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人들의 모양과 의미도 百人百色
2016년 01월 13일 00시 20분  조회:4766  추천:1  작성자: 죽림
요절한 시인들이 보여준 죽음의 방식과 그 의미
                                                      /정효구 | 문학평론가
1. 글을 열며

김소월, 이상, 윤동주, 박용철, 이장희, 임홍재, 신동엽, 김수영, 고정희, 기형도, 박정만, 이연주, 진이정……. 우리 시단에 조금만 관심을 가져온 사람이라면 방금 열거한 시인들의 성명을 보고 필자인 내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금방 짐작하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의의 편의를 위하여 굳이 말을 꺼내자면, 위에서 열거한 시인들은 하나같이 길지 않은 생애를 보내고 잽싼 걸음으로 이승을 하직한 시인들이다. 이런 시인들을 가리켜 우리는 ‘요절시인’이라고 칭하거니와, 그런 시인들의 시와 삶 앞에서 우리는 각별한 감정과 끝나지 않는 사색의 시간을 갖는 것이 보통이다. 
요절한 시인이든, 장수한 시인이든, 평균 수명 정도를 표나지 않게 살다 간 시인이든, 이런 모든 시인들을 포함한 인간들 하나하나의 죽음은 그 모양도 백인백색일 뿐만 아니라 그 의미 또한 백인백색이다. 그러므로 삶에 대한 연구 못지 않게 죽음에 대한 연구가 인간사를 깊이 이해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죽음의 연구를 지속하다 보면, 사는 일 만큼 어려운 일이 죽는 일이며, 우리 모두에게 다가오는 긴박한 문제는 삶의 그림자 혹은 동반자라고 할 수 있는 저 죽음이란 존재와 어떻게 투쟁하고, 대면하고, 대화하고, 타협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여기 세상을 일찍 떠남으로써 숱한 사람들로 하여금 안타까운 감정에 사로잡히도록 만든 5명의 시인 ― 고정희, 기형도, 김남주, 박정만, 진이정 ― 과 관련하여 글을 써달라는 청탁을 받고 나는 오랫동안 글을 쓸 수가 없었다. 관념적인 죽음이 아닌, 실존적인 육체의 죽음 앞에서 나는 말을 장황하게 풀어놓을 마음이 생기지 않았으며, 일찍 찾아온 그들의 죽음이란 그림자 앞에서 그것을 정면으로 직시하며 맞대결할 용기가 쉽게 솟아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나 자신을 잘 달래며, 그리고 인간과 역사와 시인들에 대한 애정과 신뢰를 내 마음 속에서 회복시키며, 그들의 그림자를 고요히 끌어안고 발효시키다 보면 승화의 숨은 신비를 맛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이 글을 힘있게 밀어나아가기로 마음먹었다.

2. 역사와의 대결에서 실족한 비극 ― 고정희

고정희는 역사를 믿는 시인이다. 고정희는 역사가 진보한다고 생각하는 시인이다. 고정희는 역사가 진보한다고 생각하며 현실 속에 뛰어든 시인이다. 고정희는 그가 믿는 기독교까지도 이러한 역사관과 더불어 함께 하는 신앙이 아니라면 그 의미가 없다고 믿는 ‘역사주의자’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엔 항상 미래를 향한 희망의 목소리가 가득하다. 그런가 하면 그의 시엔 역사를 살리고 인간을 살려내려는 생명력이 가득하다. 어디 그뿐인가. 그의 시엔 역사를 앞으로 밀고 나가는 추진력과 역사 속의 인간들을 계몽시키고자 하는 교훈적 선동성도 가득하다. 더 나아가 그의 시엔 왜곡된 역사, 파행적인 역사를 바로잡으려는 정의감이 가득하다.
이런 고정희의 내면세계와 행동 그리고 그의 시를 통하여 분출되는 강한 의지력을 읽고 있노라면, 역사는 추상명사가 아니라 현장 속의 진행형 동사임을 절감하게 된다.
고정희, 그는 평생을 젊게 산 시인이다. 그가 쓴 시의 어느 구석을 보더라도, 그리고 그가 살아온 생애의 어느 시간을 보더라도 그는 청년처럼 싱싱하고 건강하였다. 그는 진행형 동사의 형태를 띤 역사의 중심부 혹은 최전선에 자신의 위치를 정하였고, 그 위치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정의의 역사를 만들어내려고 무던히 노력하였다.
그가 이처럼 진행형의 형태를 띤 역사의 중심부 혹은 최전선에 자신을 의연하게 그리고 당당하게 세우면서 내공을 키우듯 스스로의 안팎을 무장하려고 노력한 일 중의 하나가 바로 매년 계속된 ‘지리산 등반’이었다. 그러나 그가 매년 하나의 의식儀式처럼 행한 지리산 등반은 그로 하여금 갑자기 불어난 홍수 속에서 실족을 하게 만듦으로써 그의 삶에 종지부를 찍게 했다. 안타까운 일이다. 그럴 수가 있느냐고, 그가 믿는 기독교 야훼 하나님에게 항의라도 해야 할 일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의식처럼 치러진 그의 지리산 등반과 그에 포함된 적극적인 의미가 퇴색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지리산 등반도중 생명을 잃은 그의 비극은 수많은 사람들을 각성시키고 그의 지리산 등반이 가진 역사적 의미를 한층 돋보이게 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지리산은 어떤 산인가. “아! 지리산!” 하고 외칠 때, 우리는 그 외침으로부터 남다른 느낌과 충격을 받을 것이다. 그 까닭은 지리산이 인간과 관련된 무수한 삶과 역사의 내용들을 껴안고 있기 때문이리라. 그러고 보면 고정희가 지리산을 오른 것은 물리적인 산으로서의 지리산을 오른 것이 아니다. 그는 역사의 한가운데를 오른 것이고, 그럼으로써 역사의 기운을 몸속 깊은 곳까지 흡수하고자 한 것이며, 그 힘으로 역사의 미래를 희망의 세계로 바꾸어 보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는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그를 실족사시킨 지리산 계곡의 홍수처럼, 역사는 선한 의도까지도 무력화시키고 배제시킬 만큼 폭력적일 때가 너무나도 많다. 그러니 그 역사와 맞서서 역사를 바로잡겠다고 뛰어드는 사람들은 폭력적인 역사의 횡포까지도 감내할 만한 용기를 갖고 있는 자들이다. 인간이, 인간을 위해, 인간에 의해, 만든 것이 역사라고 불리움에도 불구하고, 역사란 어찌 그렇게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일까. 그 엄청난 문제 앞에서 역사와 대면한 고정희는 안타깝게도 실족을 하고 세상을 떠났다. 나는 여기서 그의 실족을 내 나름의 방식으로 새롭게 해석하고자 한다. 그는 분명 외형적으로 볼 때, 실족을 통하여 역사 바깥으로 주검이 되어 밀려난 존재가 되고 말았지만, 그는 그 실족에 의하여 역사의 물결에 온몸을 던지면서 역사의 온전한 회복과 발전을 꿈꾼 것이라고……. 그렇게 볼 때, 고정희의 실족사는 한편으로 비극의 형태를 띠지만, 다른 한편으론 영웅의 승리와 같은 성공담의 모습을 지니는 것이다. 그의 죽음으로 인하여 우리 시단은 한동안 허전하였다. 여성시단은 물론 민중시단, 더 나아가 기독교시단까지 허전함을 메우기 어려웠다. 그런 만큼 그의 역할은 컸었던 것이고, 그런 만큼 그의 죽음은 살아 있는 자들에게 수많은 성찰과 반성의 시간을 마련해주었던 것이다.

