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jinchanghe 블로그홈 | 로그인
김장혁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 발표된 작품

나의카테고리 : 소설

대하소설 울고 웃는 고향(53) 무당의 굿 김장혁
2024년 06월 05일 12시 21분  조회:1123  추천:1  작성자: 김장혁

    김장혁 작 대하소설 울고 웃는 고향 제2권

        제7장 흑야

             4. 무당의 굿
 
 
  맏아들 경숙이가 하늘과 땅에 비는 불쌍한 정경을 보면서 안타까워하던 최구장은 무당을 청해 천지신명에게 빌기로 했다.
  (며느리야, 내가 너를 위해 할수 있는 일이란 이것 밖에 없구나. 자고로 인생 팔자나 목숨이나 모든 것이 하늘이 정해준 것이오니 하늘의 명에 기탁할 수 밖에 없다.)
   “여보, 당신 무당을 청해오오. 우리 무당을 청해 며느리를 위해 최후노력을 해보기오.”
  노친 리성단은 이제껏 영감의 말이라면 오직 순종만 해왔지만 이번만은 자기 생각을 말하고 싶었다. 목구멍까지 올라온 말을 할까 말까 하다가 끝내 목구멍을 열고 입 밖으로 튀어나왔다.
   “여보, 무당을 청하기보다 신설동의 관준 사돈어른을 청해 저 팅팅 부어오른 머리의 어혈을 뽑아볼까요? 관준 어른은 이 부근에 이름난 의원이 아니고 뭐예요?”
  충청남도 서현에서 놀러 왔던 성단의 남동생 리병호도 충고했다.
  “옳아요. 매형, 그깟 무당을 청해 뭘 해요? 의원을 청해 병을 보이는 게 낫을 거 같아요.”
  최구장의 처조카 리철근도 말리였다.
  “아까운 돈을 무당을 줄게면 병 치료나 하세요.”
  “관둬!”
  최구장은 기어코 그들의 충고를 듣지 않았다.
  “너희들이 뭘 알아서 끼어드나? 사람의 목숨은 하늘이 정해준 거야. 무당을 청해 하늘에 비는 수밖에 없다.”
  성단이나 남동생은 모두 입을 다물고 말았다.
  최구장은 노친 성단을 보고 재삼 부탁했다.
  “어서 사찰에 가서 무당을 청해 오오.”
  누구의 명이라고 거절하겠는가.
  리성단은 은전을 몇 개 주머니에 넣어가지고 맏아들 경숙과 함께 무당을 청하러 떠났다.
  최구장은 경인과 경민이 등을 시켜 집안의 돈을 다 모아가지고 소 한 마리를 사다 잡게 했다. 그 다음 바깥에 대국가마를 걸고 소고기를 저며 앉히고 불을 때 끓이게 했다.
   한편 허리 꼬부장한 성단과 눈물범벅이 된 경숙이 사찰로 가는 도중에 별 희한한 변을 당할 줄이야 누가 알았겠는가?
  그들은 운주동을 벗어나 마을동쪽의 산기슭 길 굽인 돌이를 지나려는 때였다. 헌병소대장 나까노라가 지휘도를 거들거리며 검정가죽장화를 번쩍거리며 거들먹거리면서 통역 류강철과 함께 오다가 딱 마주쳤다.
   “쏘까, 나니에 이꾸(어데로 가)?”
  최구장 댁과 경숙이 주춤 멈춰 섰다.
  “에이, 노친, 어디로 가?”
  나까노라의 말을 통역해 주자 경숙은 머리를 숙였지만 리성단은 성을 냈다.
  “네 이놈, 넌 어미도 없이 자랐니? 제 어미 같은 사람보고 노친이라니? 내가 그래 네 여편네라도 돼?”
  “뭣이? 어째? 감히 황군한테 대들 텐가?”
  리성단은 손으로 삿대질하면서 류강철을 욕했다.
  “너 이 버릇없는 놈 봐라. 네놈이 우리 영감한테서 천자문을 배우던 때가 어제 같은데 스승 댁과 반말을 쓰다니? 배은망덕한 놈 같은 게 잘 되는가 봐라.”
