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젓가락의 유래?...
2017년 05월 07일 21시 36분  조회:5122  추천:0  작성자: 죽림
최초의 숟가락과 젓가락은 무엇이었을까

‘은 숟가락을 입에 물고 태어난다(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는 서양 속담이 있습니다. 물려받을 유산이 많은 부잣집에서 태어났다는 뜻이지요. 그런데 왜 포크도 나이프도 아닌 숟가락일까요?

동서고금,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누구나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지만 ‘누구나 사용하는 물건이지만 아무나 사용할 수 없는 물건’이 빈부귀천을 가르는 경우가 많지요. 나무 숟가락으로 밥을 먹는 사람과 은 숟가락으로 밥을 먹는 사람의 형편이 어떻게 다른지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빈부귀천이 따로 없던 시절, 최초의 숟가락은 조개껍질이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숟가락을 쓰기 시작한 중세에는 나무를 깎아 만들었는데 그중엔 공들여 아름다운 문양을 새겨 넣어서 훗날 인기 있는 기념품이 된 것도 있습니다. 바로 영국 웨일스에서 나오는 ‘사랑의 숟가락’입니다. 웨일스에서는 남자가 여자를 사랑하면 나무 숟가락에 아름다운 조각을 새겨서 사랑의 증표로 주었는데 비록 은 숟가락은 아니라도 세상에서 하나뿐인 특별한 숟가락이었습니다.

특별한 숟가락은 우리나라의 각 가정에도 있었습니다. 바로 아버지의 숟가락이지요. 어머니는 아버지의 숟가락과 젓가락이 다른 식구들 것과 섞이지 않도록 특별히 따로 챙겨두었습니다. 또 아버지가 숟가락을 들어야 비로소 식구들의 식사가 시작됐지요. 이처럼 아버지의 숟가락은 가장으로서의 권위를 상징했습니다. 그 숟가락에 밥이 담기고 국물이 담겨 입으로 들어가 피가 되고 살이 되고 가족을 꾸릴 힘을 만들어냈던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아무것도 담지는 못하지만 집을 수 있는 젓가락이 등장한 것은 5천 년 전 중국에서였습니다. 그때는 요리를 익힐 때 필요한 연료가 대단히 귀해서 음식을 빨리 익히려고 식재료를 잘게 잘라서 요리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문득, 누군가 불을 내는 연료로 사용했던 나무의 잔가지 한두 개를 이용하면 작은 음식 조각을 쉽게 집어 먹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이것이 젓가락의 시작이었습니다.

여기까지 말하고 보니 비록 무엇으로 어떻게 만드느냐는 달라도 예외없이 평등한 일이,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기 손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해 밥을 먹는 일 같습니다. 만약 더 이상 그럴 수 없다면 병들거나 죽음을 맞이했다는 뜻이겠지요.



[Daum백과] 최초의 숟가락과 젓가락은 무엇이었을까 – 문득, 묻다 : 첫 번째 이야기, 유선경, 지식너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젓가락은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문화를 상징하는 물건이다우리말 젓가락은 와 가락’(가늘고 긴 모양을 이르는 말)을 합한 것이다숟가락도 유사한 조합이다젓가락을 사용하게 된 것은 중국에서부터다현대 중국어에서는 젓가락을 筷子라 하는데중국인에게 젓가락은 세끼 식사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다그렇다면 중국인들은 왜 음식을 먹을 때 젓가락을 사용하게 됐을까?또 筷子라는 이름은 어디서 유래했을까중국 고대에는 지금 한국과 마찬가지로 젓가락을 라고 불렀다. ‘사기의 宋微子世家에는 紂王이 象牙로 젓가락을 만드니 箕子가 주왕이 상아로 젓가락을 만드는 것을 보니 필경 옥으로 잔을 만들겠구나!’라고 탄식했다는 내용이 나온다여기서 象箸란 상아로 만든 젓가락을 말하는데 기자가 주왕의 사치가 극에 달할 것임을 예측한 것이다약 3천 년 전 은나라 말기에 중국에서 젓가락이 널리 사용됐고 상아와 같이 특수한 재질로 만든 젓가락도 있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중국 전설에 따르면 물을 다스리는데 큰 공을 세운 大禹는 젓가락의 달인이었다대우는 물을 다스리기 위해 애쓰던 시기에는 자신의 집 앞을 세 번이나 지나쳤음에도 단 한 번도 집에 들르지 않았다.공사 진행을 지체할까 염려해 들판에서 식사를 하고 음식이 익으면 바로 먹고 길을 나섰다그런데 음식이 탕 속에서 펄펄 끓고 있을 때는 손으로 건져낼 수 없었다그래서 나뭇가지를 잘라 고기나 야채를 건져먹었는데 이것이 바로 젓가락의 시초가 등장하는 또 다른 고대문헌으로는 禮記가 있다. ‘禮記 曲禮上에 기장밥을 먹을 때는 젓가락을 사용하지 말라(飯黍毋以箸)”는 구절이 나온다당시에는 밥을 먹을 때 손으로 먹는 것이 바른 예절이었고젓가락으로 밥을 헤집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본 것이다.

