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뒤늦게야 밝혀진 반일독립운동가 윤낙세
조글로미디어(ZOGLO) 2015년8월17일 08시34분    조회:2622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독립운동가 윤낙세에 대한 고찰

(흑룡강신문=하얼빈) 윤낙세(1877 ~ 1929)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 1910년대와 1920년대에 간도와 로씨야를 무대로 반일투쟁에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이다. 1910년대초에는 권업회, 기독교우회 등 단체를 통해 군자금 모집 및 반일선전활동을 하였고 1910년대말에는 무장독립운동 단체인 신민단에서 련락부장으로 활약하였다. 1920년 《경신년대토벌》이후에는 로씨야 수이푼(秋豊)일대에서 한족공산당 위생부장, 고려혁명군 외교부장에 선임되여 활동하면서 반일운동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에 한국정부는 2013년 윤낙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윤낙세 독립운동가

자료의 부족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윤낙세의 공적은 지금까지 세인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못하고있으며 력사의 뒤안길에 가리여있다. 필자는 광복 70주년에 즈음하여 종래 주목받지 못했던 독립운동가 윤낙세를 통해 1910년대와 20년대 간도 및 로씨야 지역의 독립운동에 대해 고찰하려 한다.

1. 간도로의 이주 및 반일활동

윤낙세는 1876년 일본에 의해 《강화조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877년 조선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하였다. 일제의 침략으로 날로 국운이 기울어지는 조선에서 동년과 청년시절을 보내면서 민족과 나라를 구하려는 큰 뜻을 지니게 되였으며 반일운동의 터전으로 되고있었던 간도(1)로 이주하였다.

오늘날 연변지역의 대부분을 일컫는 간도는 두만강을 사이두고 조선반도의 북부와 이어져 있으며 1860년대에 이미 조선인의 집단적인 이주가 시작되였다. 조선인들의 수전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중국 당국은 이에 대해 별다른 간섭을 하지 않았고 조선에서는 간도를 조선민족이 이주할만한 복지(福地)라고 하였는바 1910년 조선이 일제에 의해 합병되면서 많은 조선인들이 새로운 생활의 근거지를 찾아 간도로 이주하였다. 1908년 간도에 거주한 조선인은 9만 1000명에 불과했으나 1911년에는 12만 7500명, 1912년에는 16만 3000명으로 증가하여 급속한 증가세를 보였다.(2)간도의 개발 및 조선인 집거구역의 형성은 윤낙세를 포함한 많은 반일운동가들이 간도를 활동무대로 선택한 주요 원인으로 되였다.

1910년대에 간도에서는 여러 단체들이 활동했는데 특히 권업회(勸業會)(3)는 각지에서 토지를 구입하여 농장을 설립하는것을 통해 반일정서를 가지고있는 조선인들을 모았고 교육을 통해 이들의 애국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경제적 실력을 배양함으로써 추후 국권회복을 위한 실제적인 일들을 하였다.

상술한 배경에서 윤낙세는 간도에 이주한후, 1912년 권업회의 명의로 당시의 연길현(延吉縣) 토문자(土門子-훈춘에서 동쪽으로 22-23리 떨어져 있음) 당시 로씨야 화페 1500원에 달하는 121경(耕)의 토지를 구입하여 농장을 설립하였고 이를 통해 조선인들을 규합하고 반일사상을 고취하였다.(4)

당시 간도에서는 기독교 등 여러 종교단체들도 종교활동을 통해 반일사상을 고취하였는데 훈춘선인기독교우회(琿春鮮人基督敎友會)가 바로 그중의 하나이다. 훈춘선인기독교우회는 1913년에 설립되였고 종교의 전파 및 계몽을 표방하였지만 실제 목적은 반일정신을 고취하는데 있었으며 1916년에는 회원수가 2000명에 달하는 큰 규모의 단체로 되였다. 윤낙세는 1913년 혹은 1914년에 기독교우회에 가입한것으로 보이며 1915년 12월 15일까지 과원(課員)으로 활동하였고 당시의 직업은 약업(藥業)으로 표기되였는바 농장을 경영하는외에도 여러 가지 직업을 가지고있었던것으로 보인다.(5)

