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로고
한국 광복 70년 베스트셀러 70권
조글로미디어(ZOGLO) 2015년9월28일 07시56분    조회:1509
조글로 위챗(微信)전용 전화번호 15567604088을 귀하의 핸드폰에 저장하시면
조글로의 모든 뉴스와 정보를 무료로 받아보고 친구들과 모멘트(朋友圈)로 공유할수 있습니다.

베스트셀러는 사회의 척도다. 광복 이후 70년 동안 우리가 읽어온 베스트셀러는 무엇이었을까.
시대별로 대중이 선택했던 베스트셀러와 베스트셀러는 아니지만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을 줬던 1945년부터 2014년까지의 베스트셀러를 해마다 한 권씩 70권으로 모았다.

1945~1949: 다시 찾은 우리말
광복(光復)의 의미는 단순한 해방이 아니다. 빼앗긴 주권을 다시 찾았다는 의미다. 그런 점에서 1945년의 베스트셀러가 외솔 최현배의 ‘우리말본’(정음사)’이라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일본어가 아닌 한국어의 복권. 잃어버린 우리말을 되찾은 민족의 기쁨을 한 권으로 보여준다. ‘우리말본’은 국어의 문법 체계를 집대성한 한국어 문법책. 1946년의 베스트셀러는 최남선의 ‘신판 조선역사’(삼중당)였고, 1947년의 베스트셀러는 김구의 ‘백범일지’였다. ‘백범일지’는 이렇게 시작한다. “임정(臨政)의 주석을 맡았으니 언제 죽을지 모르는 몸이라 ‘인’ ‘신’ 두 아들에게 아비의 행적을 알리고자 기록하노라.”
서울 소공동 시절의 국립중앙도서관 자료열람실 풍경. 국립중앙도서관은 1945년 10월 지금의 을지로 롯데호텔 자리에서 문을 열었고, 1988년 서초동 시절을 열었다. 광복 70주년인 올해는 ‘국중’의 개관 70주년이기도 하다. (국립중앙도서관 제공)
1950~1960: 전쟁... 가난한 시대에 희망을 던지다 
궁핍했다. 나라와 국민이 모두 폐허. 그래서 더 문학을 읽었는지도 모른다. 모윤숙의 ‘렌의 애가’(청구문화사), 조지훈의 시집 ‘풀잎단장’(창조사), 정비석의 ‘자유부인’(정음사), 황순원의 ‘학’(중앙문화사), 노벨문학상을 받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의사 지바고’(여원사) 등이 이 시절의 베스트셀러였다. 지금까지도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는 김형석 서울대 명예교수의 철학 에세이 ‘고독이라는 병’(삼중당)이 대중의 열광적 지지를 처음 얻은 것도 이 무렵이다. 1953년의 베스트셀러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수도문화사)라는 점은 상징적이다. 6·25 참화를 겪은 국민은 장군의 ‘난중일기’에서 위로와 희망을 함께 얻었다.
1961~1970: 4·19와 5·16을 넘어
민심은 기대와 체념을 왕복했다. 최인훈의 소설 ‘광장’(정향사)은 한 젊은 지식인이 광장과 밀실을 오가다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길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아마 4·19 직후였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북한 체제에 대한 사실적 묘사와 분단 이데올로기에 대한 과감한 접근은 이후 한국 문학의 새 지평을 열었고, 다소 관념적이지만 사색적 묘사는 한국 문학을 한 단계 확장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지금도 여전히 읽히는 스테디셀러이기도 하다. 
1960년대 국민은 김찬삼의 ‘세계일주 무전여행기’(어문각)를 읽으며 직접 가보지 못한 미지의 땅을 간접 체험했다. 전쟁으로 피폐해진 마음, 한반도 바깥으로 시야를 확장하게 해 준 것도 여행가이자 지리학자 김찬삼의 책들이었다. 
이 시절 지친 남성들을 위로한 또 하나의 장르는 무협지. 소설가 김훈의 부친인 김광주의 ‘정협지’(신태양사)가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권법 가문의 쌍둥이가 어려서 헤어졌다가 고수들의 결투장에서 서로 형제임을 확인한다는 뻔한 내용이었지만, 5·16직후 냉각된 사회에 장풍과 신출귀몰 검법을 앞세우며 독서계를 강타했다. 김은국의 ‘순교자’(삼중당),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현암사), 미우라 아야코의 ‘빙점’(한국정경사),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문예출판사), 가와바다 야스나리의 ‘설국’(동민문화사), 카프카의 ‘성’(삼중당), 사뮤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문예출판사)도 많이 읽혔다. 장식용 전집물과 문고본이 등장한 것도 이 시기였다.
1971~1980: 미국의 대중문화, 산업화의 빛과 그늘
새마을운동으로 요약되는 산업화의 시절이었다. 그리고 미국의 팝 문화가 본격적으로 쏟아져 들어온 시기이기도 하다. 
