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독일 시인 - 횔덜린
2017년 04월 19일 00시 22분  조회:5985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 1770. 3. 20, 뷔르템베르크 라우펜암네카어
사망 1843. 6. 7, 튀빙겐
국적 독일

요약 고대 그리스 시의 고전적 형식을 독일 시에 도입하고 그리스도교와 고전이라는 두 주제를 융합하는 데 성공했다. 횔덜린은 생전에 거의 인정을 받지 못했고 100년 가까이 거의 완전히 잊혀져 있었다. 20세기초 비로소 그는 독일에서 재발견되었으며, 독일어로 시를 쓴 뛰어난 서정시인 가운데 한 사람이라는 명성이 유럽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오늘날 그는 가장 위대한 독일 시인의 반열에 세워져 있고, 특히 그의 뛰어난 표현양식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슈바벤 지방의 네카어 강변에 있는 소도시에서 태어났다. 1772년에 아버지가 죽고 2년 후 어머니가 뉘르팅겐 시(市)의 시장과 재혼하여 뉘르팅겐에서 학교를 다녔다. 1788~93년에는 튀빙겐대학교 신학부에 다녔으며 여기서 석사학위를 받고 사제서품을 받을 자격을 얻었다. 하지만 사제의 길을 포기하고 시인 실러의 격려에 따라 시인의 길을 걸었다. 그는 그리스도교 신앙과 종교적 정신 및 고대 그리스의 믿음들을 조화시키고자 노력했고 영혼의 부활과 '신들로의 회귀'를 예언했으며 철저히, 고도로 민감하게, 그렇기에 유달리 상처받으면서 자신을 예술에 바쳤다.

 

고대 그리스 시의 고전적 형식을 독일 시에 도입하고 그리스도교와 고전이라는 두 주제를 융합하는 데 성공했다.

슈바벤 지방의 네카어 강변에 있는 소도시에서 태어났다.

1772년에 아버지가 죽고 2년 후 어머니가 뉘르팅겐 시(市)의 시장과 재혼하여 뉘르팅겐에서 학교를 다녔다. 그러나 1779년 어머니는 다시 남편을 잃고 혼자서 프리드리히와 그의 누이 하인리케, 그리고 아버지가 다른 남동생 카를을 부양해야 했다. 교구목사의 딸로서 단순하고 다소 편협한 신앙심을 가졌던 어머니는 그가 성직자가 되기를 원했다. 성직자 지망생들은 자유로운 교육을 받았는데, 재능은 있지만 가난한 소년이라면 놓쳐서는 안 될 기회였다. 그리하여 그는 처음에는 덴켄도르프와 마울브론의 '수도원학교'(종교개혁 이전 시기부터 그렇게 부름)에 보내졌고, 이어 1788~93년에는 튀빙겐대학교 신학부에 다녔으며 여기서 석사학위를 받고 사제서품을 받을 자격을 얻었다.

그렇지만 그는 성직자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하기는 했어도 성직에 몸담을 수는 없었다. 신앙과 이성 사이의 쉽지 않은 타협이었던 당대의 프로테스탄트 신학은 결코 그의 영혼을 안전하게 기대도록 해주지 않았으며, 그리스도교 교리를 받아들이는 일은 그리스 신화에의 몰두와 전적으로 양립할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그는 그리스 신화에 몰두하면서 그리스 신들을 해와 땅, 바다와 하늘 속에서 인간에게 자신의 존재를 현시하는 실제적인 생명력들로 보게 되었다. 이처럼 전념 대상의 양분에서 오는 긴장이 횔덜린에게는 존재의 영원한 조건으로 남았다. 그는 루터교 목사로서 소명을 받았다고 느끼지는 않았지만 종교적인 직업에 대한 의식은 대단히 강해서, 그에게 시인이란 신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는 성스러운 기능을 수행하는 이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1793년 프리드리히 실러에게 소개를 받았고 그의 추천을 받아 처음으로 가정교사직을 얻었다.

그후 여러 번 가정교사를 했지만 만족스럽지 못했다. 실러는 다른 방식으로도 횔덜린을 도와주었다. 그가 만드는 〈신(新)탈리아 Neue Thalia〉라는 정기간행물에 횔덜린이 쓰기 시작한 시 일부와 소설 〈히페리온 Hyperion〉의 일부를 실어주었다. 〈히페리온〉은 그리스의 자유를 위하여 싸우던 전사의 환멸을 그린 비가조 이야기로 미완성에 그쳤다.