3. 밀려오는 어둠 속에서 질식한 생 ― 기형도

기형도의 시집처럼 어두운 시집이 또 있을까. 세상의 어둠이란 어둠은 다 이 시집에 모여들었듯이 그의 시집은 처음부터 끝까지 캄캄하였다. 따라서 그의 시집을 열어보는 일은 어둠과 대면하는 일이었으며, 그의 시 한 편 한 편을 읽는 일은 어둠을 만나고 판독하는 일과 같았다.
무엇이 그로 하여금 그토록 어둠의 세계에 사로잡히게 만들었을까. 아니 무슨 일로 인하여 세상의 어둠이 그의 영혼 속으로 그토록 오랫동안 강렬하게 몰려들어갔을까. 시대적·사회적 분석도 필요하겠지만, 특별히 생애사적 탐구와 심리학적 탐구를 필요로 하는 기형도의 시를 읽을 때마다, 나는 그 어둠에 목이 콱콱 막히는 체험을 반복하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한 것은 그의 시집 속에 자욱한 안개처럼 스며 있는 그 어둠의 유혹과 마력이 상당하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인간들에겐 어둠의 세계에 잠기고 싶어하는, 아니 어둠의 세계를 관음증 환자처럼 훔쳐보고 싶은, 아니 어둠 그 자체가 되고 싶어하는 욕망이 숨어 있는 것인가. 그렇지 않고서야 기형도 시에 그토록 강하게 이끌리는 비밀을 어떻게 풀어낼 수 있단 말인가.
나는 이쯤해서 인간이 가진 죽음의 본능을 떠올린다. 죽음의 본능과 삶의 본능은 언제나 팽팽한 긴장 속에 있으면서 상호 모순관계를 유지하거나 상호 공존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무엇인가가 한 편에 유리한 계기를 이루게 되면, 이들 두 본능 중 하나의 본능이 월등하게 우세해지며 다른 하나를 억압한다. 기형도의 경우 죽음의 본능이 큰 세력을 형성하면서 삶의 본능을 억압한 형국이거니와, 그 거대해진 죽음의 본능에 저당잡힌 한 인간이 마침내 자기자신을 죽음 그 자체로 만들어버린 경우가 기형도의 예이다. 
삶의 본능도 강력하고 교활하다. 그러나 죽음의 본능도 그에 못지 않게 강력하고 교활하다. 너무나도 순진하고 결백한 한 인간의 영혼은 죽음의 본능에 쉽게 빠질 수 있다. 아니 너무나도 깊이 사색하고 너무나도 진지한 한 인간은 그 스스로 죽음의 본능을 불러들일 수 있다. 나는 기형도를 보면서 이 두 가지 가능성을 함께 본다. 그는 ‘너무나도’ 순진하고 결백한 한 청년이었으며, 역시 ‘너무나도’ 깊이 사색하고 진지한 한 젊은 영혼이었던 것이다. 
그렇게 볼 때 세상과 적절히 타협하며 살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커다란 축복(?)인가. 죽음의 본능이 유혹하면 삶의 본능을 불러오고, 삶의 본능이 조증躁症의 환자처럼 나부대면 죽음의 본능을 슬쩍 불러들이면서 이 양자 사이의 줄타기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지혜로운(?) 인생이 펼쳐질 것인가. 
그런 점에서 기형도는 지나치게 고지식했다. 그는 자학하듯 죽음의 본능이 부르는 소리 쪽을 끝까지 따라갔다. 끝이란 얼마나 무서운 곳인가. 그 끝을 요령도 부리지 않고 따라가다니……. 적당한 자리에서 멈추었어야 할 그의 행보가 ‘끝까지’ 이어짐으로써 그는 시로써 죽음의 노래를 부르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의 육체적 죽음까지 감행하고 만 것이 아닌가.
우리는 사는 동안 죽음의 본능이 만들어내는 안팎의 수많은 죽음에 온마음을 빼앗기지 않을 일이다. 죽음의 본능은 끊임없이 세포증식을 일으키며 한 사람을 어둠 속으로 익사시킬 만큼 괴력을 갖고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언젠가는 죽음의 본능이 삶의 본능을 압도하기 때문에, 우리는 모두 죽음으로 인생을 마감한다. 그 시간은 기다리지 않아도 온다. 그러니 너무 이른 나이에 조로한 얼굴로 죽음의 본능 쪽에 몸을 맡길 일이 아니다. 죽음의 본능에 귀를 기울이며 그것을 승화시키는 일은 필요할지 모르나, 죽음의 본능 안쪽으로 무작정 발길을 들여놓고 출구를 발견하지 못하는 일은 안타까울 뿐이다.
기형도는 보통 사람들이 가기 어려운, 가서는 곤란한 죽음의 본능 쪽으로 지나치게 멀리 갔다. 그것을 우리가 바라보는 일은 두렵고 불안하면서도 우리의 욕망이 지닌 어떤 부분을 자극시켜주고 충족시켜준다. 그러나 그것을 직접 사는 일은 막고 싶다.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것처럼 죽음의 본능에 이끌렸을 때, 우리는 보통 사람이기를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너도, 나도, 보통 사람으로서 세속의 마당에 남아 적당한 타협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이런 삶은 진부하지만, 진부한 것이 세속사라면, 그것을 용납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기형도와 같은 삶에 무한한 경외감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참을 수 없는 안타까움을 느끼며, 보통 사람인 수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시간이 자연스럽게 올 때까지 지금, 이곳에서의 삶을 묵묵히 영위해 나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3. 이상주의자가 받은 형벌(?) ― 김남주