에릭 시걸의 ‘러브스토리’(문예출판사)와 존 오스본의 ‘하버드 대학의 공부벌레들’(일월서각)이 1970년대의 베스트셀러였다. 부유한 하버드대 남학생인 올리버 베럿과 가난한 여대생 제니퍼의 비극적 사랑 이야기는 스크린으로도 옮겨져 당대 청춘들의 손수건을 적셨다. 하버드 법대생의 도전과 성장 스토리 역시 드라마로도 만들어져 큰 인기를 모았다.
아널드 토인비의 ‘토인비와의 대화’(범우사)를 읽으며 교양을 쌓았고, 법정 스님의 ‘무소유’(범우사)를 통해 마음을 다스린 시기도 이때였다. 한수산의 ‘부초’(민음사)는 이 출판사가 제정한 ‘오늘의 작가상’ 첫 회 수상작으로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로 이어지며 화제의 문학상이 됐다. 난장이 가족이 강제 철거를 당하는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문학과지성사)은 급격한 산업화의 이면을 보여주는 반성문이었다. 

'난중일기'로 6·25전쟁 아픔 달래
'인간시장' 장총찬도 종횡무진...
IMF 등 압축성장 폐혜 90년대엔
'좀머씨 이야기' '가시고기' 인기

1981~1990: 민주화의 욕망과 소비 욕망의 분출
이 시기 베스트셀러는 이중적이다. ‘독재 타도’로 대표되는 민주화의 시대, 동시에 소비자본주의의 욕망이 대분출을 일으킨 시기였다. 저금리, 저유가, 저환율. 민주주의는 초라했지만, 경제는 호황이었다. 일반 대중은 선(仙)과 민족주의에 탐닉하기도 했다. 김정빈의 ‘단’(丹·정신세계사)이 대표적이다. 정신적 육체적 능력을 초인 수준으로까지 올릴 수 있다는 유혹은 고단한 현실을 잊고 싶었던 대중의 마음을 크게 흔들었다. 마치 람보처럼 죽지도 않고 악당들을 때려눕히는 ‘인간시장’(행림)의 장총찬도 ‘정의’에 목말랐던 대중의 갈증을 시원하게 해결했다. 정비석의 ‘손자병법’(고려원)을 통해 난세를 살아가는 처세법을 배웠고, 김우중 전 대우 회장의 자서전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김영사)는 청년들의 야망에 기름을 부었다. 물론 지금은 그 모든 것이 모래 위에 세운 집이 되어버렸지만. 서정윤의 시집 ‘홀로서기’(청하)가 밀리언셀러가 된 것도 이때였다.
1991~2005: 왜 숫자가 들어간 책이 사랑받는가
이 시기 베스트셀러에는 흥미로운 특징이 있다. 제목에 숫자가 포함된 책들이 사랑받았다는 것이다.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살아 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등 종합 1위를 차지한 책만 꼽아도 이 정도지만, ‘선과 악에 관한 35가지 이야기’ ‘20대에 해야 할 50가지 이야기’ 등 베스트셀러 상위권에 오른 책들도 유난히 숫자가 많이 보였다. 신뢰가 무너진 세상에서, 좀 더 확실해 보이고 싶었기 때문이었을까. 
급격한 압축 성장의 후유증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져나온 게 이 시기의 비극이기도 했다. 1994년에는 한강 다리가 무너졌고, 1995년에는 강남의 백화점이 주저앉았으며, 1997년에는 나라의 곳간이 텅 비어 버렸다. 돈벌이와 출세에 목숨 걸고 살아왔는데, 그게 다 허무한 일이 되어버린 것.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좀머씨 이야기’(열린책들), 법정스님의 ‘산에는 꽃이 피네’(동쪽나라), 조창인의 소설 ‘가시고기’(밝은세상), 오쇼 라즈니시의 ‘배꼽’(장원사)은 꼭 돈과 출세만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깨달음을 알게 해준다.

베스트셀러는 결국 시대를 반영한다.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코너의 30년 전 풍경. 교보문고는 1981년 6월 개관했다. (교보문고 제공)
2006~현재: 취향의 각개약진
세계화와 무한 경쟁 시대에 정의란 무엇일까. 2010년 베스트셀러였던 하버드대 교수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일까’는 ‘정의’라는 가치를 새삼 주목하게 만들었다. 그 직전 론다 번의 ‘시크릿’(살림Biz)에 빠져들었던 대중의 마음을 생각하면, ‘고객 변심’이라는 농담이 떠오를지도 모르겠다. ‘시크릿’은 “생각이 현실이 된다”는 세계관을 지닌 마음수련법. 2007·2008년 연속으로 베스트셀러 1위였다.  
