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김호림기획련재18] '서유기'에 등장하는 신라의 승려
조글로미디어(ZOGLO) 2016년7월1일 09시52분    조회:3253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조선반도의 삼국승려와 대륙고찰 이야기

       (흑룡강신문=하얼빈) "아니, 그게 뭐꼬?" 제목을 미리 말했더니 사람들의 한결 같은 반응은 이 물음이었다.

  그러고 보면 이 이야기를 모두 그 무슨 환상소설처럼 여기고 있는 것 같았다. 법어(法語) 같은 화두를 이야기의 꼭지로 삼게 된 이유이다.

  줄거리를 다 빼고 얘기한다면 '서유기(西遊記)'의 주인공 당승(唐僧)처럼 신라의 승려가 서행 즉 '서유(西遊)'를 하고 있었으며 또 진기록을 남기고 있다. '서유기'는 당승 현장(玄奘, 602~664)의 천축(天竺) 여행을 모티브로 삼아 명(明)나라 때 나온 신괴(神怪) 소설이다.

  "그렇다면 신라승려는 '손오공'인가요, 아니면 저팔계인가요? 사오정은 아니구요?"

  손오공(孫悟空)과 저팔계(豬八戒), 사오정(沙悟淨)은 '서유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당승의 천축 여행을 신변에서 수행한 제자이다. 그러나 신라의 승려가 72가지 변신술을 갖고 있더라도 손오공은 물론 저팔계, 사오정으로 둔갑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손오공은 본디 화과산(花果山)에서 살고 있던 원숭이요, 저팔계와 사오정은 죄를 지어 천계에서 쫓겨난 장군이기 때문이다.

  먼저 '서유기'의 주인공 당승의 실존 인물인 현장을 알고 건너갈 필요가 있다. 현장은 당(唐)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 여행가이다. 10세 때 낙양(洛陽)의 정토사(淨土寺)에서 불경을 공부하다가 13세에 승적에 이름을 올려 현장이라는 법명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소설에서 나오는 그의 다른 이름인 삼장(三藏)은 불교 경전을 통칭하는 것으로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 이 세 가지를 의미한다.

  현장은 당시의 한문 불교경전의 내용과 계율에 대한 의문점을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원전에 의거하여 연구하려고 627년 또는 629년 천축 즉 지금의 인도에 들어갔다. 훗날 이 이야기에 살과 피가 덩어리로 붙어서 신괴소설 '서유기'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보다 훨씬 앞서 '서유기'의 추형(雛形)은 벌써 민간에 형성되고 있었다. 유명한 돈황(敦惶) 막고굴(莫高窟)의 서하(西夏) 시기 벽화에 당승 그리고 백마를 끌고 있는 손오공(孫悟空)이 등장한다.

  막고굴은 16국의 전진(前秦)시기부터 시작하여 원(元)나라 때까지 여러 조대를 거쳐 건설, 동굴이 735개 되며 벽화가 4만 5천점 된다. 대륙 서부의 실크로드의 연선에 위치하며 따라서 '실크로드의 보물'로 불린다.

돈황 막고굴 전경.

  바로 이 막고굴에서 또 다른 한편의 '서유기'가 발굴된다. 1900년, 막고굴 장경동(藏經洞)에서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비롯하여 대량의 고서가 쏟아져 나왔다. '왕오천축국전'은 신라의 고승 혜초(慧超, 704~787)가 집필한 여행기이다. 이 여행기에는 천축과 서역 각국의 종교, 풍속, 문화가 기록되어 있다. 잠깐, 혜초는 당승처럼 육로를 선택한 게 아니라 바닷길을 타고 천축으로 갔다.

  어찌됐거나 혜초는 명나라가 아닌 신라의 '당승'이요, '왕오천축국전'은 명나라가 아닌 신라의 '서유기'인 셈이다.

  이맘쯤이면 누군가 글줄에서 눈길을 돌려버리지 않을지 한다. "이게 바로 '제목'에 묻어놓은 복선인가 보네. 그럼 이야기를 더 읽을 필요가 없지 않을까?"