  “나니(뭣이)? 나니(뭣이)?”
  “예. 이 노친은 내가 자기를 욕했다고 성을 냅니다.”
  류강철의 일본어로 하는 말에 나까노라는 머리를 끄덕였지만 성단과 경숙은 뭐라고 지껄이는지 알아듣지 못하고 갈 길을 가려고 앞을 막아선 그자들을 에돌아 가려고 했다.
   "빠까(바보), 아이사쯔오 시나싸이(인사말을 하게나)."
  드디어 최구장 댁 모자가 허리를 굽혀 인사하자 나까노라는 또 자기들이 만들어낸 면례 말을 암송하라고 강요했다.
  면례 말이란 일본 놈들을 만나면 해야 되는 인사말 비슷한 것이었다.
   “인사했으면 됐지. 면롄지 뭔지 우린 모른다. 맏며느리가 아파 사찰에 급히 갔다 와야겠는데 앞길을 막지 말구 피해라.”
   그러나 류강철은 피할 염을 하지 않고 오히려 앞길을 막으면서 을러멨다.
   “면례 말을 암송하지 못하면 소대장이 가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럼 자네 배워주게나. 빨리 가게 말이야.”
  류강철은 최구장 댁 앞에서 허리를 굽히며 “예, 예.” 하고나서 정식으로 배워주려고 들었다.
  “고꼬노 진민노 이찌 와레라와 닛뽄노 덴노노 진민니 나리(이곳 백성의 하나인 우리는 일본 천황의 백성으로 된다).”
  그 면례 말은 진짜 우리 조선 사람들을 일본의 망국노로 만드는 식민지교육의 한 단락이었다.
  최구장댁은 굽은 허리를 꿋꿋이 펴고 물었다.
  “죽으라는지 살라는지 모를 소릴. 어떻게 암송해? 엉? 집에 앓는 사람을 눕혀놔서 갈 길이 바빠. 듣고도 모를 소릴 할 새 있냐?”
  “바 새끼, 못 간다, 못 가!” 
  나까노라는 벌컥 성 내면서 기어이 암송시키라고 류강철을 보고 을러멨다.
  그러자 류강철은 일본 상전 앞에 허리를 굽히더니 최구장 댁한테로 홱 돌아섰다.
   “지금 어느 때라고 아직도 면례 말도 모르고 어디로 간다고 그럽니까? 내 말을 들으시오. 한일합방 후 조선은 이미 일본에 속했단 말입니다. 그러니 일본 어른들이 하라는 대로 면례 말을 암송하라면 암송하세요. 그러지 않으면 이담 길도 못 다닙니다.”
   최구장 댁은 억이 막혀 하얀 머리를 홰홰 돌리다가 “그래 면례 말이 무슨 뜻이냐?” 하고 물었다.
  류강철은 배를 쓱 내밀었다.
  “이런 말이요. ‘여기 백성의 하나인 우리는 일본의 이곳 백성으로 된다.’는 말입니다. 알만 합둥?”
  최구장 댁은 류강철을 마구 밀면서 사정했다.
  “어이구, 죽어가는 며느리를 두고 하루 새에 일본 백성이 되라니, 될 수 있냐? 원, 이담 암송할 테니 이번엔 보내다오.” 
  경숙도 나서 빌었다.
  “자네 이전에 아버지 제자인 옛정을 봐서라도 일본 사람과 말해주게나. 어떻게 알아듣지 못하는 면례 말을 이 자리에서 암송하겠나?”
  그러나 류강철은 도리머리 질 했다.
  “안 되오. 꼭 암송하구야 갈수 있소. 벌금 10원을 내거나 귀 쌈을 피나도록 맞지 않고선 못 가오.”
  “어이구, 이 일을 어쩌느냐?”
  최구장 댁은 무릎을 꿇고 물앉더니 한참 후에 일어나 외워보겠다고 일어섰다.
  “음, 좋소. 암송하오.”
  최구장 댁은 마른 침을 꼴깍 넘기더니 나까노라와 류강철을 엇갈아 훔쳐보더니 입을 열었다.
