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조선족 시인 림금산 篇
2024년 08월 23일 05시 27분  조회:671  추천:0  작성자: 죽림
림금산의 새 "아리랑"(시평)
2016년 03월 15일 13시 44분   작성자: 림금산
시평

림금산의 새 “아리랑”

                                            우상렬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은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하나의 집단무의식적인 원형상징. 그런만큼 그것은 하나의 아리랑군을 형성하고 우리 민족 시인의 시적령감의 원천이기도 하다. 그래서 우리 민족의 많은 시인들이 아리랑을 불러왔고 지금도 부르고있는줄로 안다.
그럼 우리 여기서 림금산의 새 “아리랑”(조시)을 감상해보도록 하자.
 
림금산에게 있어서 “아리랑”은 무엇이던가.
 
     “조시1”-그것은 온 육신이 물러나는 소리가 나는 어려운 이주정착의 노래. 거기에는 가난이 깃들어 있고 피눈물이 슴배여있다. 그대로 두만강 민족적서정은 피여난다.
 
    “조시2”-거기에는 가난속에서나마 전원목가적인 랑만이 깃들어있다.
 
   “조시3”-조선족을 상징하는 모아산, 해란벌, 해란강 같은 키워드들이 등장한다. 그런데 좀 스산하다. “헐벗은 해란벌”, “짜개진 논밭”이 보이고 “구슬픈 곡조 익어가는 강끝”-“해란강의 소리”가 들린다. 그래 여기에 “모아산”으로 대변되는 조선족이 떠나련다.
 
    “조시4”-아리랑은 우리의 령, 육, 혼이 하나로 아우러지는 경지. 바로 이런 경지속에 우리의 뼈대가 세워진다. 그것은 “조상이 피를 토하”는 한 맺힌 “민족의 국제가”로 우리의 하나의 집결점이 되고 기치가 된다.
 
전반적으로 볼때 림금산의 “아리랑”은 주로 우리 조선족의 아리랑, 우리 조선족의 이주정착 및 현실적삶의 역경이 파노라마처럼 흘러갔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 “민족의 국제가”로 승화됨으로써 “세계공통어”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며 희망적이기도 하다.
 
     림금산의 “아리랑”은 시적형식에 있어서 매 “조시”, 례컨대 “아리아리 아리랑(조시1)”, “아리랑 아라리요…(조시2)”, “아리랑 아라리요…(조시3)”, “아리랑 아리랑 윙-위잉—위이잉…//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나 주소…(조시4)”,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조시5)”에서 보다싶이 전통적인 아리랑의 “후렴구”를 넣음으로써 일종 전통민요 “아리랑”의 패러디양상을 나타내고있다. 이로써 전통적인 포스트모던적인 시창작특색을 나타내고있다.

     매 “조시”의 이런 후렴구들이 서로 호응하고 어울리며 자연스럽게 하나의 새 아리랑이 흘러나오는 감을 준다. 매 “조시”의 시구들도 보면 몽롱시나 현대파시의 경우처럼 별로 난해하거나 헛갈리지도 않는다. 평이한 가사에 가깝다고도 말할수있다. 특히 “조시1”에서 전반 시적이미지나 경지를 “소리”로 전환함으로써 애초에 “노래”분위기를 잡는듯하다. 그러나 그것은 시구의 산문적의미 련결 및 토씨가 분명히 따라붙고 종결어미가 구전한 산문적어감 그리고 시구의 길이로 놓고볼때 일종 산문시적인 특색을 가지고있다.