김남주의 시와 그의 생애를 보면서 나는 이상주의자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본다. 김남주는 누가 뭐래도 근본적으로 이상주의자였고, 그 이상주의자의 꿈을 위하여 자신의 일생을 바친 사람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상주의자는 고귀하다. 이상주의자는 순결하다. 이상주의자는 정의롭다. 그러나 이상주의자만큼 위험하고, 이상주의자만큼 외롭고, 이상주의자만큼 결핍감에 사로잡히는 자가 또 있을까. 
그런데 말이다. 세속의 찌든 시장터에서, 폭력이 난무하는 전선 같은 세상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주의자가 나오는 것은 참으로 신기하면서도 고귀한 일이다. 어떻게 드높은 이상주의자의 꿈을 설정하고 그것만을 바라보며 몸을 던질 수 있단 말인가. 그러고 보면 이상주의적 속성은 사람을 마비시키는 힘이 있는 것 같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상주의자의 꿈을 위하여 순교하는 일이 어떻게 가능하겠는가 말이다. 
김남주가 가진 이런 이상주의자의 면모를 보면서 나는 그가 변혁시켜 완성시키고자 한 역사의 현실을 생각해본다. 역사란 도대체 어떤 존재인가. 역사는 발전하는가. 인간은 역사를 발전적으로 운영할 능력이 있는 존재인가. 진정 역사는 인간 편에 서 있는가. 역사는 어쩌면 인간에게 복수를 가할 만큼 난폭하고 무정한 존재는 아닌가. 어떻게 하면 역사를 믿고 역사 속에서 유토피아를 건설할 수 있다는 꿈을 지닐 수 있을까. 유토피아는 과연 실현가능한가. 그 유토피아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 이 이외에도 무수한 물음을 열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질문은 이쯤에서 그치기로 하자. 그리고 김남주가 이상주의자의 열정을 바치다 고난과 죽음의 길을 간 일에 대하여 생각해보기로 하자.
김남주는 사회주의자였다. 그에게 사회주의는 모순덩어리의 현실을 넘어서서 유토피아로 가는 길이었다. 그는 순결한 이상주의자의 모습으로 이 사회주의를 신봉하면서 이 땅에 그가 유토피아라고 믿는 사회주의의 나라를 건설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김남주의 이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았고, 지금도 동의하지는 않는다. 다만 박노해가 말하듯이 가치로서의 사회주의는 그 나름의 의미와 참뜻을 갖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 사회주의의 나라를 만드는 것이 옳으냐 그르냐 하는 점이 아니라, 그 사회주의의 나라가 옳다고 믿으며 그것의 실현가능성을 신뢰한 김남주야말로 이상주의자의 전형이었다는 점이다.
어찌보면 이런 김남주는 사회주의라는 종교 앞에서 순교한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순교하는 사람은 그가 어떤 것을 믿고 옹호하든지 간에 거의가 이상주의자임이 틀림없다. 이상주의자가 아니라면 세상과 타협하며 살아가지 결코 순교의 방식을 선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순교란 한편 비장하다. 그러나 순교란 다른 한편 어리석다(?). 관념 이전에 육체가, 유토피아 이전에 현실이, 미래 이전에 지금 이곳의 삶이 진실일 터인데 그 관념을 위하여, 유토피아를 위하여, 미래를 위하여 자신의 목숨을 던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상주의자인 김남주, 그는 이상주의자였기 때문에 받아야 할 형벌(?)을 받은 것이다. 그가 받은 형벌 앞에서 우리는 그의 이상세계에 동의하는 문제와는 별도로 아픔을 느낀다. 세속사회와 적당히 타협하며 그 속에서 유연하게 처신하면서 세속의 단맛에 인생을 맡겼다면 그런 고통과 때이른 죽음은 없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리얼리스트의 냉정함과 교활함을 모른 채, 우직하게 이상주의자의 꿈을 삶의 한가운데에 놓고 있는 사람을 보면, 그래서, 심란해진다. 그가 이 세속의 땅에서 당해야 할 고통이 눈앞에 어른거리는 것이다.