  잠깐, 당승 현장의 제자로 있은 신라의 승려가 진짜로 있었다. 손오공이나 저팔계, 사오정이 아니라 실존한 인물이다. 신라의 승려 원측(圓測)이 바로 현장의 이름난 제자였다. 원측은 신라의 왕손으로서 일찍 3세 때 출가했고 15세 때 구법을 위해 서쪽으로 여행 즉 '서유(西遊)'를 해서 당나라의 서울 장안(長安) 즉 지금의 서안(西安)에 건너갔다고 전하고 있다. 그때가 정관 2년(628년)이니, 현장이 천축으로 떠나던 그 무렵이었다.

  궁금한 이야기부터 한다면 원측은 천축 구법을 선택하지 않았다. 그는 장안에 짐을 풀고 유식학(唯識學) 연구의 개척자인 고승 법상(法常)과 승변(僧辨)을 스승으로 모신다. 유식학은 불교의 종파인 법상종(法相宗)의 성전(聖典)이다. 원측이 제자로 현장을 신변에서 수행하게 된 건 조금 후의 이야기이다.

  이때는 원측이 아닌 다른 신라승려가 현장처럼 천축으로 구도를 떠나고 있었다. 이 인물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삼국유사'는 고려 후기의 승려 일연(一然)이 편찬한 역사서이다. 책은 신라의 승려 아리나(阿離那)가 정관(貞觀, 627~649) 연간 당나라의 서울 장안(長安)을 떠나 오천축(五天竺)으로 갔다고 기록한다. 아리나의 천축 여행은 현장의 구법 시기와 거의 맞물리는 것이다. 아쉽게도 아리나가 현장과 서로 만났는지는 알 수 없다. 아리나를 이어 그 후에도 신라의 승려 혜업(慧業), 현태(玄泰), 구본(求本), 현각(玄恪), 혜륜(慧輪), 현유(玄遊) 그리고 이름 미상의 두 법사가 석가의 교화를 보기 위해 중천축(中天竺)에 가는 등 서유(西遊)를 했다. 그들은 "혹은 중도에서 죽고 혹은 현지 절에 있었으며" 오직 현태만 당나라에 돌아왔으나 어디서 입적(入寂)을 했는지 모른다고 '삼국유사'가 '대당서역구법고승전(大唐西域求法高僧傳)'의 기록을 인용하여 밝히고 있다. 이런 승려를 흠모했던 고려 중기의 승려 각훈(覺訓)도 '해동고승전'에 그들의 전기를 수록했다.

  신라승려가 보리심을 등불로 삼고 옛 실크로드를 따라 바다를 건너고 사막을 가로질러 성지를 순례하면서 구법한 '서유기'는 그렇게 여러 고서에 기록되고 있는 것이다.

  이야기가 그만 다른 데로 흐른 것 같다. 천축에서 유식학을 오랫동안 연구했던 현장은 드디어 645년에 귀국했다. 이때부터 원측은 현장의 문하에 들어가서 또 유식학을 닦았다. 유식학은 결국 원측과 현장을 서로 이어놓는 연기(緣起)가 된 것이다.

  '송고승전(宋高僧傳)'에 따르면 원측은 나중에 무측천(武則天)에 의해 '살아있는 부처'로 존숭(尊崇)을 받았다. 그래서 무측천의 후대(厚待)를 받아 역경관(譯經館)에 있으면서 유식(唯識)의 주석 서적과 기타 경론의 해설을 했다. '대승현식경(大乘顯識經)' 등을 번역할 때 원측은 영변(靈辨), 도성(道成) 등 여러 석학과 함께 증의(證義)를 맡아 함께 18부 34권을 번역했다. 이 무렵 그는 또 고증자(考證者)로서 번역 집단의 우두머리였다. 원측은 어학에 남다른 천부를 갖고 있었으며 중국어, 범어, 서역어 등 6개국 언어에 능통했다고 전한다.

  무측천이 등극한 만세통천(萬歲通天) 원년(696) 7월 22일, 원측은 임종을 앞두고 제자에게 스승의 사리탑 옆에 매장할 것을 부탁한다. 원측의 이 마지막 숙원은 그로부터 400여년 후에 비로소 이뤄진다.