윤낙세는 상술한 단체들을 통해 반일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였으며 1918년경에는 훈춘현 왕팔발《파》자(王八脖《把》子)에 거주하면서 흑룡강성 애훈현(愛琿縣)의 조선인 반일 비밀결사조직과도 련락을 취해 공동으로 반일활동을 도모하였다. 윤낙세는 주로 훈춘지역 반일단체와 애훈현 비밀결사조직과의 련락 및 반일인사들의 규합 등 역할을 하였으며 이르크츠크로부터 총기 수백정을 밀수하여 앞으로의 반일무장투쟁을 위한 준비를 하였다. (6)

2. 항일무장투쟁에 투신 - 신민단 및 국민단에서의 활동

1919년 3월 1일 조선에서 거국적인 3.1운동이 폭발한후 간도의 룡정에서 3월 13일 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조선 독립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으며 이는 화룡, 훈춘, 왕청 등 간도 전역에 파급되였다.

간도의 조선족집거지역에서 온양되고있던 반일운동은 조선의 3.1 운동의 영향하에 폭발하였는바 룡정의 3.13 반일군중집회가 그 발단으로 되였다. 당시 간도는 조선족이 약 76%를 차지하는 집거지역으로 이미 반일투쟁의 중심으로 되였다. 비록 3.13 운동이 군경찰의 탄압으로 인해 실패하였지만 같은 해 5월 1일까지 간도의 30여개 곳에서 반일군중집회가 50여차 열렸고 8만 1000여명이 참가하였다.(7)

윤낙세의 후손인 윤운걸씨(우 세번째)가 한국에서 열린 《2015년 제2회 호국영령 합동 위패봉안식》에 참가했다

하지만 1919년 3-4월 사이에 간도를 중심으로 한 반일운동은 일제의 탄압에 의해 실패하게 되며 반일단체들은 무력으로 일제에 대항하게 되는바 많은 반일무장대오가 조직되였다.

1919년 당시 훈춘현내에는 여러 단체들이 활동하였는데 대한국민회와 대한신민단이 가장 대표적인 단체였다. 국민회는 동구 대륙도(東溝大六道) 아래의 훈춘 평야 및 황구(黃溝) 지역에 근거지를 두고있었고 신민단은 흑정자(黑頂子) 일대 대판령(大盤嶺)의 동쪽 부락 및 라자구(羅子溝)와 동구 초모정자(東溝草帽頂子)에 두개 곳에 나뉘여 있었다.

대한 신민단은 구한말의 신민회를 계승한 단체로서 기독교 장로교파 목사이며 신민회 회원이였던 김규면(金圭冕)을 중심으로 주로 대한기독교(일명 성리교-聖理敎) 신도들이 1919년 3.1운동 직후 간도와 로씨야 연해주에서 결성한 독립운동 단체이다.(8)1920년에 단원이 200명이 달하는 단체(9)로 발전하였는바 비록 규모는 크지 않았으나 훈춘지역의 주요 반일운동단체로 일제와 무장투쟁을 벌였다.

상술한 단체들은 단체 구성원들이 반일무장투쟁에서 활약하는외에도 당시 간도에서 류학하고있는 학생들을 통해 반일 선전 및 정찰 등 활동을 하기도 하였는바 반일시위 운동이 고조되였던 1919년경부터 윤낙세, 한경서 등은 일제에 의해 반일운동의 거두로 지목되였으며 이들의 거처는 반일단체의 련락과 정찰 또는 반일활동을 위한 거점으로 리용되고있었다. 당시 윤낙세는 윤룡서(尹龍瑞)·윤인송(尹仁松) 등과 함께 주로 훈춘경내의 동구 초모정자(東溝草帽頂子)의 춘화향(春化鄕) 왕팔발《파》자(王八脖'把'子)에서 대한 신민단(大韓新民團)의 련락부장, 국민단의 총찰로 활동하였다.(10)왕청현 및 로씨야에 왕래한 행적도 뚜렷한것으로 나타나 있다.(11)