4. 정치적 폭력에 짓밟힌 개인 ― 박정만

정치적 폭력 앞에서 개인은 무력하기 그지없다. 폭력혁명으로 세력을 거머쥔 주체가 이 땅에 자신들을 태양으로 삼아 움직이는, 이른바 독재정치의 새판을 짜려고 폭력을 계속하여 휘두를 때, 개인은 그 아래서 개미 한 마리보다 나을 것이 없을 때가 많다.
새판을 짜려는 독재자들은 잔인하다. 그들이 새판을 짜는 데 방해가 되는 자들은 모두 금 밖으로 몰아내며 공포정치를 감행하기 때문이다. 
박정만의 생애를 보며 나는 새판을 짜려는 독재자들의 폭력 앞에서 무력하게 쓰러진 한 개인을 본다. 주지하다시피 박정만은 1981년, 전두환 정권의 고문과 횡포로 인하여 어느날 직장과 건강과 가정을 다 잃어버린 가슴 아픈 사연의 주인공이다. 그는 좋은 서정시인이었고, 그는 한 출판사의 책임감 있는 직원이었으며, 그는 한 가정의 따스한 가장이었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언로를 감시한 전두환 정권의 폭력 앞에서 한 순간에 풍비박산이 나고 말았다. 그는 폭력정치가 내두른 몽둥이 앞에서 나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박정만은 소위 ‘한수산 사건’에 아무 잘못도 없이 그야말로 ‘우연하게’ 연루되어 고문을 당한 이후에 폭력적인 정권을 저주하며, 폭력적인 역사를 두려워하며, 폭력적인 인간에 분노와 좌절을 느끼며, 정치와 역사와 인간의 ‘저쪽’ 편에 그의 자리를 마련하였다. 그가 마련한 그 자리에서 그는 그만의 삶의 방식을 찾아냈거니와, 그것은 서정시 쓰기와, 술마시기와, 우주를 사모하기였다.
박정만은 서정시의 대가이다. 나는 그가 그토록 폭력적 정치의 희생물이 되었으면서도 어떻게 결이 고운 서정시만을 써왔는지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많았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의 서정시 쓰기는 폭력정치의 두려움을 다스리는 방식이며, 폭력정치에 대한 적개심을 가라앉히는 방식이며, 폭력정치에서 오는 좌절감을 껴안는 방식인 것으로 보인다. 이런 서정시 쓰기는 그를 자유롭게 살아가도록 도와줬을 것이다. 이런 서정시 쓰기로 인하여 그는 잠시나마 폭력이 난무하는 세상과 다른 곳에서 지낼 수가 있었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서정시 쓰기는 그를 지탱하게 만들어준 중요한 요인이었다.
박정만의 서정시 쓰기와 더불어 언급돼야 할 것은 그가 마신 엄청난 술에 대해서이다. ‘1987년 6월과 8월 사이에 나는 500병 정도의 술을 쳐죽였다’는 그의 말처럼, 그는 술을 밥처럼 먹고 마시며 고문 이후의 생을 살아냈다. 이렇게 술병을 옆구리에 끼고 생의 보폭을 옮긴 박정만은 명실공히 ‘술의 나라’ 사람이었다. 그는 더 이상 폭력정치가 지배하는 대한민국 사람이기를 거부하고, ‘술의 나라’ 속으로 거처를 옮겼던 것이다.
독재자의 폭력정치는 이렇게 건강한 한 개인을 ‘술의 나라’로 밀어넣어버렸다. 그 속에서 박정만은 이성 너머의 혹은 이성 이전의 삶을 살았고, 그런 삶은 그로 하여금 시의 귀신에 들린 사람처럼 시를 쏟아내게 만들었다. 이 무슨 아이러니란 말인가.
술의 나라에서 서정시 쓰기, 그러나 이것도 그에게는 치욕스러운 일이었을지 모른다. 이 영토에까지 가끔은 독재자의 폭력정치 소리가 들려오고, 그 영토에 머물면서도 가끔은 독재자의 폭력정치가 가한 아픔으로 치를 떨 때가 있었을 터이니 말이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독재자의 폭력정치가 아예 따라올 수 없는 곳으로 더 멀리 거처를 옮기는 일이다. 그리고 그 자신을 이전보다 더 자유로운 존재로 무화시키는 일이다. 아니 풀어놓는 일이다. 그렇다면 그곳은 어디이며 그 일은 어떻게 가능한가. 나는 그것이야말로 ‘죽음’으로써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박정만은 세상을 버렸다. 그는 이 세상을 버리면서 다음과 같이 읊었다.
나는 사라진다
저 광활한 우주 속으로.
                           ―― 「종시(終詩)」의 전문

‘광활한 우주’ 속으로 거처를 옮긴 박정만, 그는 이제서야 지독한 독재자의 폭력 정치가 난무하는 땅으로부터 비로소 온전히 벗어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의 이런 죽음을 보면서, 아직도 이 땅에서의 삶에 연연해하는 우리들은 여전히 아프고 안타깝다. 그리고 그의 빈자리가 자꾸만 눈에 들어온다.