횔덜린은 실러를 대단히 존경했다. 그는 1794년 예나로 가기 위하여 가정교사직을 그만둘 때 다시 실러를 만났다. 횔덜린의 초기 시에는 실러의 영향이 뚜렷이 드러나 있으며, 그가운데 여러 편은 프랑스 혁명이 초기 단계에 약속해주는 듯이 보였던 새로운 세계에 갈채를 보내고 있다. 여기에는 자유·인간성·조화·우정·자연 등에 대한 찬가들도 포함된다.

1795년 12월 가난 때문에 횔덜린은 프랑크푸르트의 부유한 은행가 J. F. 곤타르트의 집에 가정교사로 들어가게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다정다감한 젊은 가정교사는 주인의 부인 주제테에게 깊이 빠져버렸으며, 대단히 아름답고 감수성 있는 이 여인은 그의 애정에 응답했다. 1797년 2월 친구 C. L. 노이퍼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그들의 관계를 "이 비참한 시대에서 정말 헤매고 있던 존재와 맺어진 영원하고 행복한 성스러운 우정"이라고 묘사했다. 주제테는 그의 시와 1799년에 나온 소설 〈히페리온〉 제2권에서 '디오티마'라는 그리스 이름으로 나타나는데, 그녀는 고대 그리스 정신의 화신을 의미했다.

그들의 행복은 짧았고 주제테의 남편과 고통스러운 사건이 있은 다음, 횔덜린은 1798년 9월 프랑크푸르트를 떠나야 했다. 육체적·정신적 동요 속에서도 그는 〈히페리온〉 제2권을 완성했으며 〈엠페도클레스의 죽음 Der Tod des Empedokles〉이라는 비극을 쓰기 시작했다.

이 첫번째 원고는 거의 완성되었으며, 2번째 단편과 3번째 원고도 아직 남아 있다. 이즈음 그에게 아주 민감한 신경증 징후들이 나타나 가족과 친구들을 놀라게 했다. 그럼에도 1798~1801년은 맹렬한 창조력이 발휘된 시기였다. 많은 고귀한 송시(頌詩) 이외에도 위대한 비가 〈디오티마에 대한 메논의 비탄 Menons Klagen um Diotima〉·〈빵과 포도주 Brot und Wein〉가 씌어졌다.

1801년 1월 하우프트빌에서 가정교사를 하기 위해 스위스로 갔지만 주인의 사정이 바뀌어 결국 횔덜린은 같은 해 4월 집으로 돌아갔다.

실러의 영향력으로 예나대학교에서 그리스 문학 강사 자리를 얻고자 했으나 실패한 다음, 그는 다시 프랑스의 보르도에서 가정교사 자리를 얻었다. 1802년 6월 주제테 곤타르트가 죽고, 같은 해 여름 횔덜린은 갑자기 보르도를 떠나 걸어서 프랑스를 통과하여 고향으로 향했다.

그가 뉘르팅겐에 도착했을 때는 돈 한푼 없고 정신도 혼란스러웠다. 정신분열증이 더욱 심해져 있었던 것이다. 그는 집에서 친절하고 부드러운 간호를 받은 결과 다소 회복되는 듯이 보였다. 〈평화의 축제 Friedensfeier〉·〈유일자 Der Einzige〉·〈파트모스 Patmos〉 같은 1802~06년의 시들은 미치기 직전의 정신에서 쓴 작품들로 비할 데 없이 장엄한 묵시록적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소포클레스의 비극 〈안티고네 Antigone〉·〈오이디푸스 왕 Oedipus Tyrannus〉을 운문으로 완역하여 1804년에 출판했다. 같은 해에 헌신적인 친구 이자크 폰 싱클레어가 그를 위해 헤센홈부르크의 영주 프리드리히 5세의 사서라는 한직(閑職)을 얻어주었다. 싱클레어 자신도 온당한 급료를 주었으며 그의 보살핌과 동료애 속에서 횔덜린의 정신상태는 현저하게 좋아졌다. 횔덜린이 정신이상이라는 사실을 부인하던 싱클레어는 1805년 반체제활동을 했다고 무고를 당해 5개월 동안 수감되었다. 그가 석방되었을 때 횔덜린의 병은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빠져 있었고 튀빙겐의 병원에서 한차례 발작을 일으킨 다음에는 어떤 목수의 집으로 옮겨졌으며, 정신착란의 그늘 아래 이후 36년이라는 세월을 보내다가 거기서 죽었다.