3. 로씨야 한족(韓族)공산당, 고려혁명군에서의 활동

1919년 하반기부터 반일시위운동이 간도 및 간도와 조선 국경지대에서의 반일무장투쟁으로 표출되면서 간도를 포함한 해외무장투쟁이 독립운동의 주력으로 부상하게 되였다. 이에 일제는 대규모의 토벌을 계획하였고 이른바 《훈춘사건》을 조작하였으며 이를 빌미로 간도에 출병하여 훈춘지역을 중심으로 한 간도지역에 대한 《경신년대토벌》을 감행하였다. 《간도대토벌》이라고 불리는 《경신년토벌》로 인해 독립군이 토벌되여 반일운동은 저조기에 들어가게 되였으며 학살된 조선인은 3만명에 달했다.(12)

《간도대토벌》로 인해 간도지역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들이 속속 당시 조선 독립운동의 주요 근거지가운데 하나였던 로씨야로 이동하였다. 윤낙세 역시 토벌을 피해 로씨야 수이푼(秋豊)으로 이동하였으며 로씨야를 무대로 한족공산당과 고려혁명군에서 활동하였다. 1921년 토문자(土門子) 오지인 바라바시 북쪽지역에는 반일사상을 가지고있는자들이 왕래하고있어 인심이 동요되고있으며 반일사상을 가진자들의 선전 및 모금은 일본군의 연해주 철병의 시작과 더불어 점차 조직적으로 이루어져 인심이 악화되고있으면서 일본과 중국 관헌의 신경을 건드리고있었다.

1921년 노령 수이푼(秋豊) 송전관(松田關, 일명 솔밭관)에서 한족(韓族)공산당이 조직되였는데 총사령 부장(部長)에 함경북도 온성군 출신인 최문세(崔文瑞)가 선임되었다. 한족공산당은 군부와 행정부로 나뉘어져 있었느데 군부(軍部) 병졸(兵卒) 150여명, 행정부(行政部) 병졸 약 60명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매주 1회 반일 사상을 고취하는 경고문을 살포하여 반일사상을 고취하였고 한족공산당 경무부(警務部)에서는 통행권(通行券)을 발부한후 통행권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 소재 지역에서의 려행을 금지시키기도 하였다. 한족공산당은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로씨야 과격파들과 련합하여 반일활동을 진행하고있었으며 윤낙세는 한족공산당에 가입하여 위생부장으로 선임되여 활동하였다.(13)로씨야에 간후에도 윤낙세는 로씨야와 중국경내를 넘나들면서 반일활동을 하였는바 1922년 훈춘현 마적달(馬滴達) 지방에 잠입하여 독립운동 자금 모집과 선전 활동을 전개하였다.(14)

1923년 포조(浦潮)공산당 고려부는 훈춘지역에서 당세(黨勢)를 확장하기 위해 한경서(韓京瑞)를 지부장(支部長)으로 지명하여 선전서의 배포 및 련락 등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윤낙세는 주병칠(朱丙七) 등과 함께 훈춘의 왕팔발《파》자(王八脖'把'子)에 래왕하면서 소총 수십자루와 탄약을 마차에 실어 로씨야 중국 국경을 거쳐 수이푼 지역의 반일단체에 수송해주고 정보를 수집해주었으며 선전활동을 하였다.(15)

그 이후, 1924년 12월 로씨야 수이푼과 스찬(蘇城) 부근에 있던 반일단체는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으로 개칭되였는데 고려혁명군은 공산주의 리념을 표방함과 동시에 항일독립전쟁을 수행하는 독립군 부대였다. 고려혁명군내의 정치활동은 이르크츠크파 고려공산당이 지도하였고 윤낙세는 외교부장(外交部長)에 선임되여 활동하였다.

