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김호림기획련재18] '서유기'에 등장하는 신라의 승려
조글로미디어(ZOGLO) 2016년7월1일 09시52분    조회:3236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아니, 그게 뭐꼬?" 제목을 미리 말했더니 사람들의 한결 같은 반응은 이 물음이었다.

  그러고 보면 이 이야기를 모두 그 무슨 환상소설처럼 여기고 있는 것 같았다. 법어(法語) 같은 화두를 이야기의 꼭지로 삼게 된 이유이다.

  줄거리를 다 빼고 얘기한다면 '서유기(西遊記)'의 주인공 당승(唐僧)처럼 신라의 승려가 서행 즉 '서유(西遊)'를 하고 있었으며 또 진기록을 남기고 있다. '서유기'는 당승 현장(玄奘, 602~664)의 천축(天竺) 여행을 모티브로 삼아 명(明)나라 때 나온 신괴(神怪) 소설이다.

  "그렇다면 신라승려는 '손오공'인가요, 아니면 저팔계인가요? 사오정은 아니구요?"

  손오공(孫悟空)과 저팔계(豬八戒), 사오정(沙悟淨)은 '서유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당승의 천축 여행을 신변에서 수행한 제자이다. 그러나 신라의 승려가 72가지 변신술을 갖고 있더라도 손오공은 물론 저팔계, 사오정으로 둔갑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손오공은 본디 화과산(花果山)에서 살고 있던 원숭이요, 저팔계와 사오정은 죄를 지어 천계에서 쫓겨난 장군이기 때문이다.

  먼저 '서유기'의 주인공 당승의 실존 인물인 현장을 알고 건너갈 필요가 있다. 현장은 당(唐)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 여행가이다. 10세 때 낙양(洛陽)의 정토사(淨土寺)에서 불경을 공부하다가 13세에 승적에 이름을 올려 현장이라는 법명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소설에서 나오는 그의 다른 이름인 삼장(三藏)은 불교 경전을 통칭하는 것으로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 이 세 가지를 의미한다.

  현장은 당시의 한문 불교경전의 내용과 계율에 대한 의문점을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원전에 의거하여 연구하려고 627년 또는 629년 천축 즉 지금의 인도에 들어갔다. 훗날 이 이야기에 살과 피가 덩어리로 붙어서 신괴소설 '서유기'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보다 훨씬 앞서 '서유기'의 추형(雛形)은 벌써 민간에 형성되고 있었다. 유명한 돈황(敦惶) 막고굴(莫高窟)의 서하(西夏) 시기 벽화에 당승 그리고 백마를 끌고 있는 손오공(孫悟空)이 등장한다.

  막고굴은 16국의 전진(前秦)시기부터 시작하여 원(元)나라 때까지 여러 조대를 거쳐 건설, 동굴이 735개 되며 벽화가 4만 5천점 된다. 대륙 서부의 실크로드의 연선에 위치하며 따라서 '실크로드의 보물'로 불린다.

돈황 막고굴 전경.

  바로 이 막고굴에서 또 다른 한편의 '서유기'가 발굴된다. 1900년, 막고굴 장경동(藏經洞)에서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비롯하여 대량의 고서가 쏟아져 나왔다. '왕오천축국전'은 신라의 고승 혜초(慧超, 704~787)가 집필한 여행기이다. 이 여행기에는 천축과 서역 각국의 종교, 풍속, 문화가 기록되어 있다. 잠깐, 혜초는 당승처럼 육로를 선택한 게 아니라 바닷길을 타고 천축으로 갔다.

  어찌됐거나 혜초는 명나라가 아닌 신라의 '당승'이요, '왕오천축국전'은 명나라가 아닌 신라의 '서유기'인 셈이다.

  이맘쯤이면 누군가 글줄에서 눈길을 돌려버리지 않을지 한다. "이게 바로 '제목'에 묻어놓은 복선인가 보네. 그럼 이야기를 더 읽을 필요가 없지 않을까?"