6. 허무로부터 벗어나는 길 ― 진이정

허무에 발목 잡혀 보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웬만한 사람이 아니라면 그 누구나 허무에 발목 잡혀 거미줄에 걸린 곤충처럼 허둥대게 마련이다. 
그런 점에서 허무를 만난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에게 다가온 그 허무의 늪을 어떻게 건널 것인가를 두고 고민에 휩싸이게 된다. 그런데 그 허무는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찾아온다. 어느 순간 사라진 것처럼 보여도 그것은 위장일 뿐, 허무는 우리의 몸과 삶 근저에 자리잡고 언제든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허무와의 긴 싸움을 계속하지 않을 수 없고, 수시로 앞서 말한 바처럼 ‘허무의 늪’을 어떻게 건널 수 있을 것인가, 골몰하게 된다.
일단 허무의 늪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된 사람이라면 그런 사람을 두고 우리는 구원에 도달하였다고 말할 수 있으리라. 그러나 그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많은 종교들이 구원을 말해도 유한한 인간조건 앞에서 구원을 온전히 체험하며 살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지 않는가.
진이정의 시와 생애를 보면서 허무의 문제를 꺼낸 것은 그의 시와 생애의 근저에 이 허무와의 지난한 대결상이 가로놓여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 대결 속에서 진이정은 허무를 이긴 것일까, 아니면 허무에 예속돼버린 것일까. 어찌보면 진이정은 허무를 이긴 자같이 보이고, 또 다르게 보면 허무에 패배한 자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시를 잘 읽어가다 보면 진이정은 죽음으로써 허무를 자발적으로 극복한 사람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이 역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죽음으로써 허무를 자발적으로 극복하다니……. 그러나 이 역설을 깊이 이해할 때 진이정의 죽음은 허무에 짓눌린 수동적인 죽음이 아니라 허무를 휘어잡은 자의 능동적인 죽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언급하자면, 진이정은 죽음으로써 우주와 적극적인 합일을 이루기 이전에는 허무의 극복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안 사람이다. 다시 말하자면 죽음으로써 우주의 거대하고 무한한 흐름에 몸을 싣기 이전에는 삶의 첫 부분에도, 마지막 부분에도 허무가 담겨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이처럼 죽음으로써만이 허무를 극복할 수 있다면 인생은 얼마나 잔인한 것인가. 그러나 진이정은 인생을 잔인한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인생은 분명 어느 면 잔인한 것처럼 보이지만 우주적 사유를 동원한다면 인생이 잔인하다는 생각을 넘어설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진이정은 일찍 인생의 허무를 넘어서 우주의 거대하고 무한한 흐름 속으로 몸을 실었다. 그런 점에서 진이정은 허무의 늪 앞에서 너무 긴 시간을 낭비(?)하지 않은 현명한(?) 사람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는 말하기를 ‘내 인생은 소위 보람 있다는 일로 낭비되었다’(「거꾸로 선 자의 꿈을 위하여 3」)고 하였다. 그렇다면 그는 죽음을 통한 우주와의 합일에 의하여 낭비로 얼룩진 삶을 일찍 거두어버린 것이다. 그것을 나는 현명한(?) 것이었다고 말한 것이다. 
허무, 그것과의 만남, 그리고 그것의 극복을 위한 적극적인 도전 속에 진이정의 죽음이 놓여 있다. 이런 그의 죽음은 허무에 발목 잡힌 우리들의 삶을 자유의 세계로 안내한다. 그러나 나는 글을 끝내며 한 마디 하지 않을 수 없다. 허무가 죽는 날까지 우리를 괴롭힌다 하여도, 우주적 사유를 적극적으로 하기엔 우리의 생명욕이 너무나도 강력하다고…….

정효구
1958년 출생. 
1985년 《한국문학》으로 등단. 
현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서 『우주공동체와 문학의 길』 『상상력의 모험』 
『몽상의 시학』 『한국 현대시와 문명의 전환』 
『시 읽는 기쁨 1, 2』 등 다수가 있음.

5. 시는 유머 감각의 산물이다

이상국의 시가 너무 비감하여 우리 모두를 숙연케 합니다. 이번에는 유쾌한 시를 한 편 감상해봅시다. 미학에서는 아름다움을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누고 있는데 비장미, 숭고미, 순정미, 우아미 외에 골계미가 있고, 또 하나 미와 반대개념이면서 미의 일종인 추(the ugly)가 있습니다. 우리 시는 너무 점잖고 엄숙한 경향이 있습니다. 언중유골이라고, 엄숙한 가운데서도 농담을 할 줄 알고, 농담을 하는 중에도 뜻을 새길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분도 시를 읽다가 미소를 짓거나 씩 웃는 경우가 있었습니까?

팔순을 넘기신 우리 할머니 경주이씨와 칠순이 가까운 큰고모부는 의좋은 오누이 모습으로 도란도란 옛날 이야기 나누시네. 때는 봄날, 햇살은 까르르 까르르 간지러운 웃음으로 방바닥 위로 환하게 퍼져나가고 백발 장모가 권하는 일배 일배에 취한 눈멀고 귀먹어 가는 사위는 아주 오랜 옛날도 어제처럼 가까워 흥이 나네. 기억하시는교 빙모님요 막내 처제 낳고 제가 가물치 한 마리 사 가지고 찾아갔지요. 하모 김서방 그 달이 윤삼월 참으로 큰 가물치였제. 마흔 고개 힘겹게 넘어 출산한 장모 문안 가던 젊은 서른 사위, 가물치 한 마리 짚으로 꿰어들고 경남 양산군 하북면 삼감리로 걸어가는 키 큰 고모부 모습 나도 보이네. 산후조리하고 있던 할머니의 민망한 마음 보이네. 갓난애기 처제를 본 우리 큰고모부 선한 눈가 웃음도 보이네. 金粉으로 부서지는 두 분의 옛날 이야기 곁에 버릇없이 누운 나는 살아보지도 못한 저 먼 세월 어슬렁어슬렁 거슬러 올라가는 귀 큰 당나귀, 금줄 친 사립문 밖에서 百年 손님 맏사위 멋쩍게 맞으며 新羅瓦當의 웃는 얼굴로 웃는 할아버지 젊은 웃음소리 듣네. 아직도 살아 푸드득거리는 가물치 소리 생생히 들려오네.

정일근, [흑백사진―가물치] 전문

이 시는 상황 설정부터 웃음이 나옵니다. "마흔 고개 힘겹게 넘어 출산한 장모 문안 가던 젊은 서른 사위"의 이야기이니까요. 이 이야기를 풀어놓는 촉매제가 바로 가물치입니다. 장모가 마흔이 넘어 처제를 낳았으니 본인은 백년 손님인 맏사위 보기가 민망하고, 장인은 사위 맞기가 멋쩍기 이를 데 없습니다. 사위는 그래도 나 몰라라 할 수 없어 엄청나게 큰 가물치 한 마리를 사 들고 처갓집에 갑니다. 이 얼마나 우스꽝스런 상황입니까. 그런데 시인의 재능은 이러한 상황을 보여주는 데 있지 않습니다. 모든 등장인물을 아름다운 금빛으로 도금하는 언어의 연금술에 있습니다. "햇살은 까르르 까르르 간지러운 웃음으로 방바닥 위로 퍼져나가고", "新羅瓦當의 얼굴로 웃는 할아버지 젊은 웃음소리" 같은 표현도 그렇거니와, 화자의 팔순을 넘기신 할머니가 칠순이 가까운 큰고모부에게 술을 계속 권하면서 나누는 대화가 더없이 정겨워 독자는 감동하게 됩니다. 시 한 편에 사람 사이에 오갈 수 있는 따듯한 정감을 이렇게 듬뿍 담을 수 있다니, 아니 흘러 넘치게 할 수 있다니, 참으로 놀라운 일이 아닙니까.

