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名詩 공화국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1960년대 이후 시: 나희덕 - 못 위의 잠
2015년 12월 25일 03시 41분  조회:7934  추천:0  작성자: 죽림

못 위의 잠 
- 나희덕 

저 지붕 아래 제비집 너무도 작아 
갓 태어난 새끼들만으로도 가득 차고 
어미는 둥지를 날개로 덮은 채 간신히 잠들었습니다 
바로 그 옆에 누가 박아 놓았을까요, 못 하나
그 못이 아니었다면 
아비는 어디서 밤을 지냈을까요 
못 위에 앉아 밤새 꾸벅거리는 제비를 
눈이 뜨겁도록 올려다봅니다  


1~8행 : 현재 - 아비제비를 바라봄 

종암동 버스 정류장, 흙바람은 불어 오고 
한 사내가 아이 셋을 데리고 마중 나온 모습 
수많은 버스를 보내고 나서야 
피곤에 지친 한 여자가 내리고, 그 창백함 때문에 
반쪽난 달빛은 또 얼마나 창백했던가요 
아이들은 달려가 엄마의 옷자락을 잡고 
제자리에 선 채 달빛을 좀더 바라보던 
사내의, 그 마음을 오늘 밤은 알 것도 같습니다 
실업의 호주머니에서 만져지던     
때묻은 호두알은 쉽게 깨어지지 않고 
그럴듯한 집 한 채 짓는 대신 
못 하나 위에서 견디는 것으로 살아온 아비, 
거리에선 아직도 흙바람이 몰려오나 봐요 
돌아오는 길 희미한 달빛은 그런대로 
식구들의 손 잡은 그림자를 만들어 주기도 했지만 
그러기엔 골목이 너무 좁았고 
늘 한 걸음 늦게 따라오던 아버지의 그림자  


 9~25행 : 과거 회상 -아버지와 함께 어머니를 마중 나감 

그 꾸벅거림을 기억나게 하는
못 하나, 그 위의 잠 
◈ 26~27행 : 현재 - 아버지의 꾸벅거림을 기억하게 하는 못 위의 잠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회상적, 
◈ 특징 
① 못 위에 앉아 잠을 자는 제비와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지지 못했던 아버지의 처지를 중첩시켜 표현하였다. 
② 과거의 사건과 경험을 떠올리는 회상적인 어조로 시상을 전개하였다. 
③ 경어체의 표현을 사용하며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④ ‘돌아오는 길 희미한 달빛’, ‘늘 한 걸음 늦게 따라오던 아버지의 그림자’ 등 대상을 감각적으로 재현하며 시각적인 심상을 환기하고 있다. 

◈ 제재 : 
◈ 주제 : 남루했던 아버지의 삶에 대한 연민의 정 

[시의 짜임]
1~8행 : 현재 - 아비제비를 바라봄 
9~25행 : 과거 회상 -아버지와 함께 어머니를 마중 나감 
26~27행 : 현재 - 아버지의 꾸벅거림을 기억하게 하는 못 위의 잠 

[감상과 이해]

이 시의 전체 시상은 병렬적으로 제시되는 두 개이 장면에 의해 전개되고 있다. 시적 화자는 둥지가 비좁아 못 위에 겨우 앉아서 밤을 지새는 아비제비의 모습을 올려다보며 기억 속의 아버지를 떠올리게 된다. 실직자의 신세를 면치 못한 아버지 대신 어머니가 생계를 꾸려 가야했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시적 화자는 비애와 아픔, 좌절감을 느꼈을 과거의 아버지를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작품의 말미에서 시적 화자는 늦게 따라오던 아버지의 애틋한 그림자를 떠올리는데, 아버지의 꾸벅거림과 못 위에서 자는 제비의 꾸벅거리는 모습이 겹쳐지고 있다. 

이 시는 경어체의 표현을 사용하며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상의 특징은 어린 시절의 아버지를 회상하는 작품의 성격과 긴밀히 맞물려 있다. 즉, 어린 시절에 겪었던 일과  아버지에 대한 느낌을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경어체의 어법을 통해 대상을 서술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는 시각적인 심상을 다양하게 구사하고 있는데 ‘돌아오는 길 희미한 달빛’, ‘늘 한 걸음 늦게 따라오던 아버지의 그림자’ 등은 대상을 감각적으로 재현하며 시각적인 심상을 환기하고 있다. 

[해설]

이 작품은 27행의 전연시이다. 연 구별이 전혀 되어 있지 않은 작품이다. 제비집 옆의 못 위에서 잠을 자는 제비 아비의 모습과 종암동 버스 정류장에서 만난 한 사내의 모습이 병치되고 있다. 작품의 행간의 의미를 짚어 보면 다음과 같다.
1-3행 : 너무도 작은 제비집에 새끼들을 재우고 어미는 둥지 위에 간신히 잠들었다.
4행 : 그 옆에 못 하나가 있는데
5-6행 : 제비 새끼들의 아비는 그 못에서 밤을 보냈다.
7-8행 : 그런 제비 아비의 모습을 화자는 눈이 뜨겁도록 올려다 본다. 여기까지를 내용상 하나의 연으로 묶는 것이 좋다. 밤새 꾸벅거리는 제비아빠를 보면서 왜 화자는 눈이 뜨거워진 것일까? 왜 눈물을 흘린 것일까? 감동의 눈물인가? 연민의 감정인가?
9-10행 : 장면이 바뀐다. 너무도 작은 제비집은 흙바람 부는 버스 정류장으로 바뀌었다. 그렇지만 '너무도 작은' 것이나 '흙바람 불어오'는 것이나 그 환기되는 분위기는 동일하다. 그러한 정류장에 아이 셋과 함께 누군가를 마중 나온 사내에게 시인은 시선을 멈춘다.
11-13행 : 그 사내는 아내를 기다렸다. 그 여자는 오랜 노동을 끝내고 온 모양인지 몇 번의 버스 뒤에서야 비로소 피곤에 지친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 여자의 얼굴이 시인에겐 매우 창백하게 보였고 그래서인지 반쪽의 달조차 매우 창백하게 보인다.
14-16행 : 아이들은 엄마에게 달려가고, 물끄러미 달빛만 바라볼 수밖에 없는 '사내'의 모습이 시인에게 각인된다. 창백한 달빛을 바라보며 사내는 과연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일까? 혹시 아내에 대한 미안한 마음일까? 무력한 자신에 대한 자책일까?
17-20행 : 이 부분은 시인의 논평에 해당한다. 정류장에서 만난 그 '사내'가 실업자인지 아닌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렇지만 이는 시인의 주관적인 생각이다. 오랜 실업 속에서 마땅한 직장도 쉽게 나타나지 않아 변변한 집 한 채 갖지 못하고 단칸 셋방에 세들어 사는 사내. 아랫목에 아이들을 재우고 자신은 결국 '못' 위에서 잠을 자며 힘든 삶을 견딘 사내.
21행 : 정류장에서 그 사내의 가족들이 좁은 거리로 이동한다. 그렇지만 여전히 흙바람은 불어오고
22-25행 : 비록 달빛이 식구들이 손잡고 걸어가는 그림자를 따뜻하게 만들어 주기도 하지만, 그렇게 위안하기엔 그들이 헤쳐나아가야 할 삶은 너무도 힘들고 언제나 한 걸음 쯤 뒤쪽에서 걸어갈 수밖에없는 아버지
26-27행 : 그런 아버지의 삶이 바로 '못 위의 잠'이다.

