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화”와 “대도시화” 과정 속에서의 중국조선족 민족교육
박광성
(중앙민족대학 사회학과 부교수)
들어가며
급격한 변화가 일상으로 되어 버린 오늘날에 있어서 교육만큼 중요한 대응수단이 없으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체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모든 국가나 사회에 있어 핵심적 이슈로 된다. 그 중에서도 주류사회의 소수집단으로 되어 있는 이민집단의 경우 교육은 특히 생존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로, 그 향배에 따라 삶의 방식과 지위가 결정되게 된다.
소수자집단의 교육문제에 있어 핵심적 이슈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어떻게 평등한 교육권리와 기회를 확보하는 문제이다. 즉 교육에서 어떻게 차별을 해소하고 평등한 발전권을 확보하는 가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교육에서 어떻게 문화적 발전권을 확보하는 가이다. 즉 교육과정을 통해 어떻게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해나가는 가 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교육을 소수자집단이 주류사회에 진출하고 사회적 상승이동을 이루는 주요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면, 후자의 경우 교육을 자신들의 정체성의 지키는 중요한 경로로 인식하고 있다. 즉 발전과 유지라는 다소 상반된 목표 속에서 소수자집단의 교육이념과 선택은 늘 갈등할 수 밖에 없으며,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록 그 갈등은 더 심해질 수 밖에 없다.
현재 중국조선족 민족교육이 바로 이 시점에 와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함께 소위 “조선족”으로 불리는 중국의 합법적 소수민족 지위를 획득한 조선족은 각 민족평등 발전권을 보장하는 중국의 민족정책에 힘입어 동북3성의 일부 지역에서 집거지를 형성하고 유아원으로부터 대학으로 이르는 민족교육체계와 신문, 출판 등 민족문화체계를 완성화시켰다. 따라서 대다수 조선족의 경우 1992년의 중한 수교 전까지만 해도 집거지역의 민족사회라는 틀 내에서 생활하였다.
그러나 중한수교 나아가서 세계무역조직 가입 등으로 중국이 자본주의 글로벌 경제체제 속에 급속히 편입되면서 조선족의 기존 생활세계는 급속히 허물어져가고, 압축적인 “글로벌화”와 “대도시화”과정을 겪게 된다. 시골사람이 하루 아침에 세계적 대도시 주민으로 변하여 있고, 한 가족이 여러 나라에 분산되어 있는 “초국적 가족”으로 거듭 변신하는 과정은 서방 우화에서 나오는 가난한 어부 할머니가 순간에 부자집 마나님으로 변하여 있는 것과 가히 비교될 정도로 폭넓은 것이었으며, 그 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갈등과 심리적 혼란은 뒤르켐이 일찍 지적했던 “아노미”적 상황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가장 심각하게 떠오르는 것이 어떤 생활철학과 교육철학을 가지고 미래 세대를 교육하여야 하는 가 하는 것이였다.
지난 20년간 조선족사회는 너무 급속한 변화에 휩싸여 그 변화에 몸을 맡겨야 할 뿐 “어떻게 살아야 하나?”하는 고민을 가질 겨를이 없었다. 그러나 현재 변화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면서 많은 사람들이 보다 근본적인 고민을 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으며, 그 중 자녀세대를 어떤 방식으로 키워야 하는 가 하는 문제가 핵심적인 것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것은 미래새대 교육에 대한 선택이 결국 어떤 존재로 이 세상에 남는 가하는 실존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이며, 인간이 세상에 살면서 없어서는 안되는 정체성의 정립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족사회는 앞으로 한동안 교육선택을 둘러싼 심각한 고민에 빠질 것으로 전망되며, 많은 갈등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에서는 “글로벌화”와 “대도시화”로 대표되는 조선족사회 격변기에서의 인구상황을 점검하고, 이를 기초로 기존의 민족교육체계가 맞고 있는 변화와 도전에 대하여 조명하며, 조선족교육의 새로운 모델과 진로를 탐색하는 시도에 대하여 조망하고, 이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밝혀보려 한다.