2011년의 베스트셀러는 김난도 서울대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쌤앤파커스)였고, 2012·2013년의 베스트셀러 1위는 혜민 스님의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쌤앤파커스)이 차지했다. IMF 시절보다도 더 힘들다는 요즘의 청년 실업 문제를 비롯, 속도와 물량 경쟁에 지친 현대인들을 부드럽게 달래는 미남 스님의 위로가 큰 인기를 얻었다. 2014년에는 광복 이후 최초로 스웨덴 소설의 작품(요나스 요나손의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이 베스트셀러 1위가 됐다. 2015년은 현재까지 아들러 심리학 열풍의 최전선인 ‘미움받을 용기’가 가장 앞줄에서 뛰고 있다.
※ 광복 70년 베스트셀러(1945~2015)
대한출판문화협회(회장 고영수)의 베스트셀러 집계와 교보문고 종합베스트셀러 통계를 바탕으로 매년 1권씩 70권을 선정했다. 교보문고 창립은 1980년 12월. 따라서 그 이전의 통계는 출협 자료다. 최근 출간된 전 출협 사무국장 이두영의 ‘현대한국출판사’(문예출판사 출간)를 참조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208
  •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 이동하는 조선족 = 권향숙 지음. 신종원 옮김. 일본 내 조선족의 삶과 생활 나아가 동북아시아에서의 조선족의 모습을 고찰한 책이다. 재일조선인 3세인 권양순 일본 와세다대 지역·지역간연구기구 초빙연구원은 중국조선족 3세를 만난 것을 계기로 1996년 처음 이 책을 구상하고...
  • 2015-10-17
  •         (흑룡강신문=하얼빈)윤운걸 길림성 특파원= 중국에서 사상 처음으로 조선글로 된 조선족 스포츠 실화 “챔피언 1965”가 연변인민출판사에서 출간되였는데 이 장편실화문학에는 1965년에 길림성축구팀이 전국축구 갑급팀련맹경기에서 우승을 한 실록을 담아 세인들이...
  • 2015-10-15
  • 新华社北京10月14日电 在文艺工作座谈会上的讲话   (2014年10月15日)   习近平   今天,这里群英荟萃、少长咸集,既有德高望重的老作家、老艺术家,也有崭露头角的文艺新秀,有些同志过去就很熟悉,有些是初次见面。见到大家很高兴。   文艺事业是党和人民的重要事业,文艺战线是党和人民的重要战线。长期以来,...
  • 2015-10-15
  • 베스트셀러는 사회의 척도다. 광복 이후 70년 동안 우리가 읽어온 베스트셀러는 무엇이었을까. 시대별로 대중이 선택했던 베스트셀러와 베스트셀러는 아니지만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을 줬던 1945년부터 2014년까지의 베스트셀러를 해마다 한 권씩 70권으로 모았다. 1945~1949: 다시 찾은 우리말 광복(光復)의 의미는 단순한...
  • 2015-09-28
  • 9월 19일 오후, 목단강시조선족문인협회작품선 《설국에 모란이 피기까지》(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출판기념식이 목단강시조선족문인협회 주최로 목단강시조선족소학교에서 개최되였다. 목단강시문련, 목단강시민종국, 목단강시조선족도서관 등 목단강시 관련단위와 연변작가협회, 흑룡강조선족작가협회를 비롯한 녕안, 해...
  • 2015-09-25
  • 《민족문학》잡지사의 주최로 《민족문학》(조, 한문) 연변지역 발행좌담회가 9월 24일 오전 연길 백산호텔에서 소집되였다. 《민족문학》은 지난 2009년도에 몽골문, 장문, 위글문 등 소수민족문자로 잡지를 출간한데 이어 2012년도에는 조선문, 까자흐문 잡지를 출간하면서 명실상부한 민족문학잡지로 부상했다. 조선...
  • 2015-09-25
  • 《습근평 국정운영을 론함》조선문판 출판설명회 연길서 편집/기자: [ 김태국 ] 원고래원: [ 길림신문 ] 발표시간: [ 2015-09-01 16:36:20 ] 클릭: [ ] 9월 1일 오후, 지난 7월 9일에 출판발행된 《습근평 국정운영을 론함》조선문판 출판설명회가 연변주정무중심 소식공개홀에서 있었다. 국가민족사무위원...
  • 2015-09-25
  • 길림성 민족향진들에 민속문화전시관 건설한다 편집/기자: [ 김태국 ] 원고래원: [ 길림신문 ] 발표시간: [ 2015-09-23 17:43:54 ] 클릭: [ ] 길림성 민족향진 민속문화전시관 건설 현지회의 훈춘서 길림성 민족향진 민속문화전시관 건설현지회가 9월 23일 변강의 명주 훈춘시에서 소집되였다. 길림성민족사...