  잠깐, 당승 현장의 제자로 있은 신라의 승려가 진짜로 있었다. 손오공이나 저팔계, 사오정이 아니라 실존한 인물이다. 신라의 승려 원측(圓測)이 바로 현장의 이름난 제자였다. 원측은 신라의 왕손으로서 일찍 3세 때 출가했고 15세 때 구법을 위해 서쪽으로 여행 즉 '서유(西遊)'를 해서 당나라의 서울 장안(長安) 즉 지금의 서안(西安)에 건너갔다고 전하고 있다. 그때가 정관 2년(628년)이니, 현장이 천축으로 떠나던 그 무렵이었다.

  궁금한 이야기부터 한다면 원측은 천축 구법을 선택하지 않았다. 그는 장안에 짐을 풀고 유식학(唯識學) 연구의 개척자인 고승 법상(法常)과 승변(僧辨)을 스승으로 모신다. 유식학은 불교의 종파인 법상종(法相宗)의 성전(聖典)이다. 원측이 제자로 현장을 신변에서 수행하게 된 건 조금 후의 이야기이다.

  이때는 원측이 아닌 다른 신라승려가 현장처럼 천축으로 구도를 떠나고 있었다. 이 인물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삼국유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 일연(一然)이 편찬한 역사서이다. 책은 신라의 승려 아리나(阿離那)가 정관(貞觀, 627~649) 연간 당나라의 서울 장안(長安)을 떠나 오천축(五天竺)으로 갔다고 기록한다. 아리나의 천축 여행은 현장의 구법 시기와 거의 맞물리는 것이다. 아쉽게도 아리나가 현장과 서로 만났는지는 알 수 없다. 아리나를 이어 그 후에도 신라의 승려 혜업(慧業), 현태(玄泰), 구본(求本), 현각(玄恪), 혜륜(慧輪), 현유(玄遊) 그리고 이름 미상의 두 법사가 석가의 교화를 보기 위해 중천축(中天竺)에 가는 등 서유(西遊)를 했다. 그들은 "혹은 중도에서 죽고 혹은 현지 절에 있었으며" 오직 현태만 당나라에 돌아왔으나 어디서 입적(入寂)을 했는지 모른다고 '삼국유사'가 '대당서역구법고승전(大唐西域求法高僧傳)'의 기록을 인용하여 밝히고 있다. 이런 승려를 흠모했던 고려 중기의 승려 각훈(覺訓)도 '해동고승전'에 그들의 전기를 수록했다.

  신라승려가 보리심을 등불로 삼고 옛 실크로드를 따라 바다를 건너고 사막을 가로질러 성지를 순례하면서 구법한 '서유기'는 그렇게 여러 고서에 기록되고 있는 것이다.

  이야기가 그만 다른 데로 흐른 것 같다. 천축에서 유식학을 오랫동안 연구했던 현장은 드디어 645년에 귀국했다. 이때부터 원측은 현장의 문하에 들어가서 또 유식학을 닦았다. 유식학은 결국 원측과 현장을 서로 이어놓는 연기(緣起)가 된 것이다.

  '송고승전(宋高僧傳)'에 따르면 원측은 나중에 무측천(武則天)에 의해 '살아있는 부처'로 존숭(尊崇)을 받았다. 그래서 무측천의 후대(厚待)를 받아 역경관(譯經館)에 있으면서 유식(唯識)의 주석 서적과 기타 경론의 해설을 했다. '대승현식경(大乘顯識經)' 등을 번역할 때 원측은 영변(靈辨), 도성(道成) 등 여러 석학과 함께 증의(證義)를 맡아 함께 18부 34권을 번역했다. 이 무렵 그는 또 고증자(考證者)로서 번역 집단의 우두머리였다. 원측은 어학에 남다른 천부를 갖고 있었으며 중국어, 범어, 서역어 등 6개국 언어에 능통했다고 전한다.

  무측천이 등극한 만세통천(萬歲通天) 원년(696) 7월 22일, 원측은 임종을 앞두고 제자에게 스승의 사리탑 옆에 매장할 것을 부탁한다. 원측의 이 마지막 숙원은 그로부터 400여년 후에 비로소 이뤄진다.