6. 시는 새로운 요소가 있어야 한다

아무리 그럴듯한 소재와 주제일지라도 표현 방법이 너무 진부하면 시의 맛이 사라져버립니다. 시를 쓸 때는 어느 정도의 실험정신이 시를 맛깔스럽게 하는 양념이 될 수 있습니다. 한 번 읽어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한 편의 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난 그날을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서 처음 시도로 글자 그대로 해석해보기로 한다.
그―①그윽한 ②그믐달 ③그림자
날―①날카로운 첫 키스(님의 침묵) ②날강도 ③날짐승
통합적으로 그윽한 면도날로 정의해보기로 하자. 그런데 나의 알 수 없는 우울증은 조금 더 강도를 높인다. 다음 단계로 그날의 사건과 정황을 그려보기로 한다. 이 단계에서 경계해야 할 점은 육신이 제거된 영혼의 교만함이 고개를 쳐든다는 점이다. 냉정함을 잃지 말라고 충고하면서 두 번째 시도로 들어간다.

정말이지, 그날 자네가 불시에 가한 엄청난 테러가 떠오른다. 정말 어찌 하라는 건지, 나 부끄러움 넘어선 견디기 힘든 굴욕감에 별들도 차가운 눈빛으로 가슴 깊이 얼음 송곳 밀어 넣는다. 바람에 상처받기 쉬운 겨울나무는 땅의 마지막 수액 한 방울도 빨아올려 단단한 겨울에 완강히 저항한다. 그런 잠 못 들기 몇 날인가, 핏발 서린 눈에선 자꾸 마른 눈물 흘러, 말라비틀어진 흔적이 영혼 깊숙이 각인된다. 그러면 육신은 무엇이며 영혼은 또 무엇인가, 영혼의 기막힌 알리바이는 여기서 끝나지 않고 끊이지 않는 우울증으로 육신을 계속 괴롭힌다. 더 나아가 내 몸 구석구석 굴욕의 상처들이 바람에 제 존재를 알리는 풀잎처럼 우우, 일시에 일어나 실개울로 흘러 비굴한 시 쓰기를 관통하여 뜨거운 태양이 그대의 오만함을 녹여줄 회복기의 봄을 고대하도록 한다. 이쯤 되면 영혼의 교만함이 육체의 단순성을 비웃듯 또다시 고개를 쳐들고 나는 또다시 이 우울증의 원인 치료를 위해 그날이라는 글자 분석에 몰입한다. (ㄱ⇒무엇인가 어긋남, ㅡ⇒동물의 울음, 나⇒egoistic, ㄹ⇒물 흐르듯이;너무 랭보的이어서 나의 우울증은 더욱 심화된다)


―강성철, [그날] 전문 <현대시 1993년 3월호>

시인이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이해하기가 상당히 어렵지요? [그날]이란 제목을 보고 '그 어느 날'이라고 생각한 저의 기대지평은 초장에 여지없이 무너집니다. 시인은 '그날'을 달리 생각해보고자 '그'를 ①그윽한 ②그믐달 ③그림자로, '날'을 ①날카로운 첫 키스(님의 침묵) ②날강도 ③날짐승으로 해석해본 뒤, 통합하여 '그윽한 면도날'로 정의해봅니다. '그'는 ①번을 선택했으나 '날'은 세 개 중 마땅한 것이 없어 면도날을 연상한 것입니다. ①번 '날카로운 첫 키스([님의 침묵])'에서 날카롭기 짝이 없는 면도날을 연상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윽한 면도날이라니요. 여기서 독자는 시인의 장난에 우롱 당했다는 당혹스런 느낌과 시인의 계산을 못 따라잡았다는 허탈한 감정을 한꺼번에 느낄 수 있습니다. 이게 무슨 장난이냐고 못마땅하게 생각할 수도 있고요. 
제2연에 접어들어서도 강성철은 계속 독자에게 미지의 덫을 놓습니다. "그날 자네가 불시에 가한 엄청난 테러"는 면도날을 휘둘러대는 상황이었던가 봅니다. 불시에 가한 자네의 행동에 나는 괴롭고 서러워 마지막 수액 한 방울도 빨아올려 겨울에 저항하는 겨울나무처럼 잠 못 드는 나날을 보냅니다. 고통과 설움은 "끊이지 않는 우울증으로 육신을 계속 괴롭힌다"는 2연 중반 끝 부분까지 이어집니다. 이런 뒤엉킴의 실마리는 아마도 이 구절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그러면 육신은 무엇이며 영혼은 또 무엇인가.