  “꼬꼬댁 꼬꼬. 개 똥 같은 지지미가 와르르 쏟아져 나온다. 미운 사람이나 콱 채워라. 자, 다 외웠으니 자네 통역을 잘해주게나. 우리 가게 말이야.”
   류강철은 어처구니없어 입을 딱 벌리면서 웃었다.
  그는 나까노라의 눈치를 흘끔 쳐다보고는 손으로 입을 꽉 싸쥐었다.
  옆에서 듣던 나까노라는 류강철의 배때를 툭툭 치면서 "나니까(뭐야)?" 하고 물었다.
  류강철은 너무 우스워서 눈물이 글썽해졌고 코 물까지 흘러내려 손수건을 꺼내 닦고 나서 말했다.
  “참, 묘한 조선말로 암송하였지요.”
  “소우까(그래?). 요로씨이(좋아).”
  그들이 웃고 나서 돌아보았을 때에는 최구장 댁은 벌써 베치마를 팔락이면서 저 멀리 굽인 돌을 돌고 있었다. 그 뒤로 경숙도 종아리에 바람이 일게 가 버리고 있었다.
  이튿날 사찰에서 온 요염하게 생긴 무당이 최구장 댁 모자의 안내 하에 운주동 최구장의 집에 나타났다.
  신선인 듯이 하얀 비단으로 아래위를 감고 누런 비단으로 머리카락을 질끈 동인 무당, 요염하게 화장한당이 나타났다.   뚱뚱한 얼굴, 분을 너무 처 발라 하얗고 살진 얼굴, 복숭아얼굴에 짙은 버들 잎 눈썹, 큼직한 쌍까풀눈, 축 늘어진 두 볼의 살은 꽤나 요염하면서도 위엄스러워 보였다.
  최구장이 마중 나가 허리 굽혀 인사했다.
  “무당 마나님, 먼 곳에서 오시느라고 수고 많았습니다.”
  무당은 왼손을 가슴에 대고 허리 굽혀 인사를 받더니 오른 손에 허리춤의 칼 자루를 잡고 하얀 치마 자락을 날리면서 여기저기 다니면서 살펴보더니 물었다.
  “환자는 어데 있어요?” 
  최구장 댁과 둘째며느리 어금이 무당을 안내해 정주간에 들어갔다.
  무당은 합장하고 환자 옥실의 관상을 여기저기 살펴보더니 염불하듯 중얼거렸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이여. 그대의 귀여운 딸이 몹쓸 병에 걸렸나니 부디 구해주옵소서.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뒤이어 무당은 머리카락을 풀어헤치고 한참 꽹과리를 챵챵 두드려대면서 퐁퐁 뛰며 춤을 마구 춰댔다. 뒤이어 무당은 허리춤에서 서리발 치는 칼 두자루를 쑥 빼들어 휙휙 휘두르며 칼춤을 추었다. 무당이 휘두르는 칼날에서 서리발친다. 두 칼날이 마주 치며 불꽃이 튕긴다.
  " 귀신들아, 칼을  받아라! 남자귀신, 여자귀신 다 칼에 잘려 날아나라! 남자귀신이면 지고 가고 여자 귀신이면 이고 가라! "
  무당은 정점 목소리를 높여 굿을 했다. 
  “창생이여, 화음청주, 일어나. 화음청주, 이런 몹쓸 병에 걸리다니. 화음청주, 귀여운 이 딸은 너무 젊습니다. 화음청주, 아직 천당으로 갈 때는 아닌뎁쇼. 화음청주, 화음청주,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화음청주, 화음청주.”
  무당의 굿은 무속인의 굿에다가 중놈의 염불을 섞어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그 진가를 알아듣지 못하고 있었다. 
   드디어 무당은 옥실을 마주하여 합장하고 허리 굽혀 인사한 후 사뿐사뿐 걸어 나와 미리 무어놓은 나무 대에 올라가 남쪽을 향해 똑바로 섰다. 최구장 내외를 비롯한 온 집 식구들은 모두들 남쪽을 향해 꿇어 엎드렸다.
