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世界 색점선
최근 수정 시각:
ÉDOUARD MANET (1832년 1월 23일 ~ 1883년 4월 30일)
에두아르 마네는 할아버지도 판사이고 아버지도 판사인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아버지가 화가의 길을 허락해주지 않아 17살에 남아메리카 항로의 견습사원이 되었다. 그 뒤 해군사관학교에 지원했다 낙방한 후 1850년에 겨우 쿠튀르의 아틸리에에 들어갔다. 그러나 학구적인 역사화가인 쿠튀르에게 반발, 자유연구로 나아가 루브르 박물관 등에서 고전회화를 모사, F.할스나 벨라스케스 등 네덜란드/에스파냐화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 사이 이탈리아 ∙ 독일 ∙ 네덜란드 ∙ 벨기에로 여행이 잦았다고 한다.
1859년부터 살롱에 출품해 낙선이 잦았지만, 고티에나 보들레르부터 주목을 받게 된다. 살롱에는 1861년 입상해 겨우 수상한 적이 있으나, 이색적의 수난은 초기부터 계속되었다.
1863년 낙선전[1]그의 작품인 <풀밭위의 점심식사 (Le Déjeuner sur l’herbe)>는 많은 이들의 관심과 함께 조롱을 받았다.
그는 이때까지의 회화와는 다른 관점으로 그림을 그렸는데 ,당시까지만 해도 그림은 명암의 변화를 섬세하게 구분하여 전통적인 방식으로 그렸지만 마네는 쏟아지는 햇볕아래서 밝은 부분을 어둡게 보이고 어두운 부분도 주위 사물에서 내쏘는 반사광으로 인해 어둡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그의 작품인 풀밭위의 점심식사는 어두운 부분은 하나의 색채를 가지고 그림 속의 사물들은 입체감을 잃고 평면이 되었다. 또한 논란이 되었던 부분은, 옷을 입지 않은 나체 여성과 옷을 입은 남성을 일상적인 정경 가운데 함께 그렸다는 것이다. 그 이후에도 그의 그림은 여러번 논란의 대상이 되었는데 그의 작품인 올랭피아는 1865년 샬롱에 전시되었지만 신랄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2][3] 이 두 작품에 대한 비난은 지나쳤지만 훗날에 그의 표현기법의 밝음과 참신성을 이끌어준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 이래 화단과 문단 일부에서 열렬한 지지자를 얻었고, 자신을 경모(敬慕)하는 C.피사로, 클로드 모네, 알프레드 시슬레등 청년화가들 사이에서 그 후에 대두될 인상주의에의 길을 여는 기연(機緣)을 이루었다. 그러나 마네 자신은 아카데미즘의 공인을 기다려, 인상파그룹의 전람회에 참가하기를 거부하고, 그들과 동일시되는 것을 대단히 꺼렸으나 한때는 인상파기법을 채용하여 제작한 적도 있다.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 (Un bar aux Folies Bergère)> 역시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었으며 매우 최근까지도 미술학도와 일반인들이 즐겨 씹는 안주거리였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여성이 매춘부라는 주장부터 이 작품에서 보여지는 구도는 실제로는 불가능한 구도이며 마네는 미술의 기본도 모른다는 등 갖가지 구설수에 시달린 작품. 결국 21세기 들어서야 사진 전문가가 그림 속의 상황을 그대로 재현한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마네의 억울함을 풀어 주었다.
<폴리베르제르의 바>. 중앙의 여성의 뒷모습과 그녀 앞에 서 있는 남성의 정면이 거울에 비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이런 각도가 나올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진으로 실제로 재현할 수가 있다.
보는 이(즉 사진사)와 모델, 거울의 위치 및 각도를 나타낸 그림. 출처: Manet's Bar at the Folies-Bergère: One Scholar's Perspective, Malcolm Park, 2000.
말년에는 류머티즘 질환으로 고생하여 근육적 피로가 덜한 파스텔화 위주로 그렸지만, <막시밀리안의 처형 (L’Exécution de Maximilien)>(1867), <폴리 베르제르의 술집 (Le Bar Folies-Bergère)>(1882)등 황혼기에 유화의 역작들을 그려내고 51세에 파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세련된 도시적 감각의 소유자로 주위의 활기 있는 현실을 예민하게 포착하는 필력에서는 유례 없는 화가였다. 종래의 어두운 화면에 밝음을 도입하는 등 전통과 혁신을 연결하는 중개역을 수행한 점에서 공적이 크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의 수훈자 중 한명이다.
여담으로 BBC의 다큐인 빛을 그린 사람들에선 매독으로 사망한다.
에로게 사쿠라의 시에서 마네의 그림, 올랭피아가 자주 언급된다.