그러면서 산문시도 시인만큼 다양한 시적인 수사법을 구사하고있다. 례컨대 “손가락에서 소리가 난다”보다 이것을 념두에 둔 “손가락에서 소리가 흐른다”는 표현은 청각을 시적으로 전환한 통감적적표현 및 “할배의 수염발이 몸을 후려치는 숨결이다”에서 시각을 청각으로 전환한 통감적표현 그리고 “모아산이 잠에서 부어오른 눈을 비비며/멀리 바다쪽 하늘 우러른다…”를 보면 기표에서는 “눈을 비비며”, “우러른다”로 의인법, 기의에서는 “모아산”으로 조선족, “바다쪽 하늘”로 고국을 상징하고있다. 이외에 “가난이 가득 흘러내리던 소리”, “헐벗은 해란벌”, “짜개진 논밭”의 의인, “령혼속에 바위가 세워진다/바위속에 뼈가 세워진다/뼈속에 쇠쪼각이 세워진다”는 반복적인 틀속에서 “바위”, “뼈’, “쇠쪼각”의 중간꼬리법(顶针法), “아침안개 서려올라 무명저고리가/벗은 산허리를 둘러주고 저녁연기 타래쳐올라/초가삼간을 배불리던 이야기다”의 대구, “조시1”에서의 “소리를 낸다”, “소리다”의 각기 여러구에서의 반복 등등은 그 보기가 되겠다.

     이제 림금산의 새 “아리랑”은 끝나는듯하다. 그런데 여운은 남는다. 새로 또 시작할듯하다. 그것은 우리의 영원한 멜로디이니깐. 기대해도 좋
겠다.
++++++++++++++++++++++++++++++++++++++++++++++++++++++++++++


달이 노래 부르면 상아는 춤을 추겠지(문학비평)
 
문학비평
달이 노래 부르면 상아는 춤을 추겠지
-임금산시인의 <달> 조시 열수에 부쳐
 
강혜라
 
 
 
 
 
자고로 시인 묵객치고 달을 노래하지 않은 사람은 없었다. 푸른 밤하늘을 흐르 듯이 가며 하많은 상상을 불러일으켰던 달은, 저 시선 이백의 싯줄에서 뛰놀다가 존 키츠의 싯줄을 휘감기도 하던 달은, 이제 임금산시인의 시 노트에 담겨 둥그렇게 솟아오른다.
그리고 임금산시인은 동시인으로도 소문났지만 문학을 시작할 때는 멋진 성인시를 펑펑 쏟아내던 분이다. 작은 눈으로 너른 세상을 훑어보고, 작은 가슴에 풍진세월을 품기도 하며, 작은 키로 큰 하늘을 떠이고 드팀없이 문학의 길을 매진해온 임시인의 시적행보는 단 한순간도 멈춘 적이 없었다.
그래서일까!
오늘 우리가 만나게 되는 임금산시인의 조시묶음은 세월 속에서 헹구어낸 우리 민족의 가락과 시인의 나이테로만이 해석이 가능한 인간세상의 다양한 모습이 웅건한 울림이 되어 다가오는 것이다. 그것은 잘 길들여진 리듬감과 각고의 탁마 끝에 비로소 얻어진 보석같은 시어들로 해서 자칫 단숨에 읽힐지 모르지만 함부로 쉽게 읽어버리기에는 너무 아까운 편편주옥들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그러면 이제 다 같이 탁배기맛 시에 젖어보는 시간을 가져보기로 하자.
 