  요염하게 치장한 무당은 머리를 풀어헤치고 북채를 거머쥐더니 둥둥 당 둥둥 당 북을 절주 있게 쳐댔다. 그러자 부근의 숱한 구경꾼들이 몰려와 무당이 굿을 하는 것을 구경했다.
  이날 따라 하늘이 유난히 맑고 구름 한 점 없었다. 저 멀리에 까마귀 떼가 날아와 백양나무 위에 앉아 까욱, 까욱 처량하게 울어댔다.
  무당은 북치기를 멈추더니 머리를 풀어헤치고 남쪽 하늘을 향해 두 팔을 벌리고 휘젓더니 합장배례하더니 두 눈을 내리깔고 소리높이 굿을 하기 시작했다.
  “태극천상 워니 하니 사방이여, 어쩜 나비들도 내려앉을 꽃 같은 나인데 저렇게 몹쓸 병을 여린 창생에게 주었나이까. 화음청주,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굽어 살피옵소서. 불쌍한 저 창생을 해치지 말고 살려주옵소서. 관세음보살이여, 남자 귀신이면 지고 가고 여자 귀신이면 이고 가옵소서.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여린 창생을 보좌해주옵소서. 화음청주, 화음청주…”
  무당은 한참 굿을 하다가 북을 둥둥 당 둥둥 당당 당 당 당 치었다. 무당은 북치기를 멈추더니 삶은 소고기점을 여기 저기 쥐어뿌리면서 뭐라고 중얼거렸다.
  마을의 애들은 소고기를 주어가느라고 야단쳤다.
  무당은 회초리로 애들을 찌를 상하며 가리키면서 고래고래 고함쳤다.
  “저 불충스런 못된 놈 새끼들에게 천벌을 내리옵소서. 제물을 더럽히는 이단자들에게 날벼락을 내리옵소서.”
  웬 일인가?
  좀 전까지만 해도 맑던 하늘에 먹장구름이 뒤덮여오더니 번개가 번쩍이고 날벼락이 마구 쳤다.
  어른들은 자기 집 애들에게 내리는 천벌이라고 여겼던지 소고기를 줏지 못하게 말려가지고 집으로 바삐 달아났다.
  최구장은 무당이 아주 영험하다고 믿었다. 그는 맏며느리가 살 것 같아 무당에게인지 남쪽하늘에인지 꾸벅꾸벅 연신 절을 올렸다. 그러자 온 집 식구들이 장대처럼 쏟아지는 소낙비를 무릅쓰고 모두 최구장을 따라 절을 꾸벅꾸벅 올렸다.
   무당은 염불이 영험한 것 같아 소낙비를 무릅쓰고 나무 대에 풍덩 꿇어앉아 눈을 딱 감고 합장배례 한 채 점점 소리 높여 염불하면서 치성을 드렸다.
   뒤이어 무당은 머리카락을 풀어헤치고 비바람을 무릅쓰고 한참 꽹과리를 챵챵 두드려대며 퐁퐁 뛰며 춤을 마구 춰댔다. 뒤이어 무당은 허리춤에서 서리발 치는 칼 두자루를 쑥 빼들어 휙휙 휘두르며 칼춤을 추었다. 무당이 휘두르는 칼날에서 서리발친다. 두 칼날이 간혹 맏부딪치며 댓살 같은 소낙비 빗방울사이에서 불꽃을 튕긴다.
  " 귀신들아, 칼을  받아라! 남자귀신, 여자귀신 다 칼에 잘려 날아나라! 남자귀신이면 지고 가고 여자 귀신이면 이고 가라! " 
  최구장과 경숙이가 바삐 기름종이를 바른 우산을 들고 올라가 무당을 비바람 속에서 가리어주었다.
  한참 후 무당은 천천히 일어나 소고기점 칼로 저며 내 여기저기에 쥐어뿌렸다. 그리고 소고기점을 저며 간장에 찍어 먹으면서 집식구들도 굿을 한 제물을 먹으라고 주었다. 최구장과 경숙은 먹을 생각이 없었지만 굿이 영험하지 못할까봐 억지로 조그만 소고기점을 눈물과 함께 삼키였다.
   무당이 비바람도 무릅쓰고 정성을 다해 굿을 했다고 최구장은 무당에게 병완이가 부조로 가져온 금덩이에서 큰 것을 골라 주었다.