횔덜린은 정신적으로 균형을 잃기 2년 전에 〈고향 Die Heimat〉이라는 송시의 결말부에서 자신의 운명을 요약했다. "하늘의 불을 우리에게 빌려준 저 신들은 성스러운 슬픔도 같이 주었다네/두어라. 지상의 아들인 나, 사랑하고 고통받도록 태어난 듯하구나."

횔덜린은 생전에 거의 인정을 받지 못했고 100년 가까이 거의 완전히 잊혀져 있었다.

20세기초 비로소 그는 독일에서 재발견되었으며, 독일어로 시를 쓴 뛰어난 서정시인 가운데 한 사람이라는 명성이 유럽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오늘날 그는 가장 위대한 독일 시인의 반열에 세워져 있고, 특히 그의 뛰어난 표현양식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그는 고전 그리스 운문형식을 독일어에 성공적으로 이식시킨 전무후무한 시인이다. 격렬한 열정으로써 그는 그리스도교 신앙과 종교적 정신 및 고대 그리스의 믿음들을 조화시키고자 노력했고 영혼의 부활과 '신들로의 회귀'를 예언했으며 철저히, 고도로 민감하게, 그렇기에 유달리 상처받으면서 자신을 예술에 바쳤다.

=========================///===

첫눈에 반했다가 미쳐 버린 사랑 

 


횔덜린과 주제테 부인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까지 활동한 독일의 서정시인이자 소설가인 프리드리히 횔덜린의 생애는 그 어떤 드라마보다 극적이다. 

연극의 제1막은 튀빙겐 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나서 성직자의 길을 가야 했던 그가 사제 서품을 받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 대학 시절에 그리스 신화를 성경만큼이나 열심히 읽은 그는 고대 그리스 시의 고전적 형식을 독일 시에 도입할 꿈을 가진 시인 지망생이었다. 그는 시인이 되고픈 꿈 때문에 성직을 포기하고 당대 최고의 시인 실러의 소개로 가정교사를 시작한다. 

그의 나이 26세 때였다. 두번째로 들어가게 된 집은 프랑크푸르트의 부유한 은행가 야콥 곤타르트의 집이었다. 그의 운명은 이 집에 들어간 첫날 뒤바뀐다. 

“어서 오십시오. 아내하고 아이가 조바심을 내며 선생을 기다리고 있었소. 소개해 주신 에벨 박사님은 선생님 칭찬에 정신이 없더군요.”

이렇게 인사말을 한 주인 곤타르트는 곧바로 아내 주제테와 딸 앙리를 소개한다. 횔덜린보다 한 살이 많은 주제테 부인은 그때 결혼 10년째로, 이미 네 아이의 어머니였음에도 젊음과 미모를 간직하고 있었던가 보다. 횔덜린은 부인의 아름다움에 큰 충격을 받는다. 흔히 하는 말로 첫눈에 반해 버린 것이다. 부인은 그 시대의 유명한 조각가 온마하트가 흉상을 만든 데서도 알 수 있듯 대단한 미인이었다. 게다가 신비스런 우아함, 예의바른 행동, 타고난 소박함 등 매력적인 요소를 두루 갖고 있어 횔덜린은 날이 갈수록 더욱더 사랑의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부인은 그의 시 속에, 특히 불후의 명작 소설 <히페리온>에 디오티마라는 그리스 이름으로 그려지는데, 고대 그리스 정신의 화신이었다. 

한 집에서 날마다 부인을 본다는 것은 더할 나위 없이 큰 기쁨이었으나 한편으로는 엄청난 고통을 수반하는 것이었다. 약간의 실수로도 구설수에 오를 수 있었고, 바로 실직자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횔덜린의 활화산과 같은 연정을 부인은 곧바로 눈치채게 되었다. 우락부락하게 생긴 남편과 젊고 잘생긴 시인 사이에서 주제테 부인은 어떤 선택을 했을까? 비극의 제2막은 부인이 횔덜린의 사랑을 받아들인 데서 시작된다.

두 사람의 사랑은 살얼음판 위를 걷는 것이었다. 눈인사, 목례, 독서 토론, 산책, 티 타임…. 횔덜린은 친구에게 쓴 편지에서 부인과의 관계를 '이 비참한 시대에 나눈 영원하고 행복하고 성스러운 우정'이라고 했지만 그 이상까지 이어졌을 것이다. 

