림으로 노래도 부르는 중에 정세명 부부의 깨알이 쏟아지는 이중창 노래공연은 마지막 부분에 눈물까지 보이며 감동적이였다.

 
홍광촌과 동갑내기인 구태시조선족중심학교의 전임 교장 리수남선생의 소개 듣는다

 

 
황금물결속을 거니는 정세명씨 일가  

 

“시집은 농촌에 가라고 중국 녀대생들에게 권고합니다”

중국에 17년이나 체류해온 이용득 회장은, 길림성의 입쌀은 한국 입쌀에 비해 가격이 20—25% 정도 밖에 되지 않지만 맛은 차이가 없단다. 평소 재래시장의 일반 입쌀을 사서 밥을 해먹어도 맛있다면서 길림 입쌀에 대한 애착을 보여주었다. 슬하의 2남 1녀 세 자식은 전부 북경대학, 동북사범대학, 심양음악학원 등 중국내 명문대학교에서 대학이나 석사 과정을 마치고 현재 서울과 상해 등 량국의 국제대도시에서 근무하고 있다. 자식들은 길림 입쌀로 지은 집밥이 그립다고 위챗통화에서 늘 얘기한다고 한다.

 

 
환호하며 신나게 달리는 신호군

 

이용득 회장은 “최근 년간 농촌과 농업을 살리려는 중국 정부의 의지가 돋보인다. 한국의 경우를 보면 현대농법과 현대화한 합작사, 생산기지 건설은 촌의 의지와 경제력으로는 역부족이니 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이어가기 힘들다. 실질적으로 촌민들의 수입과 생활 수준 제고에 도움되는 프로젝트를 만들며 촌민들의 의욕을 발동하여 다양한 산업을 만들어갈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 농촌에서 개구리, 게, 오리, 닭, 소, 양 등 시골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다양한 체험행사를 많이 조직하면 도시 사람들이 더 많이 찾아오고 관광업 수입도 올릴 것이라 내다봤다. 홍광촌을 모델로 삼아 나비효과, 시너지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그런 아이템들을 많이 개발되고 주위의 촌들에서 많이 본받을 것이란다. 조만간에 한국 못지 않은 수입을 올리는 날이 오면 한국에랑 나가 일하던 청장년들이 고향에 돌아오면서 로인들 위주이던 마을이 생기를 되찾을 것이란다.

 
홍광촌로인협회의 로인들과 함께 전통무용을 추고 있는 일행

 

 
홍광촌로인협회 로인들과 함께 흥겨운 춤을 추고 있는 한국인 손님들

 

이용득 회장은 장춘대학 관광학원 한국어학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그는 녀대생들에게 “앞으로 미래는 농촌에 있으니 시집 가려면 농촌에 가라”고 늘 입버릇처럼 말한다면서 “중국 농촌의 미래를 밝게 보고 있다”고 밝힌다. 그러면서 “이번에 구태농촌에 다녀오면서 나의 이 주장이 정확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립증한다”고 웃으며 말한다.