 
달이 내게로 와서 노래가 될 때
 
<달 1>은 조시 <달 노래>의 머리시 격으로 큰 스케일로 달에 대한 전방위적인 찬사를 유감없이 구가하고 있다. <바다>, <대지>, <하늘>, <희말라야>, <우주>, <지구촌>, <억만창생> 등 거창한 시어들이 시의 스케일을 대변해주고 있거니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과 우주정신 등 교감을 통해 우주질서를 견인해내면서 인간세상을 관조하고 있다. 하면서도 시는 지나치지 않은 잔잔한 시어로의 시적감흥을 밑그림으로 깔아주면서 거창함과 유연함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시 독자들의 달 조시에 대한 몰입에 올리브유를 쳐주며 강렬한 구독을 부채질해주고 있는 것이다.
<달 2>에 이르면 달 잔치를 빌어 나의 달 사랑을 잦은 휘모리로 표현해보이고 있다. 긴박하게 진행되는 시적흐름으로도 숨가쁜 달사랑을 확인할수 있으며 입, 가슴, 머리칼, 팔, 다리, 눈썹, 귀 등 온몸으로 표현되는 달사랑은 수천억번의 키스를 가능케 하며 달 키스의 순결성에 공감하게 만든다. 그 많은 키스가 하나로 되어 내 가슴을 쭉 가른다는 단연 압권이다.
<달 3>은 달집이 형상화되고 있다. 달을 찾아가서 만난 달은 달 구멍이 되기도 하고 달 잉태를 낳기도 하며 달집들이 터지고 엉키기도 한다. 달의 냇물, 달의 강, 달의 바다 그것은 시인이 만난 달이며 시인의 시적사고에서 비롯되는 달의 언어인 것이다. 바로 이런 달 언어에 편승하여 달조시의 낭자한 흐름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한편으로 시 독자들을 달 독자로 탈바꿈시키기도 하는 것이다.
<달 4>는 <달 3>의 연장선에 있다. 달집에 들어서니 달이 매대 앞에서 달을 판다. 기상천외한 판타지가 가능한 것이 바로 시라는데 동의한다면 우리는 시인과 함께 달을 안고 달과 사랑을 나누다가 달에 코를 박고 달 꿈에 실려 하늘나라로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상아가 달에 오를 때 이런 아름다운 장면이 연출되었으리라. 별다른 시적장치가 없어도 이 시가 지극히 아름답게 안겨오는 것은 바로 달에 대한 넘쳐나는 시인의 사랑이 안바침되고 있음이요 달 아니었던들 상기의 아름다운 풍경은 시적묘술이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달 5>는 이색적이다. 달의 가는 허리라는 시적상상에 편승하여 거기에서 비롯되는 온갖 현상들이 마침내 시 독자들에게 공감대로 다가서는 것이다. 달의 가는 허리에서 달이 빠져나오고 빠져들어 가면서 봄, 청춘, 황금, 황제, 바람, 낙엽, 귀밑머리, 엄동, 신음, 귀신, 서시 등이 쏟아져 나온다. 거의 카테고리를 찾을 수 없을 것 같은 상기 시어들이 왜 여기 나열되어야 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달이 충만 되고 이지러지는 일이 거듭되면 마침내 봄이 찾아오게 된다. 