1924년 윤낙세는 한경서 등과 더불어 군자금(軍資金)을 모집하였으며 로씨야와 중국경내를 넘나들면서 변경 및 기타 지역에서 금품을 모아 총기를 사들이는 등 활동을 전개하였다.(16)이 시기 윤낙세는 훈춘에 체류하면서 반일활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윤낙세, 한경서 등 19명이 일제에 의해 소환하여 조사를 받은 기록이 남아있다.(17)

참고문헌:

  (1) 현재의 룡정, 화룡, 훈춘, 왕청 지역을 가리킨다.

  (2) 《東北地區朝鮮族革命鬪爭資料彙編》(楊昭全, 李鐵環, 1990년),293면.

  (3) 1911년 5월 리종호(李鍾浩)·김익용(金翼鎔)·강택희·엄인섭 등이 주축이 되여 울라디보스또크 신한촌에서 조직한 항일독립운동 단체이다. 권업회는 주로 조선인 지위의 향상과 반일투쟁을 위한 경제적 실력배양에 힘썼으며 조선인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4)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2003) 제39권 117면,獨立運動史料(국가보훈처) 중국편⑨ 70면.

  (5)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2003), 제40권 112면,獨立運動史料(국가보훈처) 중국편⑨ 70면,琿春鮮人基督敎友會役員名簿에關한件(1916. 3. 13)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5.

  (6)排日鮮人의動靜에關한件(1918. 5. 6)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6

  (7) 《朝鮮族革命鬪爭史》(黃龍國编, 1988), 39면.

  (8) 《现代史资料》(姜德相编) 26,“朝鲜” 2, 177면. <독립운동에 관한 건>(國外日報제104호)

  《韓國獨立運動史》(國史編纂委員會, 2003) 제41권 197~198면에는 김규만(金圭晩)으로 기록되어 있다.

  (9) 《東北地區朝鮮族革命鬪爭資料彙編》(楊昭全, 李鐵環, 1990년),454면.

  (10)韓國獨立運動史資料(國史編纂委員會, 2003) 198면.

  自決運動團隊및 運動者의件(1919. 5. 8)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10

  琿春縣東溝지방의情況에關한件(1924. 11. 22),不逞鮮人行動其他에關한件(1924. 12. 4)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40

  (11) 《朝鮮獨立運動》(金正明, 1967) 제5권 270면.

  (12) 《일본제국주의의 동북침략사》(김기봉, 방영춘, 권립编, 1987), 73면.

  (13)沿海州韓族共産黨의行動에 관한件(1922.5.12)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鮮人과過激派3

  (14) 《朝鮮獨立運動》(金正明, 1967) 제5권 247면.

  (15) 《朝鮮獨立運動》(金正明, 1967) 제5권 256-257면

  (16)琿春縣東溝지방의情況에關한件(1924. 11. 22),不逞鮮人行動其他에關한件(1924. 12. 4)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40

  (17)琿春縣東溝지방의情況에關한件(1924. 11. 22),不逞鮮人行動其他에關한件(1924. 12. 4)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部-在滿洲의部 40

  [윤낙세 독립운동가 후손:장손 윤운일 연변총공회에서 근무,현재 퇴직,차손 윤운걸 흑룡강신문사 기자,차녀 윤운실 연변방직공장 기술원.]