  원측은 원적한 후 처음에는 낙양(洛陽) 용문(龍門)에 매장되었다. 이때 원측의 신라 제자 승장(勝庄) 등이 일부 유골을 장안에 갖고 와서 풍덕사(豊德寺) 근처에 매장하며 송(宋)나라 정화(政和) 5년(1115)에 소릉원(少陵原)의 흥교사(興敎寺) 현장 사리탑 왼쪽에 이장되는 것이다. 소릉원은 장안의 남쪽 약 20㎞ 되는 곳에 위치, 두 강 사이에 끼어 있는 작은 언덕지대이다.

흥교사의 뜰에 있는 현장과 원측, 규기의 사리탑, 오른쪽 탑이 원측 사리탑이다.
 
원측 사리탑에 쓰여 있는 탑 이름.

  와중에 이야기가 하나 있다. 흥교사는 '불교를 대흥(大興)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실은 현장 때문에 생긴 사찰이다. 664년, 현장은 원적한 후 장안 동쪽의 백록원(白鹿原)에 매장되었다. 백록원은 지세가 높아서 황궁 대명궁(大明宮)에서도 환히 보인다. 고종(高宗) 이치(李治)는 현장을 몹시 경중(敬重)했는데, 궁전에서 멀리 현장의 영탑(靈塔)을 볼 때마다 눈물을 흘렸다. 성체의 안강(安康)을 위해 고종의 황후 무측천이 조령(詔令)을 내려 총장(悤章) 2년(669) 장안 남쪽의 소릉원에 이장하고 이와 함께 사원을 세워 현장을 기리었다. 이때 사찰은 '대당호국흥교사(大唐護國興敎寺)'로 명명되었으며 그 시기 장안 남쪽 여러 사찰의 으뜸으로 꼽혔다.

  "하루가 멀다하게 한국 스님들이 사찰에 찾아와요." 흥교사에서 불교용품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 거사(居士)가 이렇게 알려주고 있었다.

  거사는 우리 일행이 주고받는 말이 전혀 낯설지 않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에도 한국 승려가 여럿이 다녀갔다고 한다. 그의 말을 실증하는 듯 한국 어느 사찰인가 증정한 쇠종이 종루에 걸려 있었다. 바다 건너 저쪽의 일본의 승려도 흥교사를 자주 다녀가고 있었다. 흥교사의 동쪽에는 중국과 일본 친선을 기리는 '광명탑(光明塔)'이 서있었다.

  옛 실크로드 연선의 이 고찰에는 해동 승려들의 발길이 그냥 이어지고 있는 듯 했다.

  그러나 거사는 얘기 가운데 자주 개탄을 하고 있었다. "지금은요, 사찰에 남아있는 옛날의 유물이 별로 없거든요."

  정말이지 그래서 뭐나 더 소중하게 여기고 있을지 모른다. 종루에는 자물쇠가 걸려 있었고, '광명탑'에는 진입을 불허하는 끈이 드리워 있었다.

일본승려들이 흥교사에 세운 광명탑.
 
현장법사의 다른 이름을 따서 만든 흥교사의 삼장원(三藏院).
 
  흥교사는 천년 동안 여러 번 훼손과 중수 과정을 반복하고 있었다. 전란과 멸불지화(滅佛之禍)로 인해 한때는 사찰에 승려가 없고 탑에 주인이 없는 피폐한 정경이 출현했다고 한다. 현존하는 건물은 대부분 민국(民國, 1912~1949) 시기에 중수한 것이었다.

  유물로 잔존한 사탑(寺塔)은 중수한 사찰의 상징물로 되고 있었다. 사탑은 현장과 그의 유명한 제자 원측, 규기(窺基)의 세 사리탑을 합한 이름이다. 규기는 현장에서 비롯한 법상종을 자은종(慈恩宗) 종파로 확립한 인물이며 이로 하여 일명 자은대사라고 불린다.

  규기는 원측과 함께 현장의 양쪽에 사리탑으로 시립하고 있지만, 살아있던 현생에는 전생의 그 무슨 업보인지 불협화음을 빚고 있은 듯하다. 어쩌면 "하나의 산에 두 마리의 호랑이가 살지 못한다"는 말은 불문(佛門)에도 통하는 것 같다.