봄은 청춘과 통한다. 청춘은 인생의 황금시기라고 일컫는다. 황금은 황제의 특권이기도 하다. 황제는 늘 바람을 몰고 다닌다. 말하자면 호풍환우하는 것이다. 바람이 불면 낙엽은 지게 마련이요 낙엽이 진다는 것은 인생의 황혼 즉 귀밑머리의 퇴색을 의미한다. 그렇게 세상은 흐르면서 눈보라에 산천초목이 신음하던 엄동은 지나가게 되는 것이다. 겨울의 신음소리는 귀신의 통곡소리를 연상시키고 귀신 속에서 가장 아름다운 귀신은 서시라 해도 대과는 없게 된다. 특히 서시까지의 연상은 월궁의 상아를 떠올리면 금세 안겨오는 시적대상물로 당연한 카테고리인지도 모른다. 자, 이쯤 시인의 상상을 추적해보았다. 가능하고 가능하며 달이기에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눈치 채게 될 것이다.
<달 6>에서는 달을 사랑하던 나머지 내가 달이 되어버린다. 달에 대한 찬사가 이번에는 달을 닮아버린 나의 일상에서 사품쳐 흐른다. 달의 유순함에서 순수의 나무를 키우고, 달의 밝음에서 순정의 샘물을 파내고, 달의 절절함에서 그리움의 싹을 얻는다. 달에 대한 노래가 격상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달 7>에서는 드디어 우리 민족이 달을 빌어 묘사되고 있다. 하얀 저고리, 하얗게 바래고, 저 여울지는 저고리 고름, 하얀 서리 등 이 시에서는 쉽게 채집되지만 시인이 알심들여 고른 시어들에서 우리는 민족의 혼을 볼수 있으며 세상 어느 민족보다 순결함을 지향하는 우리 민족 역시 지금껏 달과 함께해왔음을 감지할 수 있다.
<달 8>에서는 달과 자연의 교감이 웅건한 울림으로 다가온다. 세상으로 보면 온갖 세상만사를 다 겪어온 달의 이야기는 별들이, 나무들이, 풀들이, 빌딩들이, 바람이 안다. 그래서 달을 쳐다보며 숙연해지는 시인의 마음을 우리는 어쩌면 알 수도 있으리라.
<달 9>에서는 달에 대한 직설적인 고백이 눈물겹다. 달은 둥글어도 이지러져도 시인에게는 애모쁜 사랑의 아픔으로 다가오는 것이며 그래서 어떤 모습이여도 고마운 달은 시인에게 언제나 슬프도록 행복한 존재인 것이다. 행복이 극에 달하면 슬프게 보이는가 슬픔이 극에 달하면 행복해지는가. 잠시 제쳐두고 달에 미쳐 달을 사랑하는 시인의 마음만 확인해보는 선에서 일단 만족하자.
<달 10>에서는 연쇄적인 수법을 활용하여 달을 노래하고 있다. 달 속에서 달이 나오고, 그 속에서 호수가 펼쳐지고, 호수주변에 수림이 설레고, 수림위에 하늘이 열리고, 하늘 속에 흰 구름이 뜨고, 구름너머 아득히 하늘이 또 열리고, 나는 하늘을 휘감고 구름을 휘저으며 간다. 엄마야, 누이야 피터지게 외치는데 그 핏방울들이 흩뿌려져 살구꽃으로 피어난다. 세련된 아름다움이요 수채화 같은 장면이다. 꽃잎은 피로 색을 올려 더더욱 구슬프게 아름답다는 마지막 행에 시인의 달 노래가 결코 끝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조시라는 암시가 숨겨져 있다.
 