이 정도 독해를 하였으면 이제 장면을 연상하면 된다. 과거에 시인은 못 위에 꾸벅 꾸벅 졸고 있는 제비의 모습을 본 적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우연히 종암동 버스 정류장에서 한 사내를 만나게 되었다. 그 사내의 모습에서 제비 아비의 모습이 겹쳐지고 있다. 남편은 실직자이고 아내가 이 집안의 생계를 책임지고 인물이라고 시인은 생각한다. 우리 사회에 이 사내와 같은 아버지의 모습이 많지 않은가? IMF 실업대란 이후 우리 사회에 당당한 아버지의 모습이 사라졌다고 하면 지나친 말일까? 구조조정의 칼바람에 옷깃을 세우며 당당히 서 있으려 했지만 자꾸만 움츠려는 어깨를 가진 아버지만 남아있을 뿐이다. 못 위에서 꾸벅 꾸벅 잠들 수밖에 없는 이 시대의 아버지. 비록 자신은 구조 조정의 시퍼런 칼바람이 삶이 지치고 힘들어도 가족만큼은 따뜻한 아랫목에서 쉬게 하고 싶은 이 시대의 슬프고 위대한 아버지. 겉으로는 가족의 사랑과 관심을 외면한 채 차가운 못 위에서 꾸벅이며 안식을 취하는 아버지의 모습에서 뜨거운 눈물과 연민이 느껴지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어쨌거나 이러한 아버지 모습에 대해 시인은 연민과 안타까움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관련작품] 

◈부모에 대한 그리움과 연민의 정을 노래한 시 

김종길 성탄제 / 고은 성묘 / 박재삼 ‘추억에서’ / 기형도 ‘엄마 걱정’ / 이성복 ‘또 비가 오면’ / 이용악 ‘달있는 제사’ , ‘플벌레 소리 가득차 있었다’ / 강우식 ‘어머니의 물감상자’ / 정한모 어머니 / 정인보 자모사 / 김상훈 아버지의 창 앞에서 


꾸벅거리는 아비제비⇒경제적으로 무능력했던 아버지를 떠올리게 함 (늘 한 걸음 늦게 따라오던 아버지의 그림자) 
아비제비의 애처로운 모습을 지켜보며 어린 시절의 아버지를 떠올리는 시적 화자 
제비집→정류장 : 과거 회상의 시작됨 
흙바람 : 삶의 고단함과 세파 
시적 화자에게 비친 삶에 지치고 고단한 어머지의 삶을 상징 / 감정이입 
창백한 표정의 어머니를 바라보지 못하는 아버지의 심리 / 아내에 대한 미안함과 경제적으로 무력한 자신에 자책의 심리 - 화자의 추측 
달빛 :  잠시나마 단란하고 정겨운 식구들의 모습을 연상하게 하는 소재 
과거에서 현재로 되돌아 오는 부분으로 아버지에 대한 연민의 감정이 드러나 있다. 

 

 아버지의 삶 =못 위의 잠 

 

 

 

 

나희덕 시인】

*충남 논산 출생.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뿌리에게」가 당선되어 등단.

*연세대 국문학과와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

* 현재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시집으로 『뿌리에게』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그곳이 멀지 않다』 『어두워진다는 것』

『사라진 손바닥』 『야생사과』 『말들이 돌아오는 시간』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반 통의 물』

『저 불빛들을 기억해』, 시론집으로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 『한 접시의 시』 등.

=================================

 

1. 나희덕의 시와 삶 - 역사주의 비평으로 분석하기 

나희덕은 첫 시집《뿌리에게》후기에서 '시란 내 삶이 진솔하게 육화된 기록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그만큼 그의 작품은 시인과 따로 떨어져 존재할 수 없다. 그의 작품 속에서는 시를 통한 '사회·역사적인 문제들을 구체적인 체험과 융화'시키고자 하는 작가의 끊임없는 노력이 드러나고 있다. 결국 그녀에게 있어 시란 삶이고, 삶이 곧 시인 것이다. 


1.1. 창비시선 95『뿌리에게』중「우리는 들에서 떠났네」- 원본확정 

나희덕의 시「우리는 들에서 떠났네」는 1991년 발행된 그녀의 첫 시집『뿌리에게』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은 나희덕이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등단한지 2년 만에 출간된 것으로 창작과 비평사 출판사에서 창비시선 95로 나왔고 이 시는 시집 제 1부에 게재되어 있다. 


1.2. '우리'의 역사성 - 언어의 역사성 

제목과 시 본문에 걸쳐 등장하고 있는 '우리'라는 말은 유독 우리 민족이 즐겨 쓰는 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라는 단어는 말하는 이가 자기와 자기 동아리를 일컬을 때, 말하는 이와 제 삼자만을 일컬을 때, 말하는 이와 말 듣는 이만을 일컬을 때, 일부 명사 앞에 쓰이면서 '나의'의 뜻으로 쓰일 때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렇다면 '나', '너', '그들'도 아닌 '우리'라 함은 이 시를 통해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우리'라는 말은 나와 너, 그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말로 동질감을 나타내고자 할 때 자주 쓰인다. 본문에서의 '우리' 역시 마찬가지다. 시속에서의 '우리'는 '뿌리내리지 못한,' '들에서 떠난' 자들이다. 중심부에서 이탈한 자들, 혹은 버려진 자들, 떠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인 것이다. 그들의 동질감이라는 것에는 절박함이 들어있다. 중심에서 벗어나 주변부에서 하나가 되는 '우리'에게는 들에서 떠날 수밖에 없었던 아픔이 자리잡고 있으며 '꿈자리마처 덮치는' 냉혹한 현실이 있다. 결국 '우리'는 그 상황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어디론가 밀려갈' 수밖에 없는 절박함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절박함에서 오는 동질감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힘이 될 수도 있고 때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1.3. 교사로서, 여성으로서의 나희덕 - 작가의 전기 