시인이 신의 존재를 믿는 종교인이라면 영혼의 불멸 또한 믿어 의심치 않겠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육신'과 '영혼'의 관계는 평생 동안 뇌리에서 지울 수 없는 화두와 같은 것일 수 있습니다. 설사 종교인이 아니더라도 영혼의 불멸을 믿지 않을 수 없게 하는 일은 이 현실사회에서도 얼마나 자주 벌어지고 있습니까. 죽음의 문턱에까지 갔다가 온 사람이 죽어 누워 있는 자신의 모습을 봤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요. 이제 대충 짐작이 가지 않습니까? 육신을 계속 괴롭히는 영혼의 병이 나의 큰 문제인 것입니다. 타인에 의해 늘 상처받는 내 영혼의 병인 우울증이 문제인 것입니다.
시인은 "굴욕의 상처들"과 "비굴한 시 쓰기", "그대의 오만함"과 "영혼의 교만함" 등 온갖 자극적인 언어를 동원하면서 굴욕과 비굴, 영혼의 교만함에서 벗어나기를, 고통과 설움이 끝나기를, 그 무엇보다 우울증이 완치되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습니다. 제2연 끝 부분에 이르러 '그날'이란 글자의 분석에 몰입했던 이유가 밝혀집니다. 

나는 또다시 이 우울증의 원인 치료를 위해 그날이라는 글자 분석에 몰입한다.

불면증 환자가 잠을 청하기 위해 숫자를 백, 아흔아홉, 아흔여덟, 아흔일곱…… 하면서 밤이 깊도록 세고 있듯이 강성철은, 아니 [그날]의 시적 화자는 우울증에서 벗어나고자 '그날'이라는 글자를 분석하는 데 날이 새는 줄도 모르고 있었던 것입니다. 우울증 환자의 글자 분석의 결과는 어찌 되었을까요.

(ㄱ⇒무엇인가 어긋남, ㅡ⇒동물의 울음, 나⇒egoistic, ㄹ⇒물 흐르듯이;너무 랭보的이어서 나의 우울증은 더욱 심화된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렇게 애를 썼건만 화자의 우울증이 회복되기는커녕 더욱 심화되고 말았다니까요. 이 거대한 정신병동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자화상이 이 괄호 속에 압축되어 있습니다. 너와 나의 관계는 늘 어긋나기만 하고, 인간은 하나님이 숨은 세계에서 승냥이처럼 울 수밖에 없는 존재이며, 나와 타인은 다들 지독한 에고이스트들이고, 나의 우울증은 심화되기만 합니다. 읽고 곧바로 이해되지 않는 시, 여러 번 되풀이해 읽는 동안 뜻이 풀리는 이런 시가 오히려 매력적인 시일 수 있습니다. 1980년대에 한국 시단을 풍미했던 이른바 해체시라는 것에 대해서도 따뜻한 애정의 시선을 갖고 읽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암호 풀기나 미로 찾기 같은 시 읽기이지만 그 속에 오묘한 진리가 들어 있거든요.  


============================================================================

 

213. 향수 / 정지용

 

     

 

 

 

 

 

 

 

 

 

鄕愁

 

 

 

                                                   정지용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 빛이 그립어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여쁠 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안해가
따가운 해ㅅ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줏던 곳,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석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어 도란도란거리는 곳,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 리야.

 

 

 

     

 

     

 

     

 

 

 

정지용 연보

 

1902년(1세)  음력 5월15일 충북 옥천군 옥천읍 하계리 40번지에서 정태국과 정미하의 장남으로 출생.

                   지용의 아명은 연못에서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태몽을 꾸었다하여 지룡(池龍)이었고,

                   이 발음을 따서 본명은 지용(芝溶)으로 했음. 세레명은 프란시스코.

 

1910년 (9세) 옥천공립보통학교(현재 죽향초등학교) 입학.

 

1913년(12세) 동갑인 송재숙과 결혼.

 

1918년(17세)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함. 학교성적은 우수하고 집안이 어려워서 校費生으로 선정.

                   재학당시의 교우로는 3년 선배인 홍사용, 2년 선배인 박종화, 1년 선배인 김윤식, 1년 후배인 

                   이태준 등이 있으며 이 무렵 부터 문재를 나타내어 박팔양 등과 8명으로 요람동인을 만들어

                   동인지<요람>을 프린트판으로 10여호를 발간.

 

1919년(18세) 3·1운동이 일어나 교내문제로 야기된 휘문사태의 주동이 되어 이선근과 함께 무기정학.

                   12월 <서광>창간호에 소설<3인>을 발표함 지용의 유일한 소설이며 첫 발표작품임.

 

1922년(21세)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함. 이때까지 계속 아버지의 친구 유복영의 집에서 생활.

 

1923년(22세) 휘문고보의 재학생과 졸업생이 함께하는 문우회에서 만든 <휘문>창간호의 편집위원이 됨.

                   휘문고보의 교비생으로 일본 교토(京都)의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에 입학.

 

1926년(25세) <학조>창간호에 <카페 프란스>등 9편의 시,

                   <신민>·<문에시대>에 ·<홍춘>등 3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단활동이 시작.

 

1927년(26세) <뻣나무 열매>·<갈매기>등 7편의 시를 교토와 옥천을 오가며 씀.

                    <신민>·<문에시대>·<조선지광>·<청소년>·<학조>지에 <향수>등 30여편의 시 발표.

 

1929년(28세) 도시샤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귀국함.

                   그 해 9월 휘문고보 영어과교사로 부임, 부인과 장남을 데려와 종로구 효자동로 이사.

 

1930년(29세) 시문학동인으로 참가, 동인으로는 박용철, 김영랑, 이하윤 등이 있음.

 

1932년(31세) <신생>·<동방평론>·<문예월간>지에<고향>·<열차>등 10편의 시를 발표함.

 

1933년(32세) 6월에 창간된 <가톨릭 청년>지의 편집고문을 맡음.

 

1935년(34세) 첫 시집 <정지용 시집>을 시문학사에서 출간함, 거의 발표 되었던 작품 89편으로 수록됨.

 

1936년(35세) 서대문구 북아현동으로 이사. 북아현동 자택에서 부친 별세.

 

1938년(37세) <동아일보>·<조선일보>·<삼천리문학>·<여성>·<조광>·<소년><삼천리>·<청색지>에

                   산문 <꾀꼬리와 국화>, 산문시 <슬픈우 상>·<비로봉>, 평론 <시와 감상>, 그외 수필 등

                   약 30여편을 발표.