  /산동연태대학 외국어학원 우영란 교수 정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72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옛날 옛적의 이야기이다. 해상 교통로를 따라 산동(山東)반도에 상륙한 신라인들은 다시 육상 교통로를 따라 내륙으로 향했다. 바닷가부터 두발로 날마다 백 리 지어 몇백 리를 이어지는 여로에서...
  • 2016-05-10
  •       (흑룡강신문=하얼빈) 정강산(井岡山)의 이름은 강서성 서남부의 산골마을에서 시작된다. 시초에는 마을 주변에 산이 둘린 지세가 우물을 방불케 하고 또 마을에 강이 흐른다고 해서 우물과 강을 합쳐 '정강산촌(井江山村)'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그런데 현지인들의 발음에서 물 이름 '강...
  • 2016-04-25
  • 1999년 교수 집서 강탈한 문화재 강도·장물취득 시효 만료됐지만 은닉죄는 경매 출품때 시효 시작   1999년 1월 25일, 대전의 한 대학 한문학 교수 조모씨의 집에 30대로 추정되는 괴한 둘이 들이닥쳤다. 이들은 문화재 13점을 훔쳐 달아났다. 도난품 중에는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기이(紀異)편 1책(한 ...
  • 2016-04-22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서호(西湖)의 기슭에 이른 후 제일 먼저 만난 건 실은 시인이었다. 호수를 다리처럼 가로타고 남북으로 길게 누운 언제, 그 언제 어귀에 시인 소식(蘇軾)의 조각상이 그 무슨 표지석처럼 우두커니 서있었다. ...
  • 2016-04-21
  • 특별기고-겨레홍군 장정 발자취 따라(3) ■ 리 함 2013년 8월 27일 오전, 영신현성을 떠난 택시는 룡원구다리를 거쳐 계속 삼만개편 현지로 달린다. 삼만개편 현지를 이룬 삼만촌은 영신현서부의 구롱산 북쪽(九陇山北麓), 영신-정강산-련화(莲花)-호남 차릉(茶陵 )4개 현, 시의 교차지에 위치하고있었다. 현성과의 거리가...
  • 2016-04-13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산에는 '나무꾼과 선녀'의 설화가 있다. 옛날 옛적에 나무꾼이 사슴의 보은으로 선녀와 부부를 맺게 되었다고 하는 천상 연분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보타산(普陀山)의 산길에는 나무꾼이 ...
  • 2016-03-17
  • (사진설명: 젊은 시절의 전병균) (사진설명: 황포군관학교 옛터) 1926년, 중국에는 대륙을 돌풍처럼 휩쓴 전쟁이 일어난다. 광동의 국민정부가 국민혁명군을 주력으로 삼아 진행한 통일전쟁이었다. 훗날 이 전쟁은 일명 '북벌(北伐) 전쟁'으로 사책의 한 페이지를 기록한다. 북벌전쟁에는 여타의 전사(戰史)처럼 많...
  • 2016-03-12
  • (흑룡강신문=하얼빈) 솔직히 행선지에 가면서 제일 먼저 눈앞에 떠올린 건 원숭이였다. 자칫 '붉은 원숭이의 해' 즉 2016년 병신년(丙申年)에 시작한 첫 답사 때문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행선지에는 삼척동자도 다 알고 있는 손오공(孫悟空)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었다. 손오공은 신괴(神怪) 소설 《서유기(西...
  • 2016-03-04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솔직히 뭔가 빗나가는 것 같다. 산이 아니라 식탁에서 시작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야채 가지(茄子)를 경상도에서 궁중에 진상하였다는 내용은 《춘관통고(春官通考)》(1788) 등 문헌에 기록되어 있...
  • 2016-02-18
  • 실무 주역 서학동 市 부국장 "일본의 '安=테러리스트' 주장, 역사적 자료로 누르고 싶었어요"    안중근기념관 설립을 주도한 조선족 3세인 서학동 하얼빈시 문화국 부국장이 안중근 의사 초상화 앞에서 기념관 내부를 설명하고 있다. /손진석 기자 1909년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
  • 2016-01-27
  •   (흑룡강신문=하얼빈) 윤운걸 길림성 특파원=연길시에서 국내외 예술단체들이 공연할때면 어김없이 '연변예술극장'(후에 로동자문화궁으로 개칭,이하 극장으로 약칭)을 리용한다. 그런데 이 극장터가 바로 일제시기에 악명높았던 연길감옥옛터라는것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   이 극장 남쪽에는 &...