  원측은 원적한 후 처음에는 낙양(洛陽) 용문(龍門)에 매장되었다. 이때 원측의 신라 제자 승장(勝庄) 등이 일부 유골을 장안에 갖고 와서 풍덕사(豊德寺) 근처에 매장하며 송(宋)나라 정화(政和) 5년(1115)에 소릉원(少陵原)의 흥교사(興敎寺) 현장 사리탑 왼쪽에 이장되는 것이다. 소릉원은 장안의 남쪽 약 20㎞ 되는 곳에 위치, 두 강 사이에 끼어 있는 작은 언덕지대이다.

흥교사의 뜰에 있는 현장과 원측, 규기의 사리탑, 오른쪽 탑이 원측 사리탑이다.
 
원측 사리탑에 쓰여 있는 탑 이름.

  와중에 이야기가 하나 있다. 흥교사는 '불교를 대흥(大興)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실은 현장 때문에 생긴 사찰이다. 664년, 현장은 원적한 후 장안 동쪽의 백록원(白鹿原)에 매장되었다. 백록원은 지세가 높아서 황궁 대명궁(大明宮)에서도 환히 보인다. 고종(高宗) 이치(李治)는 현장을 몹시 경중(敬重)했는데, 궁전에서 멀리 현장의 영탑(靈塔)을 볼 때마다 눈물을 흘렸다. 성체의 안강(安康)을 위해 고종의 황후 무측천이 조령(詔令)을 내려 총장(悤章) 2년(669) 장안 남쪽의 소릉원에 이장하고 이와 함께 사원을 세워 현장을 기리었다. 이때 사찰은 '대당호국흥교사(大唐護國興敎寺)'로 명명되었으며 그 시기 장안 남쪽 여러 사찰의 으뜸으로 꼽혔다.

  "하루가 멀다하게 한국 스님들이 사찰에 찾아와요." 흥교사에서 불교용품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 거사(居士)가 이렇게 알려주고 있었다.

  거사는 우리 일행이 주고받는 말이 전혀 낯설지 않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에도 한국 승려가 여럿이 다녀갔다고 한다. 그의 말을 실증하는 듯 한국 어느 사찰인가 증정한 쇠종이 종루에 걸려 있었다. 바다 건너 저쪽의 일본의 승려도 흥교사를 자주 다녀가고 있었다. 흥교사의 동쪽에는 중국과 일본 친선을 기리는 '광명탑(光明塔)'이 서있었다.

  옛 실크로드 연선의 이 고찰에는 해동 승려들의 발길이 그냥 이어지고 있는 듯 했다.

  그러나 거사는 얘기 가운데 자주 개탄을 하고 있었다. "지금은요, 사찰에 남아있는 옛날의 유물이 별로 없거든요."

  정말이지 그래서 뭐나 더 소중하게 여기고 있을지 모른다. 종루에는 자물쇠가 걸려 있었고, '광명탑'에는 진입을 불허하는 끈이 드리워 있었다.

일본승려들이 흥교사에 세운 광명탑.
 
현장법사의 다른 이름을 따서 만든 흥교사의 삼장원(三藏院).
 
  흥교사는 천년 동안 여러 번 훼손과 중수 과정을 반복하고 있었다. 전란과 멸불지화(滅佛之禍)로 인해 한때는 사찰에 승려가 없고 탑에 주인이 없는 피폐한 정경이 출현했다고 한다. 현존하는 건물은 대부분 민국(民國, 1912~1949) 시기에 중수한 것이었다.

  유물로 잔존한 사탑(寺塔)은 중수한 사찰의 상징물로 되고 있었다. 사탑은 현장과 그의 유명한 제자 원측, 규기(窺基)의 세 사리탑을 합한 이름이다. 규기는 현장에서 비롯한 법상종을 자은종(慈恩宗) 종파로 확립한 인물이며 이로 하여 일명 자은대사라고 불린다.