 
시가 일어서서 춤을 출 때
 
이상 임시인의 달 조시 10수를 한 수씩 반추해보았다. 달을 노래한 그 많은 시인들 중에서도 유독 임시인의 달 조시가 새삼스러운 까닭은 시의 폭(넓이)과 시의 심도(깊이)가 지금까지의 달시들에 비해 월등히 상위라는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아울러 아름다운 시어들의 몸짓이 사푼거리는 내지 너흘거리는 멋스런 춤사위로 우리한테 다가온다는 데서 그 두 번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터이다. 달을 사무치게 사랑하는 시인의 고아하면서도 설설 격정에 끓는 순수한 마음 앞에서 먼저 경건함을 여미고 접근해보기로 하자.
상기 10수의 시들은 일단 전혀 거리낌없이 달에 대한 시인의 송두리째 되는 고백을 동반하고 있다. 달을 바라보며 미치고 달을 미치도록 사랑하며 달 아니었던들 사랑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달 사랑을 주절거림에 추호의 망설임도 없는 시인은 땅 위에서 달을 바라보다가 달에 이끌려 달에 찾아가고 드디어 달로 화하면서 달과 일심동체가 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다시 지상에 내려와 눈물겹도록 달을 바라보며 달에 대한 온전한 사랑을 다시다시 확인해본다.
왜 하필 달이었을까?
달보다 밝은 해도 아니고 달보다 기특한 별도 아니고 달보다 아름다운 그 무수히 많은 우주적 존재들을 다 제쳐두고 왜 하필이면 달이었을까?
일상에서 일반인이 바라보는 달은 어둠을 밝혀주는 존재나 시간을 알려주는(상현달이다가 보름달이다가 하현달이 되는) 존재나 기분을 돋궈주는 존재 정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의 눈에 비치는 달은 순수하며 깨끗하며 호젓하며 은은하며 내성적이며 독보적이며 이상적이다. 달은 또 여성적(월궁의 상아)이며 소녀적(거의 모든 소년들이 달을 향해 첫사랑의 고백을 중얼거려 보았으리라)이며 할머니적(달밤의 할머니 이야기)이며 애인적(사랑 때문에 우는 사람은 거의 반드시 달을 보며 왜 너는 비추는 내 애인을 나는 볼 수 없냐고 원망 한 마디 쯤 던져 보았으리라)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시인에게 있어 달은 사랑과 더불어 시적 창작의 원천으로서 간과할 수 없는 신적인 존재이며 아름다움의 절정으로 각인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동양인들에게 달의 존재는 저 비너스, 아폴로디테, 마돈나 등 유럽의 다양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에 비견되는 존재로서 자고로 달에 대한 음풍영월은 단 한순간도 멈춰본 적이 없을 정도이다.
그런 달이 임시인의 시붓에서 조시로 떠오르며 새롭게 거듭났는 바 여기에는 임시인의 시적 내공이 한 몫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특히 일상어인듯 아름다운 조화(폭력적 조합이 아닌 티없이 순수한 리얼적인 조합)를 이루는 시어들의 행진은 단아하면서도 격정이 있고 사품치면서도 이지적이라 해야 할 것이다. 시의 아름다움은 시어의 아름다움으로 빛나는 것이며 시어의 아름다움은 시인의 사상의 아름다움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만큼 임시인의 심적 상태가 순수하고 깨끗하며 말숙하고 선량하며 폭포처럼 거창하면서도 깊은 소처럼 여울을 만들기도 하고 두루미처럼 끼끗하면서도 학처럼 도고함을 잃지 않는다는 방증이 되겠다.
시의 삼박자에서 시의 흐름과 시어들의 배렬과 시의 사상은 언제 어떤 시인의 어떤 시라도 자유로울 수 없는 부분이 될 것이다. 임시인의 달 조시가 단순히 달에 대한 찬가에 그쳤더라면 시의 넓이와 높이와 깊이에서 아쉬움이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10수의 시들을 부벼보면 거기에는 민족적인 맑은 영혼이 살아 숨 쉬고 그래서 우리는 임시인의 달시에서 우리 민족의 혼을 호흡할 수 있는 것이다. 민족적인 시대적인 미래적인 높이와 깊이와 넓이의 시는 바로 이런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해주는 대목이라 해야겠다.
 
달은 저쯤에서 노래 부르고 상아는 저리 사푼거리며 춤을 추고 있다. 임시인은 술잔을 잡은 채 시붓을 비스듬이 꼬나들고 있다. 이제 임시인의 조시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달의 노래가 끝나지 않는 한, 상아의 춤이 끝나지 않는 한 우리 모두는 숨을 죽이고 지켜보기만 해도 무방할 터이다.
모처럼 아름다움의 경지를 보여준 임시인께 박수와 응원을 섞어보낸다.


===================================

림금산략력:

연변작가협회 리사, 시창작위원회 前 부주임, 사단법인 연변시가학회 부회장 중국조선족소년보사 기자부 주임,동시집"사랑의 동그라미", "옹달샘,시집"불새" 등 출판,"리영식아동문학상", "백두아동문학상", "꽃망울"아동문학상,"정지용문학상" 등 수상,"연변주10대신문사업일군", "길림성우수신문사업자" 칭호수여받음.

=================================

강- 림금산 시인의 시 <살아간다는 것은>을 함께 감상하도록 하겠습니다.
 
살아간다는 것은
        림금산
 
눈물을 버리지 말아라
놋대야에 잘 담아뒀다
화분에 주어라
그러면 눈물을 먹고
꽃은 피여난다
그 꽃에서 풍기는 향기는
눈물냄새가 나리라
 
아픔을 버리지 말고
하얀 손수건에 잘 싸두어라
그랬다가 가슴에 번열이 날때
꺼내보면 가슴에 봄이 내려앉는다
그 봄이파리에는
고름이 탐스럽게 열릴것이다
 