  • 2016-01-22
  • 중국에서 활동한 항일투사들의 유적 답사기 '역사를 따라 걷다' 2권을 발간한 독립기념관 김주용 선임연구위원. 김주용(46) 독립기념관 선임연구위원이 중국 일대 답사를 통해 발굴한 무명 독립운동가의 활동상과 유적지를 소개한 ‘역사를 따라 걷다’2권을 18일 출간했다. 일제강점기 해외독립운동사 ...
  • 2016-01-19
  • 항저우임정청사 0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11기 독립정신답사단이 21일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항저우 청사를 둘러보고 있다. / 사진 = 손지은 기자 @sson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11기 독립정신답사단] 중국 내 임시정부 초기 발자취 찾아나선 2400km의 대장정 상하이-자싱-항저우-난징까지 이...
  • 2015-12-30
  • 최고 지도부 참석, 대일 메시지 전달 예정 (난징=연합뉴스) 정주호 특파원 = 중국이 78년 전 중국 난징(南京)대학살 희생자를 기리는 국가 차원의 추모행사를 올해 두 번째로 거행한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처음으로 제정된 난징대학살 희생자 국가추모일을 맞아 13일 대학살의 현장인 장쑤(江蘇)성 난징 시내 '난징대...
  • 2015-12-13
  • 국정교과서에 당시 열악한 경제 상황도 설명 교육부, 편찬기준 새누리 보고 정부와 새누리당은 2017년부터 중·고교에서 쓰일 국정 역사 교과서에 ‘5·16 군사정변’이란 용어를 현행처럼 사용하되 당시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았다는 부분을 함께 서술하기로 했다. 또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등 ...
  • 2015-12-11
  • 지난 11월 10일, 서울시 영등포구청에서 공무원들을 상대로 조선족이해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재한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 김정룡소장.   재한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 김정룡소장   (흑룡강신문=하얼빈)나춘봉 서울특파원= “조선족들은 죽기살기로 항일에 나섰다. 그래서 연변에 가면 ‘산마다 진달래요. 마...
  • 2015-12-07
  •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국가보훈처는 일제강점기 만주와 중국에서 항일 독립운동을 한 애국지사 우당 이회영 선생의 83주기 추모식이 오는 17일 오후 2시 서울 상동교회에서 열린다고 15일 밝혔다. 우당 이회영 선생 기념사업회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추모식에는 이경근 서울보훈지방청장을 비롯한 200여 명이 참석...
  • 2015-11-16
  • 홍범도 장군 항일투쟁사 새롭게 조명…국제적 평가 위한 자리로 마련 “홍범도 장군이 지휘한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대첩은 중국 조선민족사에 휘황찬란한 한 페이지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동북지역의 반일 무장투쟁에도 빛나는 한 페이지를 남겼다.” (사)여천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이사장 이종찬)가 지난...
  • 2015-10-27
  • 민족출판사 조선어 편집실과 중앙인민방송국 조선어부가 공동 주최한 《중국조선족 항일지사 100인》 항전승리 70주년 기념도서 발간식이 2015년10월23일 오후 북경 민족출판사에서 열렸다. 발간식은 중국인민해방군 공군 리광남대좌, 중앙민족대학 강기주교수, 민족출판사 조선어 편집실 박문봉주임, 중앙인민방송국 조선...
  • 2015-10-26
  • [하얼빈 민족운동사학회 학술회의] 中동북지역 항일 투쟁을 주제로 "일본 제국주의가 중국을 침략했을 때 재중(在中) 한인(韓人) 2만1000명이 항일투쟁에 참가했고, 그중 상당수가 목숨을 잃었다. 이들은 한국의 독립과 민족해방을 위해 싸우는 동시에 중국에서 일본을 몰아내기 위해 투쟁했다." 1909년 안중근 의사가 하얼...
  • 2015-10-26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