  규기는 원측과 함께 현장의 양쪽에 사리탑으로 시립하고 있지만, 살아있던 현생에는 전생의 그 무슨 업보인지 불협화음을 빚고 있은 듯하다. 어쩌면 "하나의 산에 두 마리의 호랑이가 살지 못한다"는 말은 불문(佛門)에도 통하는 것 같다.

  원측의 도청설(盜聽設)은 옛 문헌에 기록되고 있는 이야기이다. '송고승전'에 따르면 '성유식론(成唯識論)'을 번역할 때 현장은 규기 등 몇몇 제자에게 윤색과 집필, 검문, 편찬을 담당하게 했다. 현장의 고의인지 아니면 실수인지 원측은 이에서 배제되고 있었다. 원측은 문지기를 매수하고 몰래 들어와서 현장의 강의를 들었다. 그리고는 규기에 앞서 승려들에게 '성유식론'을 강의했다.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현장은 원측 몰래 규기에게 '인명론(因命論)'을 강의했으며 규기는 이에 대한 해의(解義)를 써서 미구에 이름을 떨쳤다는 것이다.

  실제로 원측은 종파적인 모든 선입 관점을 떠나 유식의 진전만 탐구했으며 또 '반야심경찬(般若心經讚)' 1권과 '인왕경소(仁王經疏)' 3권울 남기는 등 법상종의 다른 학승(學僧)에 비해 진보적인 학문의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주변의 시샘하던 자들이 도청을 했다고 원측을 무함했다는 설이 나올 법 한다.

  원측은 현장의 유골을 소릉원으로 이장할 무렵인 668년 산속에 들어가 은거했다. 이때 그는 장안 남쪽의 만화산(萬花山) 운제사(雲際寺)에서 선정(禪定)을 닦았다고 전한다. 산은 장안의 귀족들이 늘 와서 꽃놀이를 했다고 해서 '완화산(玩花山)'이라고 했으며 훗날 비슷한 발음의 '만화산'으로 불렸다고 전한다. 만화산의 정상은 해발이 약 2천m이며 산꼭대기에 위치한 운제사는 이름 그대로 방불히 흰 구름의 바다 위에 두둥실 떠있는 듯하다.

운제사 근처에 있는 신라왕자의 옛터에 패쪽만 남아있다.

  원측은 후에 운제사 근처의 다른 곳에서 수련했으며 나중에 장안 서명사(西明寺)에 머물렀다. 당시 황후였던 무측천은 그에게 서명사를 관장하도록 하고 국사(國師)로 모시는 등 극진한 대우를 했다.

  운제사는 국사 원측이 수련한 도장이라고 해서 사찰 근처에 '신라왕자의 누각(新羅王子臺)'이 만들어졌다. 당나라 때 '왕자의 누각'에는 고승이 운집했으며 문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고 한다.

  그런데 시초부터 뭔가 어긋나고 있는 것 같았다. 누군가 그걸 콕 집어서 이야기했다. "이름이 왕창 틀렸네요, '왕자의 누각'이 아니라 '왕손의 누각'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요?"

  왕자이든 아니면 왕손이든 운제사에 처음 나타난 신라승려는 실은 원측이 아니었다. 신라 진골(眞骨) 귀족의 출신인 승려 자장(慈藏, 590~658)은 636년 서쪽 여행 즉 '서유'를 해서 당나라에 왔을 때 조정의 허가를 받고 운제사 근처에서 3년 동안 수련하면서 마침내 득도했다고 '삼국유사'가 전하고 있다.

  그러고 보면 '왕자의 누각'보다 '귀족의 누각'이 먼저 서야 하는 게 순서이다. 아니, 이 개명보다 꼭 앞세울 게 하나 있었다. 명나라 판본의 '서유기'에 앞서 신라 판본의 '서유기'가 먼저 기술되어야 했다.