나희덕은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로 등단하기 전인 1988년부터 수원의 창현고등학교에 재직하면서 교사 생활을 하였다. 또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 소속이었던 시인인만큼 교직원 노동자로서의 생활이 시속에 담겨 있으며 특히 제자들에 대한 사랑을 확인 할 수 있다.「우리는 들에서 떠났네」에는 직접적인 제자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은 아니나, '우리'의 자식들의 모습이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그 아이들은 '흔들리는 불빛 아래 쪼그리고 앉아 숙제하고' 있으며, '뿌리내리지 못한 사람들의 마지막 뿌리'로 불안한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작은 불씨 마냥 간직하고 있는 존재이다. 그 아이들은 '우리'가 치고 있는 '가난한 양떼'들이며 정체성을 상실하여 '들에서 떠나와 또 어디로 흘러가야 할지' 알 수 없는 존재이다. 
나희덕은 90년대 초에 등단한 여류시인이다. 90년대에 문단에 여성 작가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던 것과 관련하여 시문학에서도 나희덕의 등장은 이것과 연관시켜 볼 수 있다. 여류 시인의 시가 갖고 있는 개성이란 어떤 것일까. 나희덕의 시에서는 여타 다른 시인들의 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모성이 흐르고 있다. 소소한 일상 - 대학시절의 흔적들, 교사 노릇을 하며 겪은 일들, 가정생활의 느낌들 그리고 기타 사회·경제적인 문제들 - 이 시에 묻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일상이 시속에 묻어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따뜻하게 감싸안으려 하는 모성적 따뜻함이 느껴진다. '철없던 시절의 단꿈'을 꾸고 있을 때, 어디선가 다가오는 '포크레인'은 '우리의 꿈자리마저 덮'쳐버리고 말지만 이내 '식은땀을 씻어내리다 보면' '세상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시인은 삶의 현실을 직시하는 것으로 끝내지 않는다. 그 끝 어딘가에 삶의 희망이라는 작은 불씨를 발견하고 그것을 나타내 주고 있기 때문이다. 


1.4. 들에서 떠나 어디론가 밀려가다 - 역사적 전후관계 속에서의 의미 

이 시에서는 동작이 이어지고 있다. 어딘가에서 떠났고 떠남 혹은 밀려감이라는 다음 행위가 이어지고 결국 '어둠도 가시고 세상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것은 특히 2연과 4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연에서는 '우리는 들에서 떠나와 또 어디로 흘러가야 하는 것일까.'라는 물음을 던지고 있다. 그것은 방향을 상실한 '우리'의 고민의 흔적이며 앞으로 이러한 삶이 쉽게 끝나지 않고 고난이 계속 될 것이라는 아픈 미래를 보여주고 있다. 3연에서의 '논밭이 쩍쩍 갈라지고,' '천정에 우르릉 금이' 가고, '포크레인이 걸어들어와 우리의 꿈자리마저 덮치는' 삶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삶이란 떠난 자들이 겪게 되는 고통인 것이다. 결국 이런 말은 지난한 삶에 대한 파노라마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폴 고갱(Paul Gaugin)의 작품을 비교함으로써 더 선명하게 그 내용의 의미가 전달이 된다. 고갱의 1897년 작품인『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우리는 누구이며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Where do we come from? Who are we? Where are we?)는 유년기, 청년기, 노년기의 삶을 화폭 하나에 담아내고 있으며 인생의 단면이 아니라 인생 전체를 그려내어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낙원의 나무에서 열매를 따는 타히티의 이브에서부터 흐느끼는 표정의 인물들, 그리고 페루 미이라의 자세로 쪼그리고 앉아 점쟁이 같은 노파에 이르기까지 상징성으로 충만해 있다. 또한 고갱이 친구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성경에 비교될 정도의 주제를 가진 철학적인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다분히 철학적 주제를 내포하고 있는 고갱의 작품과 나희덕의 시「우리는 들에서 떠났네」는 '통시적 관계를 벗어나 다양한 시대와 장소에서 사용된 동일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1.5. 상실감의 시대 - 문화적 배경 

이 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991년 발행된 나희덕의 첫 시집『뿌리에게』에 수록되어 있는 시이다. 나희덕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시기는 80년대 말이었고 첫 시집이 간행된 시기는 91년으로 90년대 초의 일이다. 이 시기는 정치적으로는 냉전시대의 종식에서 소련의 붕괴와 함께 이어진 이념의 붕괴, 탈정치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던 시기였다. 또한 크게 보면 이 시기는 세기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때의 정신적 공황 상태를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시를 통해서 갑작스런 이념의 붕괴와 공산주의 체제였던 동구 국가의 해체로 혼란스러웠던 그 시대의 '우리'들을 보여준다. '개구리 울음소리로 가득'한 공간, '포크레인이 걸어들어와' 꿈자리 마저 뒤숭숭하게 만드는 공간은 시대적으로 이념을 상실해버린 '우리'가 처한 위치이다. 이념이 전부라 믿었던 80년대, 그 믿음이 깨어진 90년대. 그 10년만큼의 거리감은 '우리'를 주변부로 내쫓아냈고 우리는 그저 다시 '어디론가 밀려가는' 것이다. 세기말적 분위기로 진행된 이 시기는 연도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80년대 말 90년대 초에 해당하는 시기이며 이 문화적 배경은 시속에 고스란히 들어있다. 


1.6. 기승전결의 스토리 - 전통적 관례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기승전결의 형식은 원래 한시(漢詩)의 절구체(絶句體)에 있어서의 구성법을 그 유래로 하고 있다. 제 1구를 기구(起句), 제2구를 승구(承句), 제3구를 전구(轉句), 제4구를 결구(結句)라 하며, 이 네 구의 교묘한 구성으로 한 편의 절구를 만드는 방법이 기승전결에 해당하는 것이다. 기구에서 시상을 일으키고, 승구에서 그것을 이어받아 발전시키며, 전구에서는 장면과 사상을 새롭게 전환시키고, 결구는 전체를 묶어서 여운과 여정이 깃들도록 끝맺는 것이다. 또한 시작품 외에도 소설이나 희곡에서 줄거리나 구성을 고안하는 데도 사용되는 형식 중 하나가 바로 기승전결이다. 이러한 점에서 나희덕의 이 시는 이러한 전통적 관례를 아주 모범적으로 따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연으로 이루어진 시를 들여다보면 1연에서는 들에서 떠나는 모습, 2연에서는 떠나는 우리의 자식들의 모습, 3연에서는 꿈자리마저 덮치는 외부로부터의 공격, 4연에서는 어둠이 가신 세상에서 어디론가 다시 밀려가는 우리들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스토리로 이어지고 있으며 또한 한시의 절구체 형식을 통해서도 맞아떨어지고 있다. 갈등이 생기는 3연과 갈등이 해소되고 또 다른 현실이 펼쳐지는 4연은 독자에게 긴장감과 함께 카타르시스를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 



 

뿌리에게 / 나희덕 

 



깊은 곳에서 네가 나의 뿌리였을 때 
나는 막 갈구어진 연한 흙이어서 
너를 잘 기억할 수 있다 
네 숨결 처음 대이던 그 자리에 더운 김이 오르고 
밝은 피 뽑아 네게 흘려보내며 즐거움에 떨던 
아, 나의 사랑을 