                   블레이크와 휘트먼의 시를 번역하여 최재서 편(編)의 <해외서정시집>에 수록.

                   천주교에서 주관하는 <경향잡지>를 돕는 등 문필활동이 가장 왕성했던 한 해임.

 

1939년(38세) <문장>지의 시부문 추천위원이 되어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김종한, 이한직, 박남수 등을

                    등단시킴.

 

1941년(40세) <문장>22호 특집으로 ,조찬>· <진달래>들 10편의 시가 특집으로 실림.

                    둘째 시집 <백록담>이 문장사에서 발간됨

 

1944년(43세) 제 2차대전의 말기에 이르러 서울 소개령으로 부천군 소사읍 소사리로 이사함.

 

1945년(44세) 해방과 함께 휘문중학교 교사직 사직.

                    이화여자전문학교(현재 이화 여자대학교)교수로 옮겨 한국어와 라틴어 강의.

 

1946년(45세) 다시 서울의 성북구 돈암동으로 이사함(46세).

                    6월에 <지용시선>이 을유문화사에서 나옴.

                    경향신문사 주간으로 옮김.

                    조선문학가동맹의 아동분과위원장으로 추대.(본의가 아니었으므로 활동한 일은 없음.)

 

1947년(46세) 경향신문사의 주간직을 사임하고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로 복직.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강사로도 출강.「시경」을 강의함.

 

1948년(47세) 이화여자대학교를 사임하고 녹번리초당(현재 은평구 녹번동)에서 서예를 하며 소일.

                    2월 <문학독본> 출간. <사시안의 불행>등 37편의 시문, 수필, 기행문 등 수록.

 

1949년(48세) 3월 <산문>이 출간(3월). 시문, 수필, 역시(휘트면) 등 55편이 수록.

  

1950년(49세) 6ㆍ25전쟁이 일어나자 정치보위부로 끌려가 구금됨.

                   정인택, 김기림. 박영희 등과 서대문형무소에 수용되었다가 평양감옥으로 이감.

                   이광수, 계광순등 33인이 함께 수용 되었다가 그 후 폭사 당한 것으로 추정.

 

1971년 부인 송재숙 70세를 일기로 별세.

 

1982년 48명의 문인과 각계인사들이 납북 후 묶여있었던 정지용문학의 회복운동을 시작함.

 

1988년 3월31일 정지용의 문학이 해금됨. 4월 지용회 결성. 초대회장 방용구.

           5월 15일 세종문화회관 소강당에서 제 1회 지용제를 지냄

           6월 25일 고향인 옥천의 관성회관에서 다시 지용제 개최 이후 16회를 이어옴.

 

1989년 지용시문학상 제정. 

 

1997년 제2대 회장 이근배.

 

2002년 5월 정지용 탄신 100주년 서울지용제 및 지용문학심포지움 개최함

 

2003년 이달의 문화인물 (5월)로 선정 기념 서울지용제 및 지용문학 심포지움 개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43 중국조선족시인 정몽호 篇 2024-08-29 0 612
2242 중국조선족시인 황장석 篇 2024-08-29 0 506
2241 중국조선족시인 김태갑 篇 2024-08-29 0 608
2240 중국조선족시인 김동호 篇 2024-08-29 0 474
2239 중국조선족시인 홍군식 篇 2024-08-29 0 429
2238 중국조선족시인 김춘산 篇 2024-08-29 0 458
2237 중국조선족시인 전광훈 篇 2024-08-29 0 681
2236 중국조선족시인 김진룡 篇 2024-08-29 0 597
2235 중국조선족시인 허룡구 篇 2024-08-29 0 471
2234 중국조선족시인 전춘매 篇 2024-08-29 0 533
2233 중국조선족시인 박설매 篇 2024-08-29 0 434
2232 중국조선족시인 박화 篇 2024-08-29 0 414
2231 중국조선족시인 설인 篇 2024-08-29 0 416
2230 중국조선족시인 리욱 篇 2024-08-29 0 360
2229 중국조선족시인 한영남 篇 2024-08-29 0 392
2228 중국조선족시인 심명주 篇 2024-08-29 0 500
2227 중국조선족시인 전병칠 篇 2024-08-29 0 476
2226 중국조선족시인 박문파 篇 2024-08-29 0 568
2225 중국조선족시인 김인덕 篇 2024-08-29 0 489
2224 중국조선족시인 송미자 篇 2024-08-29 0 510
2223 중국조선족시인 리순옥 篇 2024-08-29 0 429
2222 중국조선족시인 리춘렬 篇 2024-08-29 0 574
2221 중국조선족시인 김현순 篇 2024-08-29 0 640
2220 중국조선족시인 리임원 篇 2024-08-29 0 332
2219 중국조선족시인 리성비 篇 2024-08-29 0 565
2218 중국조선족시인 주성화 篇 2024-08-29 0 520
2217 중국조선족시인 주룡 篇 2024-08-29 0 458
2216 중국조선족시인 전경업 篇 2024-08-29 0 461
2215 중국조선족시인 리상학 篇 2024-08-29 0 489
2214 중국조선족시인 리호원 篇 2024-08-29 0 635
2213 중국조선족시인 허흥식 篇 2024-08-29 0 532
2212 중국조선족시인 김문회 篇 2024-08-29 0 688
2211 중국조선족시인 리근영 篇 2024-08-29 0 458
2210 중국조선족시인 현규동 篇 2024-08-29 0 486
2209 중국조선족시인 김준 篇 2024-08-29 0 430
2208 중국조선족시인 김영능 篇 2024-08-29 0 550
2207 중국조선족시인 김동진 篇 2024-08-29 0 594
2206 중국조선족시인 김응준 篇 2024-08-29 0 495
2205 중국조선족 우화시인 허두남 篇 2024-08-29 0 703
2204 중국조선족시인 박문희 篇 2024-08-29 0 735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