어느 날 부인은 수심 가득한 얼굴로 횔덜린에게 몇 가지 충고를 한다. 앞으로는 남들 앞에서 다정하게 불러선 안 되며, 뚫어지게 쳐다봐서도 안 되고, 손을 잡아선 절대로 안 된다고…. 

이런 식의 가슴 졸이는 사랑이 언제까지나 이어질 수는 없는 법이다. 그들의 행복은 2년 반을 넘기고는 끝나고 만다. 소문은 온 도시에 퍼졌고, 결국 곤타르트도 이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그는 횔덜린에게 모욕을 준 뒤 집에서 쫓아내 버린다. 여기서 2막이 끝나는데, 진정한 비극은 아직 시작된 것도 아니었다. 

아주 예민한 신경의 소유자였던 횔덜린은 프랑크푸르트를 타의에 의해 떠난 이후 신경쇠약이 심해진다. 2년 정도 부인과 편지를 주고받지만 그것은 고통을 심화시킬 뿐이었다. 부인을 생각하며 미칠 듯한 심정으로 쓴 시는 그대로 독일문학의 주옥편이 된다. 

횔덜린은 부인과 헤어진 지 불과 4년 뒤에 친구의 편지를 통해 부인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진다. 그녀는 어처구니없게도 아이들도 걸렸다가 나은 풍진에 걸린 지 열흘 만에 숨을 거두고 만 것이다. 

친구 요한나의 집에 의탁하던 횔덜린은 말없이 자기 방으로 들어가 친구가 깜짝 놀랄 정도로 소리를 지르고 주먹으로 가슴을 친다. 머리를 쥐어뜯으며 고함치고 의자를 집어 들어 벽을 치더니 급기야 대야, 양동이, 발판 따위의 집기를 창 밖으로 내던지며 발광한다. 

제4막은 36년 동안이나 계속된다. 1806년에 정신이상자가 된 횔덜린은 무려 36년을 병원과 요양원에서 그 상태로 살다가 죽는다. 주제테 부인과의 만남과 사랑이 없었더라면 그가 그런 식으로 생의 나락에 떨어져 살다 갔을까? 

/필자 : 이승하 시인 
출처 : 월간《좋은생각》 

 

 

삶의 절반 프리드리히 횔덜린

 

 

 

 

노란 배와 거친

장미들이 가득 매달린,

호수로 향한 땅,

너희고결한 백조들,

입맞춤에 취한 채

성스럽게 담백한 물 속에

머리를 담근다.

 

슬프도다겨울이면나는

어디서 꽃을 얻게 될까또한

어디서 햇빛과

지상의 그림자를?

장벽은 말없이 냉혹하게

그냥 서 있고바람결에

풍향기 소리만 찢긴다.

 

 

[빵과 포도주박설호 옮김민음사, 1997

 

 

"폭풍 중 가장 성스런 폭풍 가운데나의 감옥의 벽 허물어지거라./ 하여 보다 찬란하고 자유롭게내 영혼 미지의 나라로 물결쳐 가라." 횔덜린이 생전에 쓴 시 운명의 일부분인 이 시구는 횔덜린의 묘비에 새겨져 있다이 짧은 시구는 비극적 생애를 살다 간 횔덜린의 일생을 요약적으로 보여 준다시인이라는 소명을 투철하게 살다 간 시인 횔덜린젊은 시절 횔덜린의 둘레를 둘러싼 것은 고독과 좌절이었고반생(半生)을 산 이후 횔덜린을 포박한 것은 정신 질환이었다. 1770년 네카어 강변의 라우펜(Lauffen)에서 출생한 그는 1806년부터 정신병 치료를 받기 시작했다병세가 악화되는 그를 최후까지 돌본 이는 횔덜린의 작품에 크게 감명받은 튀빙겐의 목수 에른스트 치머(Ernst Zimmer)였다횔덜린은 1843년 타계할 때까지 반구형의 옥탑방에서 치머 일가의 극진한 간호를 받았다그는 무려 38년 동안이나 정신 질환으로 인해 피할 수 없는 유폐 생활을 하면서도의식장애의 정신착란에 시달리면서도시간관념을 잃고 지내면서도 방문객들에게 짧은 시를 지어 헌정하는 등 시인의 직업을 끝까지 천직으로 알고 시의 붓을 내려놓지 않았다.