먼 우물 앞에서도 목마르던 나의 뿌리여 
나를 뚫고 오르렴 
눈부셔 잘 부스러지는 살이니 
내 밝은 피에 즐겁게 발 적시며 뻗어가려무나 

척추를 휘어접고 더 넓게 뻗으면 
그때마다 나는 착한 그릇이 되어 너를 감싸고 
불꽃 같은 바람이 가슴을 두드려 세워도 
네 뻗어가는 끝을 하냥 축복하는 나는 
어리석고도 은밀한 기쁨을 가졌어라 

네가 타고 내려올수록 
단단해지는 나의 살을 보아라 
이제 거무스레 늙었으니 
슬픔만 한 두릅 꿰어 있는 껍데기의 
마지막 잔을 마셔다오 

깊은 곳에서 네가 나의 뿌리였을 때 
내 가슴에 끓어오르던 벌레들, 
그러나 지금은 하나의 빈 그릇, 
너의 푸른 줄기 솟아 햇살에 반짝이면 
나는 어느 산비탈 연한 흙으로 일구어지고 있을 테니  

 

 

 

 

 

 

 

 

 

 

 

   

 

 

 

부패의 힘 / 나희덕 

 


 

벌겋게 녹슬어 있는 철문을 보며
나는 안심한다
녹슬 수 있음에 대하여


냄비 속에서 금세 곰팡이가 피어오르는 음식에
나는 안심한다
썩을 수 있음에 대하여


썩을 수 있다는 것은
아직 덜 썩었다는 얘기도 된다
가장 지독한 부패는 썩지 않는 것


부패는
자기 한계에 대한 고백이다
일종의 무릎 꿇음이다


그러나 잠시도 녹슬지 못하고
제대로 썩지도 못한 채
안절부절,
방부제를 삼키는 나여

 

 

 

 

 

 

 

 


  

 


풀포기의 노래 / 나희덕 

 

 


네 물줄기 마르는 날까지 
폭포여, 나를 내리쳐라 
너의 매를 종일 맞겠다 
일어설 여유도 없이 
아프다 말할 겨를도 없이 
내려꽂혀라, 거기에 짓눌리는 
울음으로 울음으로만 대답하겠다 
이 바위틈에 뿌리 내려 
너를 본 것이 
나를 영영 눈뜰 수 없게 하여도 
그대로 푸른 멍이 되어도 좋다 
네 몸은 얼마나 또 아플 것이냐

 

 

 

 

 

 

 

 

 

 


바람은 왜 등뒤에서 불어오는가 / 나희덕 


 


바람을 향해 고개를 돌리는 순간 
눈이 멀 것만 같아 
몸을 더 낮게 웅크리고 엎드려 있었다. 
떠내려가기 직전의 나무 뿌리처럼 
모래 한 알을 붙잡고 
오직 바람이 지나가기만 기다렸다. 
그럴수록 바람은 더 세차게 등을 떠밀었다. 

너를 날려버릴 거야 
너를 날려버릴 거야 
저 금 밖으로, 흙 밖으로 

바람은 왜 등 뒤에서 불어오는가 
수천의 입과 수천의 눈과 수천의 팔을 가진 바람은 

나는 엉금엉금 기어서 
누군가의 마른 종아리를 간신히 붙잡았다. 
그 순간 눈을 떴다 

내가 잡은 것은 뗏목이었다. 
아니, 내가 흘러내리는 뗏목이었다.

 

 

 

 

 

 

 

  

 

 


못 위의 잠 /나희덕


 


저 지붕아래 제비집 너무도 작아 
갓 태어난 새끼들만으로 가득 차고 
어미는 둥지를 날개로 덮은 채 간신히 잠들었습니다. 
바로 그 옆에 누가 박아 놓았을까요,못하나 
그 못이 아니었다면 
아비는 어디서 밤을 지냈을까요 

못 위에 앉아 밤새 꾸벅거리는 제비를 
눈이 뜨겁도록 올려 봅니다 
못 하나 위에서 견디는 것으로 살아 온 제비, 
거리에선 아직 흙 바람이 몰려 오나봐요 

돌아오는 길 희미한 달빛은 그런대로 
식구들의 손잡은 그림자를 만들어 주기도 했지만 
그러기엔 골목이 너무 좁았고 
늘 한 걸음 늦게 따라오던 아버지의 그림자 

그 꾸벅거림을 기억나게하는 못하나, 

그 위의 잠
 

 


뜨거운 돌 /나희덕


 

 


움켜쥐고 살아온 손바닥을 
가만히 내려놓고 펴 보는 날 있네 
지나온 강물처럼 손금을 들여다보는 
그런 날이 있네 
그러면 내 스무 살 때 쥐어진 돌 하나 
어디로도 굴러가지 못하고 
아직 그 안에 남아 있는 걸 보네 
가투 장소가 적힌 쪽지를 처음 받아들던 날 
그건 종이가 아니라 뜨거운 돌이었네 
누구에게도 그 돌 끝내 던지지 못했네 
한 번도 뜨겁게 끌어안지 못한 이십대 
火傷마저 늙어가기 시작한 삼십대 
던지지 못한 그 돌 
오래된 질문처럼 내 손에 박혀 있네 
그 돌을 손에 쥔 채 세상과 손잡고 살았네 
그 돌을 손에 쥔 채 글을 쓰기도 했네 
문장은 자꾸 걸려 넘어졌지만 
그 뜨거움 벗어나기 위해 글을 쓰던 밤 있었네 
만일 그 돌을 던졌다면, 누군가에게, 그랬다면, 
삶이 좀더 가벼울 수 있었을까 
오히려 그 뜨거움이 온기가 되어 
나를 품어 준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보기도 하네 
오래된 질문처럼 남아 있는 돌 하나 
대답도 할 수 없는데 그 돌 식어 가네 
단 한 번도 흘러 넘치지 못한 화산의 용암처럼 
식어 가는 돌 아직 내 손에 있네

 

 

 

 

 


 

 

follow my leader

 

  

 


삼베 두 조각 / 나희덕

 

 

 

눈 내리는 아침

 

 

할머니는 손수 지어놓으신 수의로 갈아입으셨다

수의는 1978년 7월 15일자 신문지에 싸여 있었다

수의를 지어놓고도 이십년을 더 사신 할머니는

백살이 가까운 어느 겨울날이 되어서야

연듯빛을 군데군데 넣어 만든 그 수의를

벽장 속에 숨겨둔 날개옷처럼 차려 입으신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찾아도 버선이 보이지 않았다

이상도 허지, 그것을 안 맨들 양반이 아닌디 아닌디......