  • 2015-09-25
  • 료녕신문소식 9월 19일, 중국조선족의 소설가, 작가, 문화평`론가이며 대표작가이기도 한 고 류연산(1957-2011)작가의 “《혈연의 강들》 사진전(이하 전시회)제막식”이 북경시 왕징(望京) 교문호텔에서 개최되였다.   류연산작가는“20세기중국조선족문학선집”, “조선족인물사” 등...
  • 2015-09-25
  • ‘다문화 시대의 한국소설 읽기’ 출간한 이경재 교수 “인종, 민족, 문화 간에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고유성과 보편성이 공존하는 사회가 돼야 합니다. 이주자들을 이익 추구 대상으로 여기고 이득만 본 뒤 배제시키거나 완전히 ‘한국민화(化)’하려 해서는 안 됩니다.” 문학평론가 이...
  • 2015-09-24
  •   연변인민출판사에서는 항일전쟁 승리 및 세계반파쑈전쟁 승리 70주년을 맞으면서 가렬처절했던 항일전쟁에서의 조선족과 관련된 내용들로 만들어진 조선문도서들을 륙속 출판하고있다. 아래는 최근에 출판되여 독자들과 대면하였거나 곧 대면하게 되는 기념도서들이다. 《항일련군의 조선족녀전사들》 (리...
  • 2015-09-23
  •   20일, 연변작가협회와 가야하정보과학기술유한회사에서 공동 주최하고 한국 수림문화재단에서 후원하는 제5회 “가야하”컵 인터넷문학상 시상식이 연길에서 있었다. 제5회 “가야하”컵 인터넷문학상 중소학생조에서는 심양시조선족중학교 윤춘홍의 “오늘도 당신의 마음안에 머뭅니다&rd...
  • 2015-09-22
  • 녕안시조선족문인협회의 종합작품집 《노을 비낀 경박호》가 일전에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에 의해 출간되여 독자들과 대면했다. 녕안시조선족문인협회 회장 최화길의 주필로 된 작품집에는 경박호반에 자리잡은 아름다운 녕안시에서 생활하였거나 잠간이나마 녕안시에 적을 두었던 김동진, 전경업, 윤일산, 최영란 등 20여...
  • 2015-09-22
  • 1994년 김만석의 《중국조선족아동문학사》가 출간된지 21년만에 문학평론가 전성호와 아동문학가, 시인 림금산씨에 의해 동명의 문학사가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판되면서 조선족아동문학연구에 밑거름이 될 보다 완정하고 현대적인 아동문학사가 독자들과 대면했다. 이번에 출간된 《중국조선족아동문학사》는 크게 두...
  • 2015-09-22
  • 본사소식 9월 19일, 단동시조선족문학인협회 회장 허형행의 시집 《압록강 푸르른 강이여》  출판기념식을 오룡산에서 가졌다. 료녕민족출판사에서 출간한 시집 《압록강 푸르른 강이여》는 “시골서정”, “압록강시초”, “사시경물”, “추일묵상”, “영원한 추억&...
  • 2015-09-22
  • ▲ 군산의 채만식 문학관은 2001년에 건립되었다. 금강변에 세워진 건물은 정박한 배의 모습을 하고 있다. 채만식(蔡萬植, 1902~1950)은 걸출한 풍자작가다. 흔히들 우리 판소리계 소설의 전통을 계승한 작가로 해학에 김유정, 풍자에 채만식을 꼽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의 단편 과 , , 중편 따위에 낭자한 풍자는 그것 자...
  • 2015-09-22
  • "예산 없는 문인협회가 사비 들여 심사" 관련 기관단체 연계 개선방안 마련 필요 19회째 개최한 중국 연변지용제가 20회를 앞두고 냉정하게 전반적으로 재점검해야 할 시점이 왔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정지용 시인의 문학정신을 연변동포사회에 알리기 위해 개최하고 있는 연변지용...
  • 2015-09-22
  • 9월 18일 오후, 한국 경상북도 안동시가 주최하고 중국 연변작가협회와 이육사문학관이 주관한 《제5회 중국조선족대학생 이육사문학제》가 안동병원과 안동간고등어회사의 후원으로 연변대학 예술학원 음악홀에서 개최되였다. 연변작가협회 당조성원 정봉숙은 개막사에서 문학후비군 양성을 주목표로 하는 유일한 문학제로...
  • 2015-09-19
  •   (흑룡강신문=하얼빈)마헌걸 특약기자=9월 11일, 항전승리 70주년 기념 및 '무순조선족지'(주필 추영화, 부주필 리윤선, 민족출판사 출판) 출간좌담회가 무순시에 위치한 중국환구공정회사 료녕분회사 12층 회의실에서 진행되였다.   김영남회장.   이날 무순시인대 민교외위 조경래주임이 사회한 좌담회...
  • 2015-09-16
‹처음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