 

하이데거는 횔덜린이야말로 "시인의 시인"이라고 칭송했다횔덜린이 보여 준 시 쓰기에서의 엄밀성(한 평자는 "횔덜린의 시에는 '법칙적 계산'이 깔려 있고그에게 시는 공예와 같았으며매우 정밀한 구성을 자랑한다."라고 말했다.)을 고려할 때도 그러하지만 시인의 직분과 소명에 대해 횔덜린만큼 절박하게 고민한 시인은 일찍이 없었다는 찬사라 할 것이다가령횔덜린이 "나는 모르겠노라궁핍한 시대에 시인들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빵과 포도주’ 7)라고 썼을 때 이 질문에는 18세기 말 전제정치하에 놓여 있던 독일의 현실 사회를 매섭게 비판하는 시인의 절규그리고 그 사회를 개혁하려는 시인의 사명감이 동시에 녹아 있었다횔덜린은 물신주의와 속물 의식을 내몰고, "축복의 요람그리스의 정신과 프랑스 혁명의 자유평등박애주의를 자신이 살고 있는 땅에 구현하고자 "종종 울면서 분노"했다그것은 고귀하고 "다정한 정신"이며, "사악한 혼란의 죄를 다시금 씻어 주"는 "사랑스럽고 해맑은 평화"였다아울러 인간의 내면에 신성(神性)을 회복시키는 일이기도 했다그는 그의 조국을 향해 부르짖듯이 열렬히 노래했다. "어리석은 아이가 목마를 타고 앉아자신을 대단한사람으로 생각한다면결코 아이를 비웃지 말라,/ 오 너희 선한 사람들이여또한 우리들 역시행위는 부족하고사고는 풍부하구나!"('독일 사람들에게')라고.

 

 

 

횔덜린이 스케치로 그려낸 자화상(1842)

 

이 시는 1803년 창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시를 압도하는 정서는 비감(悲感)이다이 시의 창작 배경에는 횔덜린이 고결하게 사랑했던 여인,주제테 곤타르트(Susette Gontard)의 죽음이 놓여 있다횔덜린은 주제테 곤타르트를 '디오티마(Diotima)'라고 불렀다. '디오티마'라는 작품을 통해서는 "그대의 노랫가락이나의 감각을 점점 맑게 씻어 주어내 음울한 꿈들은 달아나고나 자신은 다른 사람이 되었노라."라고 썼다이런 대목은 횔덜린이 주제테 곤타르트에게서 그리스적인 아름다움과 이상을 발견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횔덜린에게 "아름다운 태양"이었으며 "찬란한 빛"이었던 이 여인이 이제 지상에 없다. 1연이 사랑의 시간을 보여 주는 것이라면 2연은 실연의 시간사지(死地)에 해당한다사랑의 화신사랑의 여사제의 죽음은 시적 화자에게 측량할 수 없는 엄청난 고통을 안겨 주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시가 연시로만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이 시에는 생성과 소멸,행복과 불행지상적 삶과 천상적 삶이 대비되어 있으며그 양쪽의 차가운 경계를 바라보는 시적 화자의 애상이 짙게 드리워져 있다따라서 이 시는 일생의 후반부를 살아가야 할 시적 화자가 천상적인 존재 혹은 신성온화하고 부드러운 자연의 힘에 의해 지상적 삶의 한계를 극복하고 구원받으려는 간절한 기도의 노래라고도 할 수 있겠다.

 

횔덜린의 작품들은 신과 자연과 인간의 조화와 합일을 노래했다그에게 자연은 신화화된 자연이었으며사랑의 가치를 가르쳐 주는 대상이었다그는 젊은 시인들을 향해 "만약 대가가 너희에게 두려움을 안겨 주면, / 위대한 자연에게 조언을 구하라!"('젊은 시인들에게')라고 권장했으며, "친밀한 정경이여복판으로길이 평평하게 꿰뚫어 가고창백한 달이 떠오르는 곳에저녁 바람이 불어오며자연은 간결하게 서 있고산들이 숭고하게 서 있는 곳에나는 끝내 집으로 돌아가네"('즐거운 삶')라고 노래했다자연의 광휘를 찬탄했으며 자연과 인간이 "하나의 무한한 전체"로 결합되는 것을 소원한 이가 바로 "시인의 시인횔덜린이었다.

