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우리는 창업이 강요되는 시대를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정부기관도 대기업도 사람을 받아들일 수 있는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매년 공개채용공고가 뜨기는 하나 높은 경쟁률로 취업의 문은 작기만 하다.
그럴 때마다 창업은 늘 취업의 대안으로 시도되어왔다. 특히 지난 몇 년간 정부의 창업지원정책들이 쏟아지면서 이제 젊은이들의 창업은 별로 뉴스거리로 떠오르지도 못한다. 그만큼 창업사례는 많으나 그에 반해 성공사례는 그리 많은편이 아니다. 그리고 창업실패사례를 참고하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다.
우선 창업을 시도하는 많은 절은이들은 창업과 투자의 차이점에 대한 고민의 깊이가 옅다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창업은 말 그대로 처음으로 일을 시작하는 것으로 돈보다는 재능이나 기술로 하되 그것으로 부족하면 소규모 자본으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래서 정부의 창업지원금도 6만원 좌우로 고정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창업을 하려면 상당한 자금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여기는 젊은이들도 적은 편이 아니다. 틀린 판단이라고 할 수 없겠으나 자본을 많이 가진 사람이 아닌 이상 전적으로 동의할 수도 없는 론제이다. 성공한 창업을 보았을 때 모두 자본에 근거하여 결과에 도달하였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창업을 쉽게 생각하면서 무작정 뛰어드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창업 실패의 원인을 외부 환경에서 찾곤 한다. 너무 쉽게 일을 생각하고 아무런 준비도 없는 상황에서 시작하였으며 쉽게 포기하는 본인 때문이라는 것을 모르고 말이다. 특히 우리지역의 경우 정확한 분석이나 끈기없이 남들이 하는 일이 괜찮은 것 같으면 무작정 따라하는 경향이 매우 강한 편이다.
물론 창업은 재능이나 기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면 최상의 결과이다. 그러나 거의 모든 분야에 이른바 연구소가 설립되어 있고 음식점마저도 비법이 전해지는 상황에서 오직 재능이나 기술로 창업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한 창업이 반드시 기술창업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직장에 고용되지 않고 자신이 스스로의 일로 벌이를 하고 살아가는 형태의 직업이면 모두 창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보았을 때 관찰과 경험이 창업에서 제일 중요하고 그에 걸맞는 세밀한 준비과정이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정부나 대기업의 취업문은 좁으나 사람을 모집하는 곳은 많다. 그 곳은 공사현장일수도 소형기업일수도 허드레 잡부일수도 있다. 창업을 생각하는 젊은이들은 그 곳에서 창업과 투자의 차이를 생각하면서 조금씩 경험을 쌓고 관찰력을 키울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시간 따위를 아까워할 필요도 없다. 무작정 시작한 실패보다는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우리는 창업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고 조금씩 확률을 높일 때 창업은 성공으로 이어지고 있음도 알고 있다.
연변일보 정은봉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