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권지예(오른쪽)와 김인순이 25일 오후 중국 쓰촨성 청두 바진문학원 뜰에서 대담을 나누고 있다.
한국과 중국 문인 50여명이 모여 작품을 낭독하고 토론을 벌이는 제9차 한중작가회의가 25~6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렸다. 회의에 참석한 작가 권지예(55)와 재중동포 작가 김인순(진런순, 金仁順·45)이 25일 오후 <한겨레>를 위해 두 사람의 작품을 두고 궁금증을 풀어보는 대담을 나누었다.
김인순
“여성인물 그릴때 독립성·능력 중시
둘만 있으면 충분히 인생 살수있어”
“여성인물 그릴때 독립성·능력 중시
둘만 있으면 충분히 인생 살수있어”
권지예
“음식 만들다 아이디어 떠오르기도
둘 다 고전 속 여성 재해석 비슷해”
“음식 만들다 아이디어 떠오르기도
둘 다 고전 속 여성 재해석 비슷해”
권지예(이하 권) 김인순 선생과 나는 나이는 10년 정도 차이가 나지만 비슷하게 90년대 후반에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무엇보다 같은 여성 작가이기 때문인지 공통점이 적지 않은 것 같다. 작년 8월 한국어로 번역 출간된 소설집 <녹차>를 읽어 보면 김인순 선생 역시 여성의 사랑과 가족 문제를 즐겨 다루되 그것을 음식과 연결짓던데, 내 소설 중에도 ‘꽃게무덤’ ‘뱀장어 스튜’ 같은 단편은 음식을 매개로 여성의 사랑과 욕망의 문제를 추구한 작품들이어서 왠지 친근감을 느꼈다.
김인순(이하 김) ‘꽃게무덤’은 음식의 상징적 의미를 매우 잘 활용한 작품으로 읽었다. 읽으면서 궁금했던 것은, 이야기를 먼저 구상하고 그에 맞는 상징적 의미를 더하는지 아니면 음식의 상징적 의미를 먼저 설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꾸미는지 하는 것이었다.
권 여자라서 아무래도 음식 할 일이 많다 보니까 조리 과정에서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우가 있다. 소설을 쓸 때 나는 구성에 공력을 많이 기울인다. 같은 이야기라도 어떤 식으로 배열하느냐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김인순 선생 작품 중에 2012년작인 장편 <춘향>이 제10회 소수민족문학창작상인 ‘준마상’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작품은 우리가 아는 춘향전을 그대로 쓴 것인가 아니면 자기 식으로 재해석한 것인가?
김 한국의 전통 서사인 춘향전에서 모티브를 따왔지만 이야기는 전혀 다르다. 내 소설에서는 춘향이 아니라 그 엄마인 월매가 주인공이다. 봉건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차별과 억압을 남자의 사랑이 아닌 다른 방식을 통해 벗어날 수는 없을까 하는 것이 그 소설의 문제의식이었다. 내 경우 고전 이야기를 소재로 소설을 창작하면 어쩐지 여성주의자로 변신하곤 한다.(웃음)
권그 점도 나와 비슷하다.(웃음) 내 장편소설 <붉은 비단보>는 한국에서 현모양처의 대명사로 꼽히는 신사임당을 모델로 삼은 작품이다. 그러나 그 작품에서 나는 신사임당을 단순한 현모양처가 아니라 예술적 재능과 열정을 지녔음에도 남성 중심 사회에서 그것을 억눌러야 했던 인물로 재해석하려 했다. 김 선생 소설집 <녹차>를 읽어 보면 여성 주인공들이 매우 독립적이고 현대적이라는 느낌을 받게 된다. 특히 성적 자유를 구가하는 면모가 인상적이었는데, 나 역시 초기에는 그런 스타일의 작품을 많이 썼기 때문이다.
김 현대를 배경으로 삼은 내 소설에서 여성의 성은 일부러 의식한다기보다는 이야기의 자연스러운 흐름으로서 등장한다. 내가 여성 인물을 그릴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독립성과 능력이다. 이 둘만 있으면 연애나 사랑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자기 인생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2004년에 중국어로 번역 출간된 권지예 선생 소설집 <폭소>는 여성의 욕망과 성의 문제를 두드러지게 부각시켰던 것으로 기억한다.
권 그게 다는 아니겠지만, 많은 부분을 성과 욕망에 할애한 것은 사실이다. <녹차>의 번역자 후기에 따르면 김인순 선생은 중국 문단에서 70년대생을 가리키는 ‘70후(치링허우)’ 작가의 대표자로 평가받던데, ‘70후’ 작가들과 앞 세대 작가들의 차이는 무엇인가?
김 중국 문단에서 1998년부터 주목받은 작가 7명이 마침 다 1970년대생이었다. 그로부터 ‘70후’라는 명칭이 나왔다. 2000년대 이후 등단한 70년대생 작가들도 있지만 그들을 ‘70후’라 부르지는 않는다. 우리 바로 앞 세대인 1960년대생 작가들은 문화혁명의 상흔이 커서 작품에 정치·사회적 요소가 진하다. 반면 우리 70년대생 작가들은 개인적 경험을 중시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권 그래서인지 김인순 선생 소설을 읽으면서는 전에 접했던 중국 소설들과 다른 느낌을 많이 받았다. 동세대 한국 작가 작품이라 해도 믿을 정도로 주제나 문체가 현대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이번 한중작가회의의 주제인 ‘문학시장의 변화와 작가의 정체성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 보고 싶다. 나는 등단 초기만 해도 문학적 순수성에 대한 고민과 집착이 많았지만, 10년 전부터는 문학을 대하는 태도가 많이 바뀌었다. ‘시장’의 변화도 한 몫 했겠는데, 이제는 장르문학을 포용하면서 다양한 시도를 해 보려 한다.
김 중국 작가는 이른바 시장에 대한 태도가 한국 작가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 나는 소설과 영화 및 드라마 대본을 아울러 쓰는데, 대본을 쓸 때는 대중의 기호를 의식하게 되지만 소설에서는 오히려 내가 쓰고 싶은 대로 쓰는 편이다. 물론 중국 체제의 검열 안에서이기는 하지만.(웃음) 작가협회 소속으로 일정한 봉급과 안정적인 원고료를 받는다는 조건이 독립적인 한국 작가들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 같다.
한겨레
한겨레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