/길림신문 유경봉 정현관 한정일 기자
 

“시집은 농촌에 가라고 중국 녀대생들에게 권합니다”(상)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209
  • 제2회 ‘아름다운 추억’ 수기 응모작품 (39) ▩한창국(안도) 필자 한창국 지난 세기 70년대와 80년대에는 어느 마을에 가든 첫눈에 안겨오는 것이 담배건조실이였다. 지금의 현대식 담배건조실과는 많이 다른, 마을에서 제일 높이 지은 토목건물이기에 멀리서도 한눈에 보였던 것이다. 담배를 건조할 때면 두사...
  • 2018-11-16
  • CCTV무대에서 조선말로 경극을 부르고 있는 리은화 중국의 3대 전통연극으로 불리우는 경극은 연극, 노래, 무용, 음악 등 모든 예술적인 요소가 총 집합된 종합예술로 중국의 오페라라고도 불리운다. “중국문화의 꽃”으로 명성이 높은 경극은 중국의 전통과 력사가 고스란히 배인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다. 10...
  • 2018-11-09
  • 올해 10월중순의 어느 일요일, 장백조선족자치현 마록구진 과원조선족민속촌. 신랑신부를 대동한 조선족혼례행렬이 과원조선족민속촌대문안으로 들어선다. 언녕부터 대문안에서 기다리고 있었던 아줌마들이 우리 한복을 차려입고 너울너울 춤추며 신랑 신부를 마중한다. 신랑 신부와 친척 친구 행렬이 민속광장의 여러 곳을...
  • 2018-11-09
  • 제2회 ‘아름다운 추억’ 수기 응모작품 (38) ▩김민철(연길)   하향 50주년 기념모임에서 수기 〈첫걸음〉을 발표하는 필자 김민철  세상을 살면서 누구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첫걸음을 걷는다. 그러나 긴 세월 속에서 줄곧 기억에 생생하고 평생에 득이 되는 뜻깊은 첫걸음은 몇번 안된다. &n...
  • 2018-11-09
  • 제2회 ‘아름다운 추억’ 수기 응모작품 (37) ▩박철원(연길) 필자 부부 지난날 없어서 못 먹던 세월이 지금은 싫어서 안 먹는 때가 되였다. 아빠트에 살면서 입쌀이며 밀가루를 마음대로 살 수 있고 고기며 해산물, 닭알, 우유, 과일이 풍성한 세월이다. 먹을 근심 없는 천지개벽이 일어난 것이다. 계획경제에 ...
  • 2018-11-02
  • 제2회 ‘아름다운 추억’ 수기 응모작품 (35) ▩최진옥(화룡) 필자 최진옥 사무실에서 2010년 7월 28일, 내가 살고 있는 고장은 폭우의 영향으로 하천의 물이 급속하게 불어나면서 홍수방지표준이 낮은 제방들이 볼품없이 파괴되였다. 상급의 자금조달이 륙속 도착하면서 재해손실이 제일 심한 1만 2000여메터에...
  • 2018-10-26
  • 今年10月17日是第五个全国扶贫日,也是第26个国际消除贫困日,在全社会齐心聚力为消除贫困共同努力之际,为进一步弘扬残疾人事业,动员全社会力量开展助残脱贫活动,10月23日,延边春雨爱心会携手延边州肢体残疾人协会在州残疾人活动中心举办“爱心奉献、共享阳光”爱心传递捐赠活动。   延边春雨爱心会成立...
  • 2018-10-25
  • 제2회 ‘아름다운 추억’ 수기 응모작품 (34) ▩리호송(연길)   필자 리호송 연서거리와 연서교는 연길에서 차량과 시민들로 늘 붐비는 주요한 거리의 하나이다. 그러나 나에게는 기억에 희미해질 정도로 몇년에 한번 거닐가 말가한 거리였다.   헌데 2014년 6월, 시가지 중심에 자리 잡고 있던 단위가...
  • 2018-10-23
  • 웨이하이 조선족 노인 100세 축하연 진행     (흑룡강신문=웨이하이)김명숙 기자=“산둥에 100세 조선족 노인이 있대요.”   웨이하이시에 살고 있는 조선족 김정호 노인의 100세 축하연이 지난 14일 웨이하이시 모 호텔에서 치러져 화제가 되고 있다.   웨이하이애심여성협회 회원인 임옥영 여사의 ...
  • 2018-10-22
  • —연변이 낳은 조선족 성악가 방춘월의 추구와 도전 1990년대부터 연변의 방송과 무대를 주름잡으며 독특하고 매력적인 음색으로 대중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던 방춘월, 오늘날 그는 멋진 실력으로 성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저명한 성악가로 활동하고 있다. 성악가 메조소프라노 방춘월은 현재 천진음악대학교의 성악교...