어리등절해하는 사람들을 향해

할머니의 두 입술은 설핏 웃는 듯도 하였다

상자 속에는 버선 대신 삼베 두 조각이 들어 있어서

그걸로 잘 마른 장작 같은 두 발을 싸드렸다

삼베 두 조각을 두고

할머니는 왜 끝내 버선을 만들지 않으셨을까

1978년 7월 15일자 신문지 에 싸여 있던

수의 한벌과 삼베 두 조각으로 따뜻하게 여며 입고

할머니는 1998년 1월 19일 아침

횐눈이 내리는 새로운 집으로 걸어들어 가셨다

 

 

 

 

 

 

 

 

 

 

 

 

 

 

보리수 밑을 그냥 지나치다 / 나희덕   

 

 



가로등 너는 아득한 전생에 
보리수나무였을지도 모를 일이다 
뜨거운 발등 앞에 가부좌를 틀고 있는 
석가를 물끄러미 굽어본 적이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다 
고요히 흘러 넘치는 그의 뇌수를 
딱 한 방울 맛본 힘으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여기까지 
걸어왔는지 모를 일이다 

가로등 황금열매가 실하게 익어 가는 밤 
설령 네가 그 날의 보리수였다고 해도 
기대하지는 마라 
이 시대에 누가 네 앞에 가부좌를 틀고 
부처가 되려고 하겠느냐? 
너를 붙들고 오열하다가 발등 
왈칵 더럽히는 석가들이 있을 뿐 
어쩌다 심각한 표정으로 혼자 가는 중생 
있다손 치더라도 
그는 전생에 너를 몰라보고 끄덕끄덕 
보리수 밑을 찾아가는 중일 것이다

 

 

 

 

 

 

 

 

 

 

 

 

 

와온臥溫에서 / 나희덕 

 

 

 

산이 가랑이 사이로 해를 밀어 넣을 때, 
어두워진 바다가 잦아들면서 
지는 해를 품을 때, 
종일 달구어진 검은 뻘흙이 
해를 깊이 안아 허방처럼 빛나는 순간을 가질 때, 

해는 하나이면서 헷, 셋이면서 하나 

도솔가를 부르던 월명노인아, 
여기에 해가 셋이나 떴으니 노래를 불러다오 
뻘 속에 든 해를 조금만 더 머물게 해다오 

저녁마다 일몰을 보고 살아온 
외온 사람들은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떨기꽃을 꺾어 바치지 않아도 
세 개의 해가 곧 사라진다는 것을 알기에 
찬란한 해도 하루에 한 번은 
짠물과 뻘흙에 몸을 담근다는 것을 알기에 

쪼개져도 둥근 수레바퀴 
짜디짠 내 눈동자에도 들어와 있다 
마침내 수레가 삐걱거리며 굴러가기 시작한다 

와온 사람들아, 
저 해를 오늘은 내가 훔쳐간다 

 

  

 

수수밭이 있던 자리 / 나희덕

 

 

 


텅 비어 있다
어제까지 열려있던 문이 닫혀있다
바람에 소리를 내던 옥수수밭이 사라져버렸다 
옥수수가 사라지면서 
흔들림도, 허공도 함께 베어졌다
허공은 달빛을 안을 수 있는 팔들을 잃었다
소리내어 울 수 있는 입술들을 잃었다
갑옷과 투구 부딪치는 소리,
석탄을 지닌 산줄기가 먼저 폐허가 되듯이
열매가 실한 순서대로 베어져 나갔다
밑둥에는 아직 피가 마르지 않았다
드문드문 남아있는 옥수숫대,
형기가 유예된 수인처럼
한 종족이 거기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을 뿐.
밭은 더 어두워질 것이고
성근 열매들은 여분의 삶을 익혀 갈 것이다
희고 붉고 검은 옥수수알들이 익어갈 것이다
수확한 옥수수를 자루에 넣는 손들.
피 흘리는 허공도 함께
푸른 자루를 실은 트럭이 산모퉁이를 돌아간다

 

 

 

 

 

 

 

 

 

 

 

 

해미읍성에 가시거든 / 나희덕

 

 


해질 무렵 해미읍성에 가시거든
당신은 성문 밖에 말을 잠시 매어두고
고요히 걸어 들어가 두 그루 나무를 찾아보실 일입니다.
가시 돋힌 탱자울타리를 따라가면
먼저 저녁해를 받고 있는 회화나무가 보일 것입니다.
아직 서 있으나 시커멓게 말라버린 그 나무에는
밧줄과 사슬의 흔적 깊이 남아 있고
수천의 비명이 크고 작은 옹이로 박혀 있을 것입니다.
나무가 몸을 베푸는 방식이 많기도 하지만 하필
형틀의 운명을 타고난 그 회화나무,
어찌 그가 눈 멀고 귀 멀지 않을 수 있었겠습니까.
당신의 손끝은 그 상처를 아프게 만질 것입니다.
그러나 당신은 더 걸어가 또다른 나무를 만나보실 일입니다.
옛 동헌 앞에 심어진 아름드리 느티나무,
그 드물게 넓고 서늘한 그늘 아래서 사람들은 회화나무를 잊은

듯 웃고 있을 것이고
당신은 말없이 앉아 나뭇잎을 헤아리다 일어서겠지요
허나 당신, 성문 밖으로 혼자 걸어나오며
단 한번만 회화나무 쪽을 천천히 바라보십시오.
그 부러진 나뭇가지를 한번도 떠난 일 없는 어둠을요.
그늘과 형틀이 이리도 멀고 가까운데 
당신께 제가 드릴 것은 그 어둠뿐이라는 것을요.
언젠가 해미읍성에 가시거든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사이를 걸어보실 일입니다. 

 

          다음 생의 나를 보듯이 / 나희덕

 

 

 

           어느 부끄러운 영혼이
           절간 옆 톱밥더미를 쪼고 있다.
           마치 다음 생의 나를 보듯이 정답다.
           왜 하필이면 까마귀냐고 
           묻지는 않기로 한다. 
           새도 짐승도 될 수 없어 
           퍼드득 낮은 날개의 길을 내며 
           종종걸음 치는 한 生의 지나감이여 
           톱밥가루는 생목의 슬픔으로 젖어 있고 
           그것을 울며 가는 나여 
           짙은 그늘 속 
           떠나지 않는 너를 들여다보며
           나는 이 생의 나와 화해한다.
           그리고 산을 내려가면서 
           불쌍히 여길 무엇이 남아 있는 듯
           까욱까욱 울음소리를 한번 내보기도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칸나의 시절 / 나희덕 
 

 