 

 

프리드리히 횔덜린 (Friedrich Hölderlin, 1770.3.20~1843.6.7)

1770년 슈바벤의 네카어강변 라우펜(Lauffen am Neckar)에서 수도원 관리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1784년 덴켄도르프(Denkendorf)의 수도원 학교마울브론 수도원학교를 졸업하고 튀빙겐 대학신학과에 들어갔으나어머니의 희망인 신학 공부보다는 고전 그리스어철학시작(詩作),헤겔셸링등의 학우들과의 교류에 열중하였다. 1789년 시인 슈토이들린슈바르트등과 사귀면서 시를 발표하기 시작한다졸업 후 프리드리히 실러의 소개로 가정교사가 되었다. 1796년 프랑크푸르트의 은행가 곤타르트가()의 가정교사가 되었는데그의 부인 주제테와 사랑에 빠진다그녀는 디오티마(Diotima)라는 이름으로 서간체 소설 [히페리온및 그 밖의 많은 시편에 등장하였다. 3년 후 이별을 하고 함부르크고향슈투트가르트보르도 등지를 방랑하였는데이 시기 맹렬한 창작력이 발휘되어 위대한 시들이 쓰였다. 1802년 정신착란 증세가 생기고 1806년부터는 완전히 폐인이 되어 튀빙겐의 목수 치머 일가의 보호를 받으며 36년이라는 세월을 보내다가 죽었다그는 고전 그리스 운문 형식을 독일어에 성공적으로 이식시킨 전무후무한 시인으로서가장 위대한 독일 시인의 반열에 올라 있다. [엠페도클레스의 죽음], [디오티마], [하이델베르크], [빵과 포도주], [귀향], [라인강], [유일자], [파트모스등의 걸작이 있다.

 

 

 

/글 문태준 
======================///

횔덜린 자필 방명록
횔덜린 자필 방명록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83 [문단소식]- 중국조선족 두분 문인 駿馬를 타고 질풍하고... 2024-09-09 0 498
2282 중국조선족시인 백진숙 篇 2024-09-09 0 617
2281 중국조선족시인 리해룡 篇 2024-09-09 0 549
2280 중국조선족시인 박성군 篇 2024-08-31 0 459
2279 중국조선족시인 리선호 篇 2024-08-31 0 537
2278 중국조선족시인 리수길 篇 2024-08-31 0 473
2277 중국조선족시인 리선근 篇 2024-08-31 0 454
2276 중국조선족시인 석화 篇 2024-08-31 0 542
2275 중국조선족시인 김학송 篇 2024-08-31 0 505
2274 중국조선족시인 김화숙 篇 2024-08-31 0 578
2273 중국조선족시인 박춘월 篇 2024-08-31 0 552
2272 중국조선족시인 최강 篇 2024-08-31 0 538
2271 중국조선족시인 김승광 篇 2024-08-31 0 527
2270 중국조선족시인 김국철 篇 2024-08-31 0 503
2269 중국조선족시인 박정근 篇 2024-08-31 0 545
2268 중국조선족시인 최화길 篇 2024-08-31 0 521
2267 중국조선족시인 오정묵 篇 2024-08-31 0 507
2266 중국조선족시인 심정호 篇 2024-08-31 0 519
2265 중국조선족시인 신현철 篇 2024-08-31 0 504
2264 중국조선족시인 리기춘 篇 2024-08-31 0 477
2263 중국조선족시인 김동활 篇 2024-08-31 0 533
2262 중국조선족시인 김상봉 篇 2024-08-31 0 551
2261 중국조선족시인 허도남 篇 2024-08-31 0 568
2260 중국조선족시인 리행복 篇 2024-08-31 0 523
2259 중국조선족시인 전광국 篇 2024-08-31 0 520
2258 중국조선족시인 신철호 篇 2024-08-31 0 539
2257 중국조선족시인 리홍철 篇 2024-08-31 0 564
2256 중국조선족시인 남철심 篇 2024-08-31 0 576
2255 중국조선족시인 황정인 篇 2024-08-31 0 520
2254 중국조선족시인 려순희 篇 2024-08-31 0 516
2253 중국조선족시인 지영호 篇 2024-08-31 0 433
2252 중국조선족시인 홍순범 篇 2024-08-31 0 498
2251 중국조선족시인 박문봉 篇 2024-08-31 0 560
2250 중국조선족시인 변창렬 篇 2024-08-31 0 489
2249 중국조선족시인 신현산 篇 2024-08-31 0 490
2248 중국조선족시인 박동춘 篇 2024-08-30 0 527
2247 중국조선족시인 허동혁 篇 2024-08-30 0 545
2246 중국조선족시인 신창수 篇 2024-08-30 0 535
2245 중국조선족시인 남영전 篇 2024-08-29 0 510
2244 중국조선족시인 김학천 篇 2024-08-29 0 482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