  가만, "이게 뭐꼬?" 하고 힐문할 사람이 이번에도 또 있을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72
  •   태조 이성계의 왕릉인 건원릉에서 5일인부들이 벌초를 하고있다. 왜 태조의 무덤엔 잔디가 없고 억새가 자랄까?   5일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태조의 묘인 건원릉에서 벌초가 진행됐다. 태조 이성계의 묘 봉분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잔디 대신 억새가 식재돼 있다. 동구릉 문화해설사 한철수씨(55)에 따르면 태조...
  • 2017-04-05
  • 4월3일 청명절을 앞두고 연변과기대AMP총동문회 부분적 경제인들과 연변화린무역회사 당지부에서는 주덕해동지기념비와 연변렬사릉원에서 일련의 추모활동을 조직하였다. 이날 연변과기대AMP총동문회 제14기,제15기,축구협회와 연변화린무역유한회사 당지부성원들은 주덕해동지기념비로 찾아가서 로주장 주덕해동지와 김영...
  • 2017-04-04
  • 올해는 중국인민해방군 건군 90돐, 연길현 왕우구항일유격근거지 건립 85돐이 되는 뜻깊은 한해이다. 이런 시점에서 왕우구의 항일렬사들을 추모하고 사료들을 발굴,선전하는것은 자못 뜻깊은 일이 아닐수 없다. 연변대학인문학원 력사학부, 연변생태문화예술협회, 연변작가협회 남방창작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연변오덕된...
  • 2017-04-01
  • 책 "인류의 기억, 남경대학살의 실증"이 12일 남경에서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중국과 일본, 제3자 그리고 전쟁후 심판 등 네개 측면의 문서기록 사료와 역사사진 약 200점을 정선하고 사진으로 역사를 증명하며 문서기록 사료로 기억을 전승하는 방식으로 일본군의 폭행을 까밝히고 역사의 진상을 환원했습니다. 1937년...
  • 2016-12-13
  • 지난 11월 19일, 북경조선족대학생 력사문화살롱에서는 중앙민족대학에서 44번째로 되는 행사를 가지고 중국사회과학원 아태세계전략연구원 동북아연구중심 주임이며 수석연구원이며 박사생 지도교수인 박건일교수를 청해 혁명가이며 화가인 한락연동지의 혁명생애와 이야기를 청취하고 박건일교수의 한락연 관련 연구성과...
  • 2016-11-22
  • ▲ 3.1운동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 국제학술대회 개최 11월 18일3.1운동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 국제학술대회 개최한다. ⓒ 3.1운동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관련사진보기 11월 18일 국제학술대회, 드러나지 않은 해외 3.1운동 밝힐 예정 "해외네트워크 구축에도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기회 마련" "3.1운동을 새로운 시...
  • 2016-11-09
  • [한겨레] 계명대박물관서 ‘어진 전시회’ 개최 조선시대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어진은 많이 훼손됐지만 대략의 모습을 알아 볼수 있다. 영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 영잉군 시절의 초상화가 남아 있다. 계명대 제공 조선시대 왕들은 어떻게 생겼을까? 티브이 드라머에 나오는 왕들과 비슷할까? 아닐까? 계명대학...
  • 2016-10-12
  • 오는 9일은 반포 570돌을 맞는 한글날입니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말은 하지만 글을 모르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고, 집현전의 학자들과 훈민정음 28자를 창제합니다.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만들고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인데요, 처음 시작은 '가갸날'이었습니다. 1926년 민족주의 국어학자들이 모인 &...
  • 2016-10-09
  •       이토 정확한 저격장소 등 고증 항일 독립운동의 영웅이자 ‘민족 자결’의 평화 사상을 주창한 안중근 의사를 중국에 알리는 데 앞장서온 조선족 재야학자 서명훈 옹이 별세했다. 올해 86세인 서 옹이 5일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안중근 의사 유해발굴에 함께 힘을 써온 김월배 다롄(大...