난롯가에 둘러앉아 우리는 
빨간 엑스란 내복을 뒤집어 이를 잡았었지. 
솔기에서 빠져나가지 못한 이들은 난로 위에 던져졌지. 
타닥타닥 튀어 오르던 이들, 우리의 생은 
그보다도 높이 튀어오르지 못하리란 걸 알고 있었지. 
황사가 오면 난로의 불도 꺼지고 
볕이 드는 담장 아래 앉아 눈을 비볐지. 
슬픔 대신 모래알이 눈 속에서 서걱거렸지. 
봄이 와도 칸나가 필 때까지는 겨울이었지. 
빨간 내복을 벗어던지면 그 자리에 칸나가 피어났지. 
고아원 뜰에 칸나는 붉고 
우리 마음은 붉음도 없이 푸석거렸지. 
이 몇 마리 말고 우리가 키울 수 있는 게 있었을까. 
칸나보다도 작았던 우리들, 질긴 
나일론 양말들은 쉽게 작아지지 않았지. 
황사의 나날들을 지나 열일곱 혹은 열여덟. 
세상의 구석진 솔기 사이로 숨기 위해 흩어졌지. 
솔기는 깊어 우리 만날 수도 없었지. 
마주친다 해도 길을 잃었을 때뿐이었지. 
이 한 마리마저 키울 수 없다는 걸 알게 되었을 때. 
나일론 양말들, 다시 그 속으로 들어갈 수 없게 되었을 때, 
그런 저녁을 밝혀줄 희미한 불빛에게 
나는 묻지. 네 가슴에도 칸나는 피어 있는가, 라고.

 

 

 

 

 

 

 

 

 

 

 

 

 


별 / 나희덕 
 

 


모질고 모질어라 
아직 생명을 달지 못한 별들 
어두운 무한천공을 한없이 떠돌다가 
가슴에 한 점 내리박히는 일 
그리하여 생명의 입김을 가지게 되는 일 
가슴에 곰팡이로나 피어나는 일 
그 눈부심을 어찌 볼까 
눈물 없이 그 앞을 질러 어떻게 달아날까 
밤하늘 아래 얼마나 숨죽여 지나왔는데 
얻어온 별빛 하나 어디에 둘까 
어느 집 나무 아래 묻어놓을까
 

 

 

 

 

 

 

 

Love Life-Steve Fugate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 나희덕 

 

 


살았을 때의 어떤 말보다 
아름다웠던 한마디 
어쩔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그 말이 잎을 노랗게 물들였다. 

지나가는 소나기가 잎을 스쳤을 뿐인데 
때로는 여름에도 낙엽이 진다. 
온통 물든 것들은 어디로 가나. 
사라짐으로 하여 
남겨진 말들은 아름다울 수 있었다. 

말이 아니어도, 잦아지는 숨소리, 
일그러진 표정과 차마 감지 못한 두 눈까지도 
더이상 아프지 않은 그 순간 
삶을 꿰매는 마지막 한땀처럼 
낙엽이 진다. 
낙엽이 내 젖은 신발창에 따라와 
문턱을 넘는다, 아직은 여름인데.
 

 

 

 

 

 

 

SHsh

 

 

 


땅 끝 / 나희덕

 

 


산너머 고운 노을을 보려고 
그네를 힘차게 차고 올라 발을 굴렸지 
노을은 끝내 어둠에게 잡아먹혔지 
나를 태우고 날아가던 그넷줄이 
오랫동안 삐걱삐걱 떨고 있었어 
어릴 때는 나비를 쫓듯 
아름다움에 취해 땅끝을 찾아갔지 
그건 아마도 끝이 아니었을지 몰라 
그러나 살면서 몇번은 땅끝에 서게도 되지 
파도가 끊임없이 땅을 먹어들어오는 막바지에서 
이렇게 뒷걸음질치면서 말야 
살기 위해서는 이제 
뒷걸음질만이 허락된 것이라고 
파도가 아가리를 쳐들고 달려드는 곳 
찾아나선 것도 아니었지만 
끝내 발 디디며 서 있는 땅의 끝, 
그런데 이상하기도 하지 
위태로움 속에 아름다움이 스며 있다는 것이 
땅끝은 늘 젖어 있다는 것이 
그걸 보려고 
또 몇번은 여기에 이르리라는 것이

 

 

 

 

 

 

 

 

 

 

 

 


속리산에서 / 나희덕


 


가파른 비탈만이 
순결한 싸움터라고 여겨 온 나에게 
속리산은 순하디 순한 길을 열어 보였다. 
산다는 일은 
더 높이 오르는 게 아니라 
더 깊이 들어가는 것이라는 듯 
평평한 길은 가도 가도 제자리 같았다. 
아직 높이에 대한 선망을 가진 나에게 
세속을 벗어나도 
세속의 습관은 남아 있는 나에게 
산은 어깨를 낮추며 이렇게 속삭였다. 
산을 오르고 있지만 
내가 넘는 건 정작 산이 아니라 
산 속에 갇힌 시간일 거라고, 
오히려 산 아래서 밥을 끓여 먹고 살던 
그 하루 하루가 
더 가파른 고비였을 거라고, 
속리산은 
단숨에 오를 수도 있는 높이를 
길게 길게 늘여서 내 앞에 펼쳐 주었다.
 

 

 

 

 

 

 

 

 

 

 


귀뚜라미 / 나희덕


 



높은 가지를 흔드는 매미소리에 묻혀 
내 울음 아직은 노래 아니다. 
차가운 바닥 위에 토하는 울음, 
풀잎 없고 이슬 한 방울 내리지 않는 
지하도 콘크리트벽 좁은 틈에서 
숨막힐 듯, 그러나 나 여기 살아 있다. 
귀뚜르르 뚜르르 보내는 타전소리가 
누구의 마음 하나 울릴 수 있을까. 
지금은 매미떼가 하늘을 찌르는 시절 
그 소리 걷히고 맑은 가을이 
어린 풀숲 위에 내려와 뒤척이기도 하고 
계단을 타고 이 땅 밑까지 내려오는 날 
발길에 눌려 우는 내 울음도 
누군가의 가슴에 실려가는 노래일 수 있을까.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자, 그 복숭아 나무 곁으로 / 나희덕

 


 


너무도 여러 겹의 마음을 가진 
그 복숭아 나무 곁으로 
나는 왠지 가까이 가고 싶지 않았습니다 
흰 꽃과 분홍 꽃을 나란히 피우고 서 있는 그 나무는 아마 
사람이 앉지 못할 그늘을 가졌을 거라고 
멀리로 멀리로만 지나쳤을 뿐입니다 
흰 꽃과 분홍 꽃 사이에 수천의 빛깔이 있다는 것을 
나는 그 나무를 보고 멀리서 알았습니다 
눈부셔 눈부셔서 알았습니다 
피우고 싶은 꽃빛이 너무 많은 그 나무는 
그래서 외로웠을 것이지만 외로운 줄도 몰랐을 것입니다 
그 여러 겹의 마음을 읽는 데 참 오래 걸렸습니다 

흩어진 꽃잎들 어디 먼 데 닿았을 무렵 
조금은 심심한 얼굴을 하고 있는 그 복숭아나무 그늘에서 
저녁이 오는 소리 가만히 들었습니다 
흰 실과 검은 실을 더 알아볼 수 없을 때까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길 위에서 / 나희덕 

 

 

길을 잃고 나서야 나는
누군가의 길을 잃게 했음을 깨닳았다
그리고 어떤 개미를 기억해내었다
눅눅한 벽지 위 개미의 길을
무심코 손가락으로 문질러버린 일이 있다

돌아오던 개미는 
지워진 길 앞에서 두리번거리다가
전혀 엉뚱한 길로 접어 들었다
제 길 위에 놓아주려 했지만
그럴수록 개미는 발버둥치며 달아나버렸다

길을 잃고 나서야 생각한다
사람들에게도
누군가 지나간 자리에 남는
냄새 같은 게 있다는 것을,
얼마나 많은 인연들의 길과 냄새를
흐려 놓았던지, 나의 발길은
아직도 길 위에서 서성거리고 있다.