  • 2018-10-22
  • [가작상수상작품] 나와 로라스케트장의 인연  김경희   25년 전, 개혁개방의 거세찬 물결을 타고 나는 연변에서 제일 처음으로 체육관 실내에 로라스케트장을 운영하게 되였다.   “하루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고 남들이 그토록 부러워하는 좋은 직장을 잠시 그만두고 모험을 강행하며...
  • 2018-10-18
  • 은상수상작       내 가슴에 새겨진 모성애   최 영 숙 (연길)     얼마 전 “엄마가 많이 심해졌소. 이젠 며칠 버틸 것 같지 못하오.”라는 막내 녀동생의 전화를 받고 나는 연길시광영원 특별간호실에 급히 달려갔다. 내가 도착했을 때 계모는 두눈을 지그시 감고 얼굴을 찡그린...
  • 2018-10-16
  • 제2회 ‘아름다운 추억’ 수기 응모작품 (33) ▩김삼철(룡정) 2001년 9월, 손자와 같이 ‘7자나무’ 앞에서. 내 나이 80이 다된 지금에도 ‘7자나무’를 생각하면 어린 시절 아침 일찍 연길시장에 쌀 팔러 가는 어머니를 배웅하고 오후에는 돌아오는 어머니를 마중하던 행복했던 순간들이 영...
  • 2018-10-16
  • —가두에서 ‘나눔의 꽃’을 피워가는 홍봉옥을 만나다 기자와 이야기를 나누고있는 홍봉옥할머니 무엇인가를 꾸준히 한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특히 자기 자신을 위한 일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위해 선행을 꾸준히 한다는 것은 더욱 쉬운 일이 아니다.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주변 사람들에게 꾸준히 사...
  • 2018-10-15
  • 연변부용장학회 장학금발급의식이 10월 12일, 룡정해란강호텔에서 있었다. 이는 2008년 연변부용장학회가 설립이후로 11년째 이어져온 행사로서 올해도 39명 연변의 학생들이 장학금을 받게 되였다.   이날 부용장학회는 연변대학교의 15명 학생들과 5명의 연변과학기술대학 학생들에게 매인당 400딸라를, 룡정고...
  • 2018-10-12
  • 나는 어떤 사람일까?           초야   지인중에 부탁 고수가 있다. 자신이 잘할수 있는 일도 굳이 친구중 한놈을 시키는데, 부탁받는 친구들도 누구 하나 짜증내지 않고 일을 깔끔히 마무리짓는다. 곰곰히 생각해봤다. 자신의 일도 이 핑계 저 핑계 대며 뒤로 미루기 일쑤인 친구들이...
  • 2018-10-10
  • 제2회 ‘아름다운 추억’ 수기 응모작품 (31) ▩리오로(장춘) 고중시절의 필자 어제 연길에 다녀왔다. 장춘에서 호화로운 고속렬차를 타고 두시간 17분 만에 연길서역에 도착했다. 소음이 적고 내부시설이 호화롭고 깨끗한 것도 자랑거리지만 장춘에서 연길까지 열몇시간이 걸리던 기차가 두시간 17분 만에 연길...
  • 2018-09-28
  • [편집자의 말] 제1기부터 제3기까지는 길림성 연변지역과 산재지역 학교의 학생 가족을 선정하여 영상에 담았다. 제4기에서는 흑룡강성에서 유구한 력사를 갖고 있는 해림시조선족실험소학교를 선정했다. 를 순조롭게 펴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지와 협조를 해주신 흑룡강성 교육학원 민족교연부와 해림시조선족실험소학교...
  • 2018-09-20
  • 장춘시에서 조선족들이 결혼식과 회갑연을 올리거나 큰 행사를 치를 때면 장춘시명계식품유한회사에서는 빠짐없이 순대, 찰떡 등 조선족 전통음식을 제공한다. 음식에서 인정이 오간다고 여기서 조선족과 조선족사회를 위해 자기의 저그마한 성의를 보여주려는 명계식품회사 계영철 사장의 모습이 돋보인다. 행사뿐만이 아...
  • 2018-09-16
  • 제2회 ‘아름다운 추억’ 수기 응모작품 (29) ▩김룡운(교하) 학교 열람실에서 필자 김룡운선생님 나는 산에 오르내리기를 좋아한다. 왜냐 하면 나는 동년을 산골에서 지냈기 때문이다. 60년대에 아버지가 그 좋은 장춘 도회지를 버리고 우리 자식들을 이밥이라도 실컷 먹이겠다며 하향하여 두메산골에 가서 짐을...
  • 2018-09-12
‹처음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