에두아르 마네 (Edouard Manet 1832-1883)
부유한 부르주아 출신 멋쟁이였던 마네는 국립미술학교에 입학한다. 그러나 마네는 학교보다는 루브르박물관, 헤이그,피렌체,마드리드 등의 미술관에서 대가들의 작품을 보며 더 많은 것을 배웠다. 마네는 티치아노, 루벤스, 벨라스케스, 렘브란트,고야, 등 루브르 박물관 거장의 명작을 모사하다가 드가를 만나서 우정을 나누게 된다. 둘은 모두 앵그르를 좋아했다. 앵그르의 영향을 받은 한편, 원근법을 무시하고, 또 당시에는 낯설게 받아들여진 대중적인 주제를 골라 강조했기 때문에 마네는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1860년에서 1870년대에 마네는 <인상파전>에 참여하는 것을 거절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따르던 주위의 많은 젊은 화가들은 마네를 예술 혁명의 선구자라 불렀다.
마네 자신은 자신의 새로운 회화 경향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지 못했다. 그러나 마네의 회화적 현대성을 이해했던 마네의 친구들이자 당대의 예술적 리더였던 보들레르, 졸라, 말라르메같은 문인들은 마네를 옹호하고 그 현대성을 알리려고 노력했다. 현대화의 선언이라고 일컬어진 그의 초기작 <풀밭위의 식사>,<올랭피아>등은 일상적인 이웃집 여인처럼 창작가를 논쟁의 쟁점이 전위적 시사 인물로까지 만들게 된다. 상처받은 마네는 스페인으로 여행을 떠났고 스페인에 매혹되어 1865년가지 머물며, 옛날 대가들의 작품에서 집시와 기타 연주가, 무희들이란 주제를 빛과 그림자의 격렬한 대조로 그려냈다.
1870년에서 1880년 대에 클로드 모네와 다시 만난 마네의 그림은 밝아진다. 그러나 그는 인상파로부터 철저히 독립적인 화가로 남고싶어한다. 마네는 <철도>,<온실>,<카바레>,<나나>등 대표작을 통해 거장의 솜씨와 순발력을 시적이고 친숙한 유머로 연결했다는 평을 얻는다. 또한 이 작품들 덕분에 그는 파리장의 삶을 가장 훌륭하게 묘사한 작가로 불리게 된다. 말년에는 몸에 마비가 와서 꽃만 겨우 그리다가 손 절단 수술을 받은 후 51세에 사망한 작가. 20년이란 예술적 경륜을 남긴 마네 절친했던 졸라의 "어느날인가 자네 작품을 루브르박물관에 갈걸세"라는 예언대로, 사후 4반세기 만인 1907년 작품 <올랭피아>가 루브르박물관에 소장된 작가. 그는 현대회화의 길을 활짝 열어준 자유 예술가의 이미지로 우리곁에 남아있다.
코톨드 갤러리의 가장 큰 전시실에 걸린 〈폴리베르제르의 술집〉을 가만히 들여다본다. 나 말고도 몇몇 관람객들이 그 자리에 서서, 또는 그림 앞에 놓여 있는 의자에 앉아서 조용히 이 그림을 응시하고 있다. 아무도 움직이지 않는다. ‘그림과의 대화’가 가능하다면, 우리는 지금 그림 속의 인물과 대화하고 있는 셈이다. 〈폴리베르제르의 술집〉에 똑바로 서 있는 검은 옷의 여인(모델은 실제 폴리베르제르의 여급이었던 쉬종이다)이 우리의 시선을 묵묵히 마주 바라본다. 그녀의 얼굴에는 어떤 표정도 없다. 그녀는 웃지도, 울지도 않는다. 그러나 그 무표정 어딘가에는 매일의 노동에서 오는 고단함이 배어 있다.
〈폴리베르제르의 술집〉에는 카페, 여자, 밤, 검은색 등 화가 마네가 발휘할 수 있는 모든 모던한 요소들이 총집결해 있다. 쉬종의 등 뒤에 있는 거울을 통해 비치는 폴리베르제르 술집의 모습은 화려한 불빛과 소음이 명멸하는 파리 카페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보여 준다. 실크해트를 쓴 신사들과 잘 차려입은 여자들이 눈부신 조명 아래 앉아 술을 마시고 있고, 왼편에서는 서커스가 한참 진행되고 있다. 폴리베르제르는 19세기 말, 파리에서 유명한 고급 술집이었다.
무표정하게 서 있는 것 같지만 쉬종 역시 지금 한 신사를 상대하는 중이다. 그녀 뒤편의 거울을 보면, 쉬종 바로 앞에 콧수염을 기른 신사가 서 있는 모습이 보인다. 아마도 쉬종은 지금 이 사내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쉬종의 본마음은 그림 속 정면으로 보이는 얼굴처럼 피로할 뿐이다. 그녀는 파리의 밤 문화가 시끌벅적하게 요동치는 이 술집을 빨리 벗어나고 싶지만, 그녀에게 할당된 하루의 노동은 끝이 보이지 않는다. 쉬종은 앞에 선 남자를 따라 원치 않는 ‘2차’를 가야 할지도 모른다(당시 폴리베르제르를 비롯한 파리 술집의 여급들 대부분은 매춘으로 돈을 벌고 있었다). 마네의 예리한 시선은 쉬종이 애써 숨기고 있는 피로감을 놓치지 않는다.