  원측의 도청설(盜聽設)은 옛 문헌에 기록되고 있는 이야기이다. '송고승전'에 따르면 '성유식론(成唯識論)'을 번역할 때 현장은 규기 등 몇몇 제자에게 윤색과 집필, 검문, 편찬을 담당하게 했다. 현장의 고의인지 아니면 실수인지 원측은 이에서 배제되고 있었다. 원측은 문지기를 매수하고 몰래 들어와서 현장의 강의를 들었다. 그리고는 규기에 앞서 승려들에게 '성유식론'을 강의했다.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현장은 원측 몰래 규기에게 '인명론(因命論)'을 강의했으며 규기는 이에 대한 해의(解義)를 써서 미구에 이름을 떨쳤다는 것이다.

  실제로 원측은 종파적인 모든 선입 관점을 떠나 유식의 진전만 탐구했으며 또 '반야심경찬(般若心經讚)' 1권과 '인왕경소(仁王經疏)' 3권울 남기는 등 법상종의 다른 학승(學僧)에 비해 진보적인 학문의 경지를 보여주고 있다. 주변의 시샘하던 자들이 도청을 했다고 원측을 무함했다는 설이 나올 법 한다.

  원측은 현장의 유골을 소릉원으로 이장할 무렵인 668년 산속에 들어가 은거했다. 이때 그는 장안 남쪽의 만화산(萬花山) 운제사(雲際寺)에서 선정(禪定)을 닦았다고 전한다. 산은 장안의 귀족들이 늘 와서 꽃놀이를 했다고 해서 '완화산(玩花山)'이라고 했으며 훗날 비슷한 발음의 '만화산'으로 불렸다고 전한다. 만화산의 정상은 해발이 약 2천m이며 산꼭대기에 위치한 운제사는 이름 그대로 방불히 흰 구름의 바다 위에 두둥실 떠있는 듯하다.

운제사 근처에 있는 신라왕자의 옛터에 패쪽만 남아있다.

  원측은 후에 운제사 근처의 다른 곳에서 수련했으며 나중에 장안 서명사(西明寺)에 머물렀다. 당시 황후였던 무측천은 그에게 서명사를 관장하도록 하고 국사(國師)로 모시는 등 극진한 대우를 했다.

  운제사는 국사 원측이 수련한 도장이라고 해서 사찰 근처에 '신라왕자의 누각(新羅王子臺)'이 만들어졌다. 당나라 때 '왕자의 누각'에는 고승이 운집했으며 문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고 한다.

  그런데 시초부터 뭔가 어긋나고 있는 것 같았다. 누군가 그걸 콕 집어서 이야기했다. "이름이 왕창 틀렸네요, '왕자의 누각'이 아니라 '왕손의 누각'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요?"

  왕자이든 아니면 왕손이든 운제사에 처음 나타난 신라승려는 실은 원측이 아니었다. 신라 진골(眞骨) 귀족의 출신인 승려 자장(慈藏, 590~658)은 636년 서쪽 여행 즉 '서유'를 해서 당나라에 왔을 때 조정의 허가를 받고 운제사 근처에서 3년 동안 수련하면서 마침내 득도했다고 '삼국유사'가 전하고 있다.

  그러고 보면 '왕자의 누각'보다 '귀족의 누각'이 먼저 서야 하는 게 순서이다. 아니, 이 개명보다 꼭 앞세울 게 하나 있었다. 명나라 판본의 '서유기'에 앞서 신라 판본의 '서유기'가 먼저 기술되어야 했다.