   최구장네 일가는 무당도 청해 정성을 다해 하늘에 굿을 하면서 빌었고 경숙은 관준의 귀띔대로 행여나 하고 오줌을 받아 끓여 옥실의 머리를 씻어주고 닦아주었다. 하건만 그들의 정성과는 달리 옥실의 머리는 조금 내린 것 같았지만 온 몸이 팅팅 붓기기 시작하고 살에서 찐득찐득한 땀인지 물인지 내배였다.
   한 열흘이 지나도 옥실은 정신을 차리지 못한 채로 저고리도 입히지 못할 정도로 온 몸이 팅팅 부어올랐다. 경숙은 하루 삼시로 대    소변을 받아 냈다. 피가 섞였는지 벌건 소변을 받아내는 경숙은 요강에 눈물 방울을 뚝뚝 떨어뜨렸다.
  경숙은 날마다 못해가는 옥실을 보고 구들에 물앉아 한숨을 구들 고래 꺼지게 후~ 내쉬었다. 옥실은 어떤 때에는 정신이 드는지 간혹 눈물을 흘리었다. 친인들을 두고 떠나가기 싫어 흘리는 생이별의 피눈물이었다.
  그럴 때면 경숙은 다가가 앉아 옥실의 손을 쥐여 흔들면서 “여보, 일어나오. 정신 차리오.” 하고 넉두리를 하듯 말했다.
  어린 오누이 봉인과 명옥은 엄마의 한 팔씩 쥐어당기면서 “이차, 이차. 엄마, 일어나시오. 엄마~” 하고 울었다.
  불쌍한 애들이 하는 모양을 보고 최구장 내외는 주글주글 주름살이 진 눈 확에 눈물이 글썽해 안질이 희미해졌다.
  “엄마, 일어나, 응? 일어나!”
  봉인은 엄마 손을 잡고 당기면서 울었다. 그러나 셈이 들지 못한 명옥은 엄마가 살아났다고 좋아 퐁퐁 뛰면서 놀았다.
  옥실은 가쁜 숨을 몰아쉬기 시작했다.
  관준을 청해 맥을 보이니 머리를 절레절레 흔들면서 최구장을 조용히 한쪽구석에 불러다가 나직이 말했다.
  “해지기 전까지 넘길 것 같지 못합니다. 빨리 후사를 준비하시오.”
  그러자 최구장은 돌아서서 어깨를 들먹였고 경숙은 손으로 구들을 치면서 울었다. 그러나 숨이 지지 않은 옥실이 놀랄까봐 소리치지 못하고 흑흑흑 흐느껴 울었다.
  모두 후사준비에 바삐 돌아쳤다.
  바깥에 어둠의 장막이 내리 드리고 번개가 번쩍이더니 우뢰가 꽈르릉 꽝꽝 울렸다. 뒤이어 바깥에서 소낙비가 우르르 쏟아지는 소리, 추녀에서 장대 같은 비 물이 쏟아져 내리는 소리가 요란하게 들렸다.
  옥실은 모진 한숨을 길게 내쉬더니 숨을 조용히 거두었다. 볼품없이 팅팅 부은 얼굴과 손, 네댓 살 밖에 안 되는 오누이를 다 키우지도 못하고 저세상으로 떠나가는 옥실은 정말 천하에 둘도 없이 불쌍했다. 온집 식구들은 곡성을 높여 옥실의 사망에 애도를 드렸다.
다섯 살 밖에 안 되는 봉인은 엄마가 세상 떴다고 “엄마, 엄마!” 하고 구들에서 발버둥질 치면서 울었다.
    그러나 연년생인 네 살짜리 명옥은 셈이 들지 못해 엄마가 세상뜬것도 몰랐다. 철부지 명옥은 이제 엄마가 저세상으로 가면 다시 되돌아오지 못 한다는 것도 모르고 장례 집에 몰려든 사람들이 많이 왔다고 좋다고 방구석에 세워놓은 조주머니에 올라갔다가는 뚝 뛰어내리면서 놀았다. 그것이 그의 한생에 얼마나 후회되는 일인지도 모르고 철부지처럼 외발로 뚝뚝 뛰면서 뛰놀았다.