 

 

 

 

 

 

 

      

 

 

 

 

상현上弦  / 나희덕 


차오르는 몸이 무거웠던지
새벽녘 능선 위에 걸터앉아 쉬고 있다


신神도 이렇게 들키는 때가 있으니! 

때로 그녀도 발에 흙을 묻힌다는 것을 
외딴 산모퉁이를 돌며 나는 훔쳐보았던 것인데 
어느새 눈치를 챘는지 
조금 붉어진 얼굴로 구름 사이로 사라졌다가 
다시 몸을 일으켜 저만치 가고 있다 

그녀가 앉았던 궁둥이 흔적이 
저 능선 위에는 아직 남아 있을 것이어서 
능선 근처 나무들은 환한 상처를 지녔을 것이다 
뜨거운 숯불에 입술을 씻었던 이사야처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어떤 出土 / 나희덕

 

 

 

고추밭을 걷어내다가

그늘에서 늙은 호박 하나를 발견했다

뜻밖의 수확을 들어올리는데

흙 속에 처박힌 달디단 그녀의 젖을

온갖 벌레들이 오글오글 빨고 있는 게 아닌가

소신공양을 위해

타닥타닥 타고 있는 불꽃 같기도 했다

그 은밀한 의식을 훔쳐보다가

나는 말라가는 고춧대를 덮어주고 돌아왔다

 

가을갈이를 하려고 밭에 다시 가보니

호박은 온데간데 없다

불꽃도 흑 속에 잦아든 지 오래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그녀는 젖을 다 비우고

잘 마른 종잇장처럼 땅에 엎드려 있는 게 아닌가

스스로의 죽음을 덮고 있는

관뚜껑을 나는 조심스럽게 들어올렸다

 

한 웅큼 남아 있는 둥근 사리들!

 

 

 

 

 

 

 

 

  

 

 


어두워진다는 것 / 나희덕 
 


5시 44분의 방이 
5시 45분의 방에게 
누워 있는 나를 넘겨주는 것 
슬픈 집 한채를 들여다보듯 
몸을 비추던 햇살이 
불현듯 그 온기를 거두어가는 것 
멀리서 수원은사시나무 한그루가 쓰러지고 
나무 껍질이 시들기 시작한는 것 
시든 손등이 더는 보이지 않게 되는 것 
5시 45분에서 기억은 멈추어 있고 
어둠은 더 깊어지지 않고 
아무도 쓰러진 나무를 거두어가지 않는 것 

그토록 오래 서 있었던 뼈와 살 
비로소 아프기 시작하고 
가만, 가만, 가만히 
금이 간 갈비뼈를 혼자 쓰다듬는 저녁

 

 

 

 

 

 

 

 

 

 

 

 

 

 

 

섶섬이 보이는 방 / 나희덕

 

- 이중섭의 방에 와서

 
 
서귀포 언덕 위 초가 한 채
귀퉁이 고방을 얻어
아고리와 발가락군*은 아이들을 키우며 살았다
두 사람이 누우면 꽉 찰,
방보다는 차라리 관에 가까운 그 방에서
게와 조개를 잡아먹으며 살았다
아이들이 해변에서 묻혀온 모래알이 버석거려도
밤이면 식구들의 살을 부드럽게 끌어안아
조개껍데기처럼 입을 다물던 방,
게를 삶아 먹은 게 미안해 게를 그리는 아고리와
소라껍데기를 그릇 삼아 상을 차리는 발가락군이
서로의 몸을 끌어안던 석회질의 방,
방이 너무 좁아서 그들은
하늘로 가는 사다리를 높이 가질 수 있었다
꿈 속에서나 그림 속에서
아이들은 새를 타고 날아다니고
복숭아는 마치 하늘의 것처럼 탐스러웠다
총소리도 거기까지는 따라오지 못했다
섶섬이 보이는 이 마당에 서서
서러운 햇빛에 눈부셔 한 날 많았더라도
은박지 속의 바다와 하늘,
게와 물고기는 아이들과 해질 때까지 놀았다
게가 아이의 잠지를 물고
아이는 물고기의 꼬리를 잡고
물고기는 아고리의 손에서 파닥거리던 바닷가,
그 행복조차 길지 못하리란 걸
아고리와 발가락군은 알지 못한 채 살았다
빈 조개껍데기에 세 든 소라게처럼
 
 
* 화가 이중섭과 그의 아내가 서로를 부르던 애칭.

 

 

 

 

 

 

이중섭과 아내 그리고 두 아들이 6.25 전쟁 중 살던 방, 초가집의 오른 쪽

끝에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벗어 놓은 스타킹 / 나희덕

 

 

 

지치도록 달려온 갈색 암말이
여기 쓰러져 있다
더 이상 흘러가지 않을 것처럼

 

생의 얼굴은 촘촘한 그물 같아서
조그만 까그라기에도 올이 주르르 풀려나가고
무릎과 엉덩이 부분은 이미 늘어져 있다
몸이 끌고 다니다가 벗어 놓은 욕망의
껍데기는 아직 몸의 굴곡을 기억하고 있다
의상을 벗은 광대처럼 맨발이 낯설다
얼른 집어들고 일어나 물 속에 던져 넣으면
달려온 하루가 현상되어 나오고
물을 머금은 암말은
갈색빛이 짙어지면서 다시 일어난다
또 다른 의상이 되기 위하여
 

밤새 갈기는 잠자리 날개처럼 잘 마를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나희덕 시인

1966년 충남 논산 출생
1988년 연세대 국문과 졸업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뿌리에게' 당선

김수영문학상 (1999)   현대문학상 (2003) 수상


시집

< 뿌리에게 >   <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  < 그 곳이 멀지 않다 >
< 어두워진다는 것 >

산문집 < 반통의 물 > 등


 

 


                      

 

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8

 

생에 대한 반성으로 여성으로서 자기 정체성 찾아가는 과정 표현

  

“이전에 삶이란 과거가 만들어낸, 견뎌야 할 어떤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이제 과거가 미래를 만들도록 내버려두어서는 안 된다’는 들뢰즈의 말처럼, 기억의

되새김질보다 생성의 순간에 몸을 맡기고 싶다. 오늘도 봄 그늘에 앉아 기다린다, 또 다른 나를.(‘시인의 말’ 중에서)” 생에 대한 단단한 반성과 성찰을 이끌어내는

시인, 나희덕의 시집 ‘야생사과’(창비)가 5년 만에 나왔다.