  가만, "이게 뭐꼬?" 하고 힐문할 사람이 이번에도 또 있을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72
  • - 고려대생, 서훈 박탈 인촌 김성수 동상 철거 요구 - 이대생들도 김활란 동상 앞 친일행적 알림팻말 재설치 - "설립자 공과 밝히는 안내문 세우는 등 합의점 찾아야" 지난해 5월 고려대 일반대학원 총학생회가 고려대 본관 앞 인촌 동상에 ‘황국신민 김성수 동상을 없애고 고대에서 친일을 청산하자’라는 제목...
  • 2018-02-28
  • 윤이상 선생 유골함을 들고 있는 딸 윤정씨 [베를린=연합뉴스](베를린=연합뉴스) 이광빈 특파원 =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 선생의 유해 이장식이 23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다. 윤 선생의 유해는 24일 독일을 출발해 25일 베를린에 묻힌 지 23년 만에 한국에 도착할 예정이다. 이장식에는 윤 선생의 ...
  • 2018-02-23
  • 약 1억 2천 5백만 년에서 1억 6천만 년 전 깃털공룡 화석과 새 화석 8점이 유럽에서 고향인 랴오닝(遼寧, 요녕)으로 돌아왔다. 1월 13일부터 정식으로 랴오닝 고생물박물관에서 대중에게 공개됐으며, 해당 화석의 발견은 조류가 수각류 공룡으로부터 유래됐다는 가설의 중요한 증거물을 제공해 주었다. 인민망 
  • 2018-01-29
  • 2일, 길림성문물고고연구소 고고연구원들은 2017년에 길림성 연변 마반촌산성 유적을 발굴하는 가운데 고대 동하국의 대형 관창유적(官仓遗址)을 발견, 조, 팥, 밀 등 여러 가지 알곡을 출토했다. 전문가는 이는 장백산지역 금나라 농업고고에서 또 하나의 발견으로서 800여년전의 동하국의 신비스러운 베일을 진일보로 벗...
  • 2018-01-05
  • 지난 9월 15일, 대련시 금주조선족로인협회에서는 항일렬사가족이며 박씨 일가의 백년이민사 《두만강변에 서린 애환》을 쓴 박남권선생을 모시고 밀양 박씨 일가의 백년 중국이민사와 가족들의 항일투쟁 이야기를 청취했다. 1909년 박남권선생의 증조할아버지 박의도 세대에 살 길을 찾아 조선 함경북도로부터 중국 훈춘 ...
  • 2018-01-02
  •   《동북항일전쟁 조선족인물록》이 일전 민족출판사에 의해 출판되였다. 이 책에서는 처음으로 중국조선족사책에서 다루지 않았던 변절자들을 공개해 독자들의 주목을 끌고있다. 중국인민해방군 건군 90주년을 계기로 펴낸《동북항일전쟁 조선족인물록》(저자 박문봉)은 그 사이 공식 출판물(중문)에는 등장하였지만...
  • 2017-12-29
  • 장가계렬사릉원 17렬사묘구역에 자리한 리두섭렬사의 묘 장가계를 다녀온 사람들은 웅장하고 험준함으로 유명한 천문산이나 귀부신공을 자랑하는 3천석봉, 천지산의 어필봉 등은 흥미진진하게 외우나 장가계렬사릉원에 조선족렬사가 고이 잠들어있다는 사실은 감감 모르고 있어 안타깝게 생각한 적이 많다. 장가계시 북산에...
  • 2017-12-26
  • 올해는 난징 대학살 발발 80주년이 되는 해이다. 12월 13일 난징대학살 희생자 국가추모일을 앞두고 저명 작가이자 중국작가협회 부주석인 허젠밍(何建明)이 창작한 장편 르포르타주 ‘난징대학살’이 영어, 일어, 태국어, 한국어, 베트남어, 말레이시아어의 6개 외국어판으로 출간됐다. '난징대학살’...
  • 2017-12-06
  •     한락연연구회 ‘당사인물연구-한락연을 중심으로’ 간담회 진행   (흑룡강신문=하얼빈)김동수, 류대식 기자= 2018년은 개혁개방 40년이 되는 해이고 ‘중국의 피카소’로 불리우는 한락연 탄신 12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차당대회정신’을 학습하고 선전하는 열조에 동조...
  • 2017-11-22
  • (흑룡강신문=하얼빈)최근 중한문화콘텐츠연구소와 료녕 리플스영화제작사의 일행 6명이 대형 다큐멘터리 '조선족은 누구인가?'(가제명)의 촬영소재 수집과 동북3성내의 항일 유적지 현황 조사를 위하여, 현지 조선족 향토역사학자 전정혁 선생의 인솔하에 료녕성과 길림성 소재의 조선인 항일 투사들이 활동했던 지...
  • 2017-09-28