  • 2016-10-06
  • 《인물로 보는 조선족력사》를 주제로한 중국조선민족사학회제2기4차학술회의가 중국조선민족사학회, 연변대학민족연구원, 연변력사학회의 공동주취로 8월 17일, 연변대학에서 펼쳐졌다.   이날 행사에서 중국조선민족사학회 정신철회장이 개막사를, 연변대학민족연구원 박금해원장이 환영사를 했다. 이어 원 국가민족...
  • 2016-08-17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헛갈리지 않도록 먼저 설명을 해둔다. 이 천태산(天台山)은 천태종이 일어난 그 천태산이 아니다. 대륙 남부의 녕파(寧波)가 아니라 동부의 일조(日照)에 있다. 일조는 일출의 첫 햇살이 제...
  • 2016-08-15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승려 무상(無相)이 신라 국왕의 암살명부에 오른 건 절대 우연이 아니다. 실은 그가 왕자 출신이라고 할 때부터 이 암살사건은 미리 예고되고 있었다. '신승전(神僧傳)'의 기록에 따르면 "스님의 동생이 (신라) 본국에서 새...
  • 2016-07-28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복구 공사를 진행하면서 지상사는 문을 닫고 있었다.     (흑룡강신문=하얼빈) 사찰은 공사현장 그 자체였다. 시멘트를 반죽하는 기계가 굉음을 뿜고 있었고, 전당을 에워싼 비계(飛階)로 인부들이 분주히 오르내리고 있었다. 오불꼬불한 산길...
  • 2016-07-20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아니, 그게 뭐꼬?" 제목을 미리 말했더니 사람들의 한결 같은 반응은 이 물음이었다.   그러고 보면 이 이야기를 모두 그 무슨 환상소설처럼 여기고 있는 것 같았다. 법어(法語) 같은 화두를 이야기의 꼭지로 삼게 된 이...
  • 2016-07-01
  •      (흑룡강신문=하얼빈) 윤운걸 길림성특파원=지난 5월22일 기자는 관광코스차로 미·일 혈투의 전적지였던 미 연방 북마리아나군도 사이판 제2차세계대전시기의 일본군최후사령부와 자살바위를 관광했다.   현지에 가보니 일본군이 저항하다 남은 포,전차 등 무기들이 지저분하게 널려 있었지만...
  • 2016-06-25
  • 특별군사법정 옛터 진열관 앞에서 기념사진을 남긴 권덕원.          조선족 이야기 백년사          (흑룡강신문=하얼빈) "지금까지 취재하러 왔던 언론사가 50여개 되는 데요…" 권덕원(權德源)은 문서철에 보관한 신문 지상의 기사를 일행에...
  • 2016-06-25
  • 1. “외삼촌의 행적을 알아봐 줄 수 있을까요?”   문득 딩동 하고 벨이 짧게 울렸다. 짧은 메시지가 폰의 화면에 뜨고 있었다. 군인이었던 외삼촌 행적을 함께 알아봐 줄 수 없겠는가 하는 문의 내용이었다. 메시지를 보낸 주인은 북경의 박씨 성의 지인이었다. 취재차로 대륙의 조선인 노병(老兵)을 만나...
  • 2016-06-20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결론부터 쓴다면 양산(梁山)에는 무덤 귀신만 있었다. 양산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무덤이었다. 그러나 양산에 도착하면서 눈앞에 언뜻 떠오른 것은 웬 풍만한 여인이었다. 택시기사가 말하는 산의 이름은 그대로 여인을 연상...
  • 2016-06-17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땅의 이름은 무심코 생긴 게 아니다. 설화 같은 이야기가 담겨 있고 나침반처럼 위치를 나타내며 또 거울처럼 모양을 흉내 낸다.한양(漢陽)은 "놈을 기르다"는 뜻의 한양(漢養)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실은 한강(漢江)의 북쪽에...
  • 2016-06-03
  •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옛말에 "잉어가 용문을 뛰어넘으면 용이 된다"고 했다. 그럼 인간이 용문을 건너면 뭐가 될까?…"그거야 두발로 건너보면 금방 알거 아니겠어요?"   솔직히 그래서 옛날부터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라고 했을지 모...
  • 2016-05-19
‹처음  이전 4 5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