 

또 같은 편에는 국에 나물이 있는 것은 젓가락을 사용하되 나물이 없으면 사용하지 않는다(羹之有菜者用梜其無菜者不用梜)”는 구절이 있다여기서 은 나무로 만들어 음식물을 사이에 끼우는 젓가락을 말한다지금도 일부 중국인들은 젓가락을 가리킬 때 협제(梜提)란 단어를 사용한다이러한 기록을 통해 중국은 先秦시기에 이미 젓가락을 널리 사용했지만 용도에 제한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밥을 먹을 때는 주로 손으로 먹고젓가락은 뜨거운 국에서 건더기를 건질 때만 썼다.

 

중국 역사상 젓가락을 보편적으로 쓰기 시작한 시기는 나라 때로 여겨진다젓가락을 가리키는 단어가 에서 筷子로 변한 것은 나라 이후의 일이다명나라 때 陸容이 지은 菽園雜記에는민간에도 避諱가 존재하는데 특히 吳中 지방이 심하다가령 (머무른다는 뜻)’나 (뒤집힌다는 뜻)’을 휘해 도 快兒라 한다고 적혀 있다오중 지방은 수운이 발달한 곳이라 배를 타고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았다이들에게 가장 불길한 단어는 배가 뒤집히거나 혹은 멈춰서는 것이라 이와 비슷한 발음을 지닌 단어들을 꺼렸다그런데 멈출 와 젓가락을 뜻하는 의 중국어 발음이 ‘zhù’로 같았다때문에 이 지역 사람들은 젓가락을 지칭할 때 라 하지 않고 快兒라고 불렀다빨리 움직인다는 의미인데 나중에 젓가락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대나무 을 덧붙여 로 만들었다. ‘筷子라는 단어는 이렇게 생겨났다한편쾌자가 외형이 곧고 굽은 곳이 없어 선인들은 젓가락에 여러 가지 美德을 덧붙였다예로五代 王仁裕가 편찬한 開元天寶遺事에 따르면 당 현종 시대에 宋璟이란 재상이 있었는데 지조가 굳고 법을 잘 지켰다고 한다이에 현종은 자신이 사용하던 금 젓가락을 하사해 그의 강직하고 굳센 지조를 표창했다.

 

한국에서 쇠젓가락이 발달한 이유

 

원래 한국인들도 나무로 된 젓가락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쉽게 변형되고 오래 쓸 수가 없자 한국인들은

우리들만의 아주 독특한 쇠젓가락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역사적으로 금속을 다루는 문화가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쇠를 수저에 이용하는 방법이 보편화된 것이죠.

그런데 왜 우리 민족은 금속으로 만든 젓가락을 선호하였을까요?
신라시대 때 김씨가 정권을 잡으면서 금속을 귀하게 여기는 풍속에서

시작하였다고 해석하기도 하지만,

우리네 선조들은 금속젓가락의 내구성과 음식을 잡았을 때 잘 떨어지지 않는 장점을 알았기에

지금까지 선호되어 온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한중일 삼국은 식생활이 달라 젓가락의 크기와 모양이 나라마다 다른데,

중국 사람들은 온 식구가 둘러앉아 식사를 해 음식과의 거리가 멀고

반찬에 기름기가 많고 집기가 어렵기 때문에 젓가락이 길고 굵죠.
반면에 일본 사람들은 밥 그릇과 반찬, 국 그릇을 모두

자기 앞에 놓인 상에서 먹기 때문에 젓가락도 짧습니다.

또 가시가 있는 생선이나 껍데기가 있는 해산물,

우동과 같은 면류를 많이 먹기 때문에 젓가락의 끝 부분이 뾰족합니다.
우리의 젓가락은 지리적 위치 만큼이나 중간입니다.