  • 회의 현장   (흑룡강신문=하얼빈)류설화 연변특파원 = 한락연연구회와 추기규화실이 주최하고 룡정시위와 룡정시인민정부가 협조한 “력사를 짚어보며 한락연을 회고하다”를 주제로 한 한락연기념활동좌담회가 27일 룡정시인민정부에서 펼쳐졌다. 원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주임이며 한락연연구회 총고문인...
  • 2017-08-30
  • 中 선양 주재 총영사관에서 딸 등 유족 4명 참석해 받아  (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1920년대 간도에서 좌익계열 독립운동단체 일원으로 독립운동을 하다가 옥고를 치른 김산해(金山海·1900~1970) 선생의 후손에게 건국포장이 전수됐다. 14일 국가보훈처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주 선양(瀋陽) 대한민국...
  • 2017-08-15
  • 【진천=뉴시스】천영준 기자 = 충북 진천군은 6일 다큐멘터리 이상설의 길, 희망을 깨우다가 오는 14일 오후 11시40분 KBS 1TV에서 방영된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상설 선생 동상. 2017.8.6.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진천=뉴시스】천영준 기자 = '헤이그 밀사' 사건의 주역인 독립운동가 보재(溥齋) 이...
  • 2017-08-07
  • 위챗동아리 ‘우리동네 력사동네’ 화룡경내 력사유적지 답사  중국조선족력사를 관심하고 사랑하며 뜻을 같이 하려는 사람들로 모인 위챗동아리‘우리동네 력사동네’의 18명 회원들이 8월 3일, 제1차 답사활동으로 화룡시 경내의 반일, 항일유적들을 답사하였다. 연길시와 룡정시의 ...
  • 2017-08-07
  •   1. 중공만주성위옛터 현황   심양 중공만주성위옛터는 심양시 화평구 황사로 복안항 3호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터를 잡은 옛터는 남향으로, 탁 트인 방 여섯 칸과 한 칸의 세로 길이로 이뤄진 경산식(硬山式) 푸른 기와집이다. 옛터의 부지면적은 2,500평방메터, 건축면적은 740평방메터이다.  &nbs...
  • 2017-07-26
  • 홍기하 다리 우에서 7월 18일, 이른 아침 6시경 중국조선족항일가요합창단을 실은 뻐스는 연길예술극장 앞에서 출발하여 화룡시를 거쳐 선경대를 지나 두만강 강변길로 내처 3시간도 넘게 달려 홍기하와 두만강의 합수목에 이르렀다. 울창한 수림 사이를 빠져나와 거센 강물을 이루며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홍기하의 기세 찬...
  • 2017-07-25
  • (서울=연합뉴스) 황대일 기자 = 영국 왕실 사상 처음으로 흑인 시종 무관이 탄생했다.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은 아프리카 가나 출신 이민자인 나나 코피 툼마시 앙크라(38) 소령을 시종 무관에 임명했다. 시종 무관은 왕실 기마병을 지휘하고, 중요 행사 때 지근거리에서 여왕을 보좌하는 임기 3년짜리 요직이다. 부모를...
  • 2017-07-14
  •              7월 10일, 민족출판사, 중국조선민족사학회에서 주최한 《하북조선족사》출판좌담회가 민족출판사에서 개최되였다. 이날 행사에는 원 하북성민족종교사무청 청장, 《하북조선족사》편집소조 책임자, 주필 국지강, 《하북조선족사》 저자, 원 하북성 진황도시민족종교사무...
  • 2017-07-13
  • 료녕성 한락연 연구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2017년 7월 10일 북경의 중앙민족대학캠퍼스에 위치한, 중국사회과학원 민족학과 인류학연구소 1층회의실에서는  “2017 중국 조선민족 사학회 학술 심포지엄” 페회식에 앞서, 중국 조선민족 사학회 한락연 연구회(이하 한락연 연...
  • 2017-07-11
  • 우리 민족의 또다른 력사            (흑룡강신문=하얼빈)류설화 연변특파원 = 최근, 러시아고려인련합회 회장단 일행 10명이 연길시에 도착해 민족사유적지와 연변신흥공업구의 민족기업들을 위주로 며칠간의 연변지역탐방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른바 중국조선족기업가협회와 교류활성화를 ...
  • 2017-07-11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