 

그가 ‘시인의 말’을 통해 밝힌 대로 상처와 고통을 따뜻하게 감싸 안아왔던 그의

시선은 좀 더 넓어지고 깊어졌다. ‘야생사과’를 통해 자신에게 야생사과를 건네준 사람들이 사라진 수평선에서 등 뒤에 서있던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대화’를 통

해 자기 속의 자벌레는 타인 속의 무당벌레에게  말을 건네 대화를 시도한다.

무엇보다 시인은 이번 시들을 두고 ‘여성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제가 페미니즘적인 기조를 밖으로 드러내진 않았지만, 많은 시들이 가부장적인 세계에서 벗어나 경계를 넘는 여성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새로운 것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죠.”

이는 “내 안의 물기가 거의 말라갈 무렵 낯선 땅에서 물의 출구를 발견한 셈이다. 무수한 나를 흘려보내는 것이 첫 물줄기를 향해 거슬러 올라가는

일이었다”는 작가의 말과도 연관된다. ‘누가 내

이름을’ ‘나는 아직 태어나지 않았다’에서는 가부

장적인 세계로부터 독립해 경계 너머의 삶을

지향하는 여성의 모습을 담아냈다. 특히 ‘분홍신

을 신고’에서 시인은 음악에 몸을 맡긴 채 시간을 벗어나 어디론가 갈 수 있다고 노래한다.

오랫동안 자신을 붙잡아두었던 분홍신을 벗고

경계를 넘어서 나아가는 결연한 의지와 함께.

“나는 이제 어디로든 갈 수 있어요/ 강물이 둑을 넘어 흘러내리듯/ 내 속의 실타래가 한없이 풀려 나와요/ 실들이 뒤엉키고 길들이 뒤엉키고/ 이 도시가 나를 잡으려고 도끼를 달려와도/ 이제 춤을 멈출 수가 없어요/ 내 발에 신겨진, 그러나 잠들어있던/ 분홍신 때문에/ 그 잠이 너무도 길었기 때문에.(‘분홍신을 신고’ 부분)”
두 남매가 아버지를 찾아가는 여정을 그린 영화 ‘안개 속의 풍경’의 일부를 인용한 ‘우리는 낙엽처럼’에서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근원, 눈에 보이지 않는 뿌리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렸다. 나희덕 시인은 “안개 속에 있는 것처럼 우리 여정은 암담해

보이지만 그럴 때조차 시에서는 아버지란 존재를 빼고 스스로 길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마치 현대사에서 좋은 지도자를 찾고자 하지만 가도 가도 안개가 걷히지 않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도 스스로 강을 건너야 함을 알려주듯이 말이다.
“이제 우리는 강을 건너요/ 한 조각 배를 타고/ 그것이 삶과 죽음의 경계인 줄도

모른 채/ 조금만 기다리세요/ 다 왔어요.(‘우리는 낙엽처럼’ 부분)”
나희덕 시인은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뿌리에게’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

을 시작했고, 지금까지 김수영문학상, 현대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조선대학교 문예창착학과 교수로 8년째 재직 중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464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64 윤동주 시를 다시 공부하다(시 제목을 클릭한 다음, 訪問文章을 클릭해 보기)... 2024-08-23 0 338
463 해연의 노래 - 막심 고리키 2018-03-14 0 3688
462 [명시감상] - "새로운 길" / 윤동주 탄생 100돐 기념하여... 2017-12-30 0 3261
461 시인들이여, 수천의 박수소리를 불러일으킬수 있는 시를... 2017-09-14 1 2400
460 "이 세상에서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이렇게 흘러보내야 하나" 2017-09-03 0 3304
459 "말똥가리 시인", 스웨덴 국민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7-05-23 0 3077
458 시인은 나비와 함께 해협을 건너갈줄 알아야... 2017-05-23 0 3652
457 명문을 읽으면 가슴은 뜨거워지고 머리는 맑아진다... 2017-03-16 0 3422
456 내 둘레에 둥근 원이 있다... 2017-02-19 1 2945
455 "동주에게 편지를 보내고싶다..." 2017-02-08 0 2696
454 달문 여는데 보름 걸리고, 달문 닫는데 보름 걸리다... 2017-02-08 0 2771
453 하늘도 해를 팔다... 2017-02-04 0 2666
452 청산별곡 2017-02-02 0 2938
451 2017년 <<신춘문예>>당선작 시모음 2017-01-02 0 4393
450 백거이(白居易) 시를 재다시 음미해보다... 2016-12-31 0 7105
449 중국 古詩 10 2016-12-25 0 3138
448 "술타령" 시인 문학소년소녀들에게 꿈의 날개를... 2016-12-12 0 2693
447 [명시감상] - 자유 2016-12-05 0 3113
446 3 = 30 = 2 = 6 = 15 = 1 = 두줄 2016-11-28 0 2827
445 시인, 시, 그리고 번역... 2016-11-27 1 3538
444 [명시감상] - 황무지 2016-11-27 0 3256
443 詩에 독자들이 밑줄을 긋도록 써라... 2016-11-26 0 3029
442 "150 000 000" 2016-11-26 0 3100
441 테트 휴즈 시모음 2016-11-26 0 2975
440 미국 시인 - 알렌 긴즈버그 2016-11-26 0 3275
439 이육사 시 중문(中文)으로 읽다... 2016-11-15 0 3027
438 타고르 詩를 보다... 2016-11-14 0 3377
437 남미주 아르헨티나 문학 거장 - 보르헤스 2016-11-07 0 2779
436 미국 녀류시인 - 에밀리 디킨슨 2016-11-07 0 4013
435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사랑할 날 얼마나 남았을가... 2016-11-06 0 4444
434 해외 시산책 2016-11-06 0 2859
433 미라보 다리 아래 강물은 지금도 흐르고... 2016-11-06 0 3044
432 아름다운 세계 명시속에 흠뻑 빠져나볼가... 2016-11-06 0 3957
431 프랑스 상징파 시인 랭보 시 다시 새기다... 2016-11-05 0 3530
430 "세계는 소리와 맹위와 불로 가득 차고"... 2016-11-01 0 2776
429 "내 여자의 육체, 나는 네 경이로움을 통해 살아가리"... 2016-11-01 0 3160
428 장편 서사시 <<백두산>> / 조기천 2016-11-01 0 4308
427 미국 "생태주의" 방랑시인 - 게리 스나이더 2016-10-28 0 4352
426 아랍 "망명시인", 령혼의 나팔수 - 니자르 카바니 2016-10-28 0 2787
425 타이타닉호는 침몰되지 않았다... 2016-10-20 0 2572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