25㎝ 안팎 길이에 끝은 뾰족하지도 뭉툭하지도 않고 차라리 납작한데

김치와 같은 채소를 집게 편하게 앞쪽이 납작해진 것으로 음식문화의 차이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막을 잡는것은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10 0 4772
1636 [동네방네] - 백고개를 넘어가는 령마루에 별은 더욱 빛난다... 2017-12-10 0 3210
1635 [쉼터] - 중국 조선족대학생들 "조선족의 앞날" 걱정하다... 2017-12-10 0 4024
1634 [쉼터] - 에펠탑은 기억하리... 2017-12-09 0 4605
1633 [쉼터] - 중국 흑룡강 야부리에 "참대곰관" 없다?... 있다!... 2017-12-09 0 5235
1632 [연변 유적비 순례] - 강경애문학비 2017-12-08 0 5118
1631 [타산지석] - 세치 혀끝과 험담... 2017-12-08 0 3300
1630 [이런저런] - 호랑이야, 니 자알 가래이... 2017-12-07 0 3819
162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메말라가는 땅을 살찌우기... /그 외... 2017-12-07 0 4374
1628 [그것이 알고싶다] - "차와 녀자"는 있구!... "차와 남자"는?... 2017-12-07 0 3455
1627 [그것이 알고싶다] - "차 중의 보배 백차"래ㅠ?... 2017-12-07 0 3418
16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07 0 3662
1625 [쉼터] - 10 = 7 2017-12-07 0 3170
162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상식과 "상식"은 그저 일이 아니다... 2017-12-07 0 7217
1623 빈민과 병자, 고아들의 수호자 = 작은 몸짓으로 사랑을... 2017-12-07 0 7210
1622 조선족식, 조선식, 한국식 "우리 글 규범" 언제 통일되나... 2017-12-07 0 3686
1621 [이런저런]-길바닥에 떨어진 물건이라도 그냥 가져가면 처벌... 2017-12-07 0 3968
1620 [쉼터] - 사투리의 비교비평 2017-12-06 0 4003
1619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사투리 달력"을 만들었으면... 2017-12-06 0 4477
1618 [쉼터] - 한반도 팔도 사투리야, 놀아보쟈... 2017-12-06 0 3713
1617 [쉼터] - 전라도 사투리로 쓴 詩 한졸가리 2017-12-06 0 3405
1616 [쉼터] - 강원도 사투리로 한 얘기 한토리 2017-12-05 0 3746
1615 [이런저런] - 8년 = 7억원 2017-12-05 0 3409
1614 [이런저런] - 7천원 = 4천만원 2017-12-05 0 3479
1613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산천어축제"가 있었으면... 2017-12-05 0 3106
1612 [이런 저런] - "아예 '교통경찰' 시킬가ㅠ"?... 2017-12-05 0 4766
161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건축쓰레기"?!... 2017-12-05 0 3750
1610 [그것이 알고싶다] - "마치 쟁반 위에 앉은 파리처럼"?... 2017-12-05 0 3923
1609 [그것이 알고싶다] - 동물들도 "부부"가 함께 살까???... 2017-12-01 0 4345
1608 [고향문단소식] - 고향과 청보리와 엄마의 세월... 2017-12-01 0 3753
16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변소혁명"... 2017-11-30 0 5013
16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금 지구는 무섭게 앓고 있다... 2017-11-30 0 3485
1605 [타산지석]-우리 연변 민족 대학가에서도 떡메춤.도리깨춤을... 2017-11-27 0 4289
1604 [쉼터] - 세상은 넓고 세상은 살맛나고지고... 2017-11-27 0 4853
1603 [이런저런] -중국 중경시에 "S"형 컬러 도로가 없다?... 있다!... 2017-11-27 0 3464
1602 [이런저런] - "송이버섯" 인공재배 된다고???... 2017-11-27 0 3164
1601 [타향문단소식] - "흑토에서 흘러온 훈훈한 문단분위기"... 2017-11-27 0 3116
1600 [타향문단소식] -"문학적 혼을 공유하는것" 절대 미룰수 없다... 2017-11-27 0 3575
1599 [타산지석]-우리 연변 학교들에서도 "전통민요라디오체조"를... 2017-11-21 0 4598
15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호야, 너와 나와 놀아보쟈... 2017-11-20 0 4565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