    그들 오누이는 네댓 살 난 어린 나이에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어머니, 세상에서 제일 사랑스러운 어머니를 여의였다. 어린 나이에 어머니가 없는 세상에서 갖은 시련과 굴욕, 천대, 시기를 다 겪어야만 했다. 그들 오누의 앞날은 어두운 장막이 뒤덮인 이 세상에서 더 참담하고 암흑하고 막막했다.
    사흘 후 옥실의 장례를 치르게 됐다.
  최구장의 제의대로 조상의 성산이 모셔져있는 성남의 양지바른 곳에 묘지를 썼다. 비록 먼저 떠나간 맏며느리였지만 14대 장손을    낳은 맏며느리기에 최구장의 아버님을 모신 성남 성안에 모셨던 것이다.
   장례식 날에 경숙은 사랑하는 아내를 차마 비 물이 고이는 차가운 땅에, 무덤에 묻지 못해 떨리는 손으로 첫 삽을 떠 흙을 관 네 귀에 스르르 쏟아놓았다. 그의 줄 끊어진 구슬처럼 흐르는 눈물도 누런 흙과 함께 관위에 쏟아져 들어갔다. 옥실의 부모와 남동생 허성룡도 무두 흑흑 흐느껴 울었다. 처량한 통곡소리 남산둔덕을 메아리쳤다…
  장례를 다 치르고 경숙이가 비틀비틀 집으로 돌아와 보니 봉인이 명옥의 손을 잡고 그때까지도 “엄마~ 엄마!” 하고 대성통곡 치고 있었다.
   경숙은 어린 오누이가 불쌍해 한품에 끌어안고 꺼이꺼이 울었다.
   “어미 없는 애들을 어찌 하오. 어, 허, 헉, 흐~으~흑, 흑. 어째 내게 이런 일이 생기오. 당신이 없이 어떻게 살라오? 이 오누이는 어찌 하라오? 으흐흑, 흑, 흑, 하늘도 무심하지. 아~ 하~”
  최구장이 위방에서 나와 경숙의 어깨를 다독이면서  위로해주었다.
  “어찌겠니? 갈 사람이 돼서 간 걸. 애들을 굳건히 잘 키워라.”
  경숙은 주먹으로 가슴을 탕탕 치며 먹장구름이 뒤덮인 하늘을 쳐다보면서 쓰라린 눈물을 하염없이 흘렸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86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66 대하소설 졸혼(30) 김장혁 2022-08-01 0 1145
265 대하소설 졸혼(29) 김장혁 2022-07-27 0 1230
264 대하소설 졸혼 제3권 (28) 김장혁 2022-07-24 0 1248
263 대하소설 졸혼(27) 김장혁 2022-07-18 0 1277
262 대하소설 졸혼(26) 김장혁 2022-07-12 0 1161
261 대하소설 졸혼 제2권 (25) 김장혁 2022-07-10 0 1448
260 대하소설 졸혼(24) 김장혁 2022-07-06 0 1210
259 대하소설 졸혼 제2권(23) 김장혁 2022-06-30 0 1223
258 대하소설 졸혼(22) 김장혁 2022-06-27 0 1141
257 대하소설 졸혼(21) 김장혁 2022-06-23 0 1182
256 대하소설 졸혼(20) 김장혁 2022-06-20 0 1195
255 대하소설 졸혼(19) 김장혁 2022-06-16 0 1297
254 대하소설 졸혼(18) 김장혁 2022-06-12 0 1177
253 대하소설 졸혼(17) 김장혁 2022-06-11 0 1358
252 대하소설 졸혼(16) 김장혁 2022-06-05 0 1208
251 대하소설 졸혼(15) 김장혁 2022-05-26 0 1353
250 대하소설 졸혼(14)김장혁 2022-05-22 0 1127
249 대하소설 졸혼(13) 김장혁 2022-05-05 0 1276
248 대하소설 卒婚(12) 김장혁 2022-04-30 0 1259
247 대하소설 卒婚(11) 김장혁 2022-04-26 0 1200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