눈물도 버리지 말고 아픔도 버리지 말라고 했는데요 왜서죠?
림금산- 네 사실 살아간다는것은 어찌보면 하나하나의 아픔의 련속이라고 할수도 있고 눈물의 련속이라고 할수도 있습니다. 어느 아름다운 사랑에 눈물이 동반되지 않은것이 있고 아픔이 동반되지 않은것이 있습니까? 또 반대로 눈물 한방울 없는 사랑과 아픔 한쪼각 없는 사랑이면 남들도 감동시키지 못하고 사랑을 깊이하고있는 장본인들도 감동받지 못할수 있죠…물론 여기서는 극적인 사랑이나 문학적인 사랑을 말한다고 할수도 있겠지만 사실 그렇습니다. 사랑다운 사랑을 한번 뻐근히 해보자면 눈물과 아픔이 이렇게 저렇게 동반될수도 있겠죠. 그래서 눈물은 아까운 거고 아픔도 또한 소중한거라 생각됩니다. 이 시는 아마 그런 눈물과 그런 아픔을 쓰려고 한것 같아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83 [문단소식]- 중국조선족 두분 문인 駿馬를 타고 질풍하고... 2024-09-09 0 918
2282 중국조선족시인 백진숙 篇 2024-09-09 0 1058
2281 중국조선족시인 리해룡 篇 2024-09-09 0 1001
2280 중국조선족시인 박성군 篇 2024-08-31 0 888
2279 중국조선족시인 리선호 篇 2024-08-31 0 935
2278 중국조선족시인 리수길 篇 2024-08-31 0 903
2277 중국조선족시인 리선근 篇 2024-08-31 0 810
2276 중국조선족시인 석화 篇 2024-08-31 0 840
2275 중국조선족시인 김학송 篇 2024-08-31 0 938
2274 중국조선족시인 김화숙 篇 2024-08-31 0 1026
2273 중국조선족시인 박춘월 篇 2024-08-31 0 1006
2272 중국조선족시인 최강 篇 2024-08-31 0 911
2271 중국조선족시인 김승광 篇 2024-08-31 0 928
2270 중국조선족시인 김국철 篇 2024-08-31 0 1049
2269 중국조선족시인 박정근 篇 2024-08-31 0 973
2268 중국조선족시인 최화길 篇 2024-08-31 0 903
2267 중국조선족시인 오정묵 篇 2024-08-31 0 789
2266 중국조선족시인 심정호 篇 2024-08-31 0 843
2265 중국조선족시인 신현철 篇 2024-08-31 0 834
2264 중국조선족시인 리기춘 篇 2024-08-31 0 785
2263 중국조선족시인 김동활 篇 2024-08-31 0 892
2262 중국조선족시인 김상봉 篇 2024-08-31 0 841
2261 중국조선족시인 허도남 篇 2024-08-31 0 973
2260 중국조선족시인 리행복 篇 2024-08-31 0 866
2259 중국조선족시인 전광국 篇 2024-08-31 0 951
2258 중국조선족시인 신철호 篇 2024-08-31 0 951
2257 중국조선족시인 리홍철 篇 2024-08-31 0 936
2256 중국조선족시인 남철심 篇 2024-08-31 0 990
2255 중국조선족시인 황정인 篇 2024-08-31 0 844
2254 중국조선족시인 려순희 篇 2024-08-31 0 862
2253 중국조선족시인 지영호 篇 2024-08-31 0 783
2252 중국조선족시인 홍순범 篇 2024-08-31 0 922
2251 중국조선족시인 박문봉 篇 2024-08-31 0 855
2250 중국조선족시인 변창렬 篇 2024-08-31 0 899
2249 중국조선족시인 신현산 篇 2024-08-31 0 901
2248 중국조선족시인 박동춘 篇 2024-08-30 0 872
2247 중국조선족시인 허동혁 篇 2024-08-30 0 925
2246 중국조선족시인 신창수 篇 2024-08-30 0 1030
2245 중국조선족시인 남영전 篇 2024-08-29 0 895
2244 중국조선족시인 김학천 篇 2024-08-29 0 872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