마네 최후의 걸작(이 그림은 마네가 죽기 1년 전인 1882년에 완성되었다)인 〈폴리베르제르의 술집〉에 대해서는 미술사가들의 의견이 늘 분분하다. 그중 가장 큰 의문은 ‘왜 마네가 쉬종의 뒷모습과 앞모습을 엇갈린 각도로 그렸는가’ 하는 점이다. 쉬종의 뒤편에 있는 벽면에는 대형 거울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그림을 보는 우리는 쉬종의 정면 모습과, 술집의 소란스러운 저녁 풍경을 동시에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림 오른편, 거울에 비치는 쉬종의 뒷모습은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몸을 튼 모습이다. 이런 쉬종의 모습이 거울에 비치려면 그림에 그려진 쉬종의 앞모습은 정면이 아니라 왼편을 보고 선 모습이어야 한다. 엑스레이로 이 그림을 투사해 보면, 왼쪽으로 돌아선 쉬종의 옆모습을 스케치한 밑그림이 보인다. 그러나 붓을 댄 순간, 마네는 생각을 바꾸어 쉬종의 정면을 그렸다. 말하자면 마네는 의도적으로 거울 속 쉬종과 실제 쉬종을 왜곡된 방향으로 그려 넣은 것이다.
왜 마네는 이런 선택을 했을까?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것은, 그리고 내게도 가장 설득력 있게 들리는 가설은 마네가 쉬종의 정면 모습을 통해 그녀가 침잠하고 있는 ‘군중 속의 고독’을 확연히 부각시키려 했다는 것이다. 그림 속의 쉬종은 세련된 스타일의 미인이다. 몸에 꼭 맞는 검은색 드레스는 그녀의 풍만한 가슴과 잘록한 허리를 더욱 강조해 준다. 목에 건 커다란 메달, 귀에 걸린 앙증맞은 귀걸이, 가슴을 장식한 커다란 코르사주와 레이스 등도 화려하기 그지없다. 그러나 그녀는 겉모습만큼 멋지고 행복한 삶을 살고 있을까? 쉬종의 무표정은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 그녀는 지금 눈앞에 밀려오는 피로감을 억지로 참으며, 돈을 벌기 위해 마음에 없는 남자를 상대하고 있다고 말이다.
마네가 보여 주고 싶은 부분은 바로 이것이었다. 자본주의가 막 꽃을 피운 대도시 파리의 화려한 밤 풍경과, 그 속에 서 있는 쓸쓸한 인간의 모습. 만년의 마네는 술집의 떠들썩하고 화려한 풍경보다도, 그 화려함 속에서 더욱 고독해질 수밖에 없는 한 여인의 쓸쓸함에 마음이 끌렸던 것이다. 쉬종 앞에 차려진 테이블의 풍경들, 색색의 술병과 꽃들, 금방이라도 과즙이 흘러내릴 듯 무르익은 오렌지들은 쉬종의 검은 옷과 분명히 대비되며 쉬종의 내면에 가득한 황량함을 더욱 역설적으로 보여 준다.
이 그림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쉬종이 입은 검은 드레스다. 마네는 도회적이면서도 세련된 색감이라는 이유로 다른 화가들이 기피하는 검은색을 즐겨 사용했다. 여기서도 검은 드레스는 거울에 비친 모습까지 합해서 화면을 반 가까이 채우고 있다. 그림 한가운데에 검은색을 대담하게 바른 시도는 화가의 원숙함을 느끼게끔 한다. 이 그림을 그릴 무렵 마네는 검은색의 또 다른 상징, 죽음이 눈앞에 다가왔음을 느끼고 있었다. 그렇다면 마네는 더더욱 젊고 아름다운 여인인 쉬종과, 그녀가 지닌 고독과 우울을 통해 자신의 흔적을 세상에 남겨 놓고 싶었을 것이다.
코톨드 갤러리에 갈 때마다 나는 〈폴리베르제르의 술집〉을 하릴없이 응시한다. 그림 속의 풍경은 인상파와 모더니즘의 멋들어진, 그러나 멜랑콜리에 찬 결합이다. 취객들의 소란 한가운데 서 있는 쉬종은 이 떠들썩한 현실 속에서 혼자만의 상념에 잠겨 있다. 쉬종을 둘러싸고 있는 소음은 그녀 앞에서 일순 물속같이 적요해진다. 그 적요함은 물결처럼 나를 감싸고, 그리고 코톨드 갤러리의 전시실을 가득히 채운다. 그래서인지 〈폴리베르제르의 술집〉 앞에 선 관객은 그림 속 쉬종처럼 이내 쓸쓸한 표정이 된다.
갑자기 쉬종의 무표정한 얼굴이 누구와 닮았다는 생각이 든다. 매일 아침의 출근길, 콩나물시루처럼 빽빽하게 채워진 아침의 지하철에서 늘 마주치는 표정들이 바로 저렇지 않은가. 삶의 고단함에 익숙해진 나머지 더 이상 고단하다는 사실조차 느끼지 못하는 슬픈 현대인의 얼굴, 쉬종의 모습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고단한 현대인의 일상을 한 세기 전에 그림으로 형상화했던 마네는 얼마나 위대한 화가였나 하는 경외감이 새삼스럽게 마음속 가득히 차오르는 것이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