중한수교 이후 조선족사회의 “글로벌화”와 “대도시화”
중한수교 이후 조선족사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중국의 1990년, 2000년과 201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인용하여 조선족 인구의 지역분포 변화상황과 도시와 농촌 인구분포 변화상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표1>4、5、6차 인구센서스에 나타난 조선족의 도시、진、농촌인구비율(%)
연도
1990년
2000년
2010년
지역
도시
진
농촌
도시
진
농촌
도시
진
농촌
조선족
34.59
15.61
49.80
45.86
16.12
38.02
54.58
14.81
30.61
전국
18.68
7.51
73.80
23.55
13.37
63.08
30.29
19.98
49.73
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족의 도시와 진(인구가 2만명이하 소도시)인구비율은 전국 평균에 비하여 월등히 높으며, 2010년의 비율이 1990년에 비하여 19.19% 증가하였다. 즉 도시와 진 인구 비율이 평균 매년 약 1%씩 증가하였다. 또한 주의해야 할 점은 2010년 진 인구비율이 1990년에 비하여 소폭 하락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증가가 주로 도시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설명한다. 다음은 조선족인구의 지역분포 변화상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표2>4、5、6차인구센서스자료에 나타난 조선족인구의 지역분포(%)
지역
1990년
비율
2000년
비율
2010년
비율
길림성
1,183,567
61.54
1,145,688
59.55
1,040,167
56.81
흑룡강성
454,091
23.61
388,458
20.19
327,806
17.90
요녕성
230,719
12.00
241,052
12.53
239,537
13.08
북경시
7,710
0.40
20,369
1.06
37,380
2.04
천진시
1,820
0.09
11,041
0.57
18,247
1.00
상해시
742
0.04
5,120
0.27
22,257
1.22
강소성
963
0.05
5,048
0.26
9,525
0.52
내몽고
22,173
1.15
21,859
1.14
18,464
1.01
광동성
611
0.03
10,463
0.54
17,615
0.96
산동성
3,362
0.17
27,795
1.44
61,556
3.36
기타
17,603
0.91
46,949
2.44
38,375
2.10
전국
1,923,361
100
1,923,842
100
1,830,929
100
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족 총 인구에서 동북3성 조선족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990년의 97.15%에서 2010년의 87.15%로 9.36% 감소한 반면, 북경, 산동, 천진, 상해, 광동 등 연해지역의 조선족인구는 같은 기간 눈의 띄이게 증가하였다. 또한 길림성과 흑룡강성 조선족인구 감소에 비하여 요녕성 조선족인구 비율은 소폭 증가하였다. 이는 요녕성이 연해지역이라는 점과 심양, 대련 등 경제활력이 있는 대도시가 집중되어 있는 것과 연관된다. 지난 20년간 조선족 인구 지역분포 변화상황을 볼 때, 총체적으로 동북3성의 조선족인구 감소와 연해지역 대도시 인구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적해야 할 것은 인구센서스의 경우 조선족 인구상황의 총체적 변화를 설명할 수 있을 뿐 실제적인 상황은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는 중국의 인구센서스 발표자료가 상주인구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상주인구 통계가 실질적으로 호적인구와 주거증을 발급받은 인구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또한 센서스가 국외이동을 조사지표로 설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과 연관되어 있다. 중국인구센서스 경우 이동인구 통계는 유출지와 유입지 조사결과의 교차비교를 통하여 확정된다. 따라서 국외 이동인구는 교차비교를 통한 확인을 할 수 없고, 따라서 국외 진출인구는 원 호적지 인구에 편입시켜 통계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국외이동은 조선족 이동에서 큰 한 줄기를 이루고 있다. 최근 몇년간 각종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정한 조선족의 국외 진출상황은 다음과 같다.
국외진출 조선족 인구상황
국가
진출 인구
진출 시기
목적
한국
45만여명
1990년대 초기
노무,혼인,유학
일본
7~8만명
1990년대 중반기
유학,취직,혼인
북미
7-8만명
1990년대 후기
노무,유학,취직
러시아
2~3만 명
1990년대 초기
상업
기타
1~2만 명
1990년대 중반기
노무,유학,상업
합계(추정)
60~65만 명
조선족의 국외 진출상황은 2009년 필자의 연구팀이 동북지역20개 조선족농촌(길림성 10개, 요녕성5개, 흑룡강성 5개)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표4>동북3성20개조선족농촌 인구이동 조사 상황통계(2009년8월)
분류
호적인구
실거주인구
유출인구
국내이동
국외이동
합계
17245
5890
11355
6603
4752
비율
100
34.15
65.85
38.30
27.77
에서 볼 수 있듯이, 동북3성 조선족농촌의 이동인구는 호적인구의 66%에 달하며, 그 중 국외진출 인구비율도 28%에 달한다. 이는 인구센서스가 기술 상의 한계로 조선족 인구의 이동상황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설명한다. 이는 최근에 진행된 중국사회과학원 민족연구소 정신철연구팀의 현지조사 보고에 의해서도 확인된다. 그들의 조사에 의하면 2013년 11월 현재, 흑룡강성 230개 조선족마을의 호적인구186,471명 가운데 외지로 진출한 인구가 131,324명으로 총수의 70.42% 차지하였다. 이는 실제적으로 농촌의 경우 약 70% 인구가 고향을 떠났음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이 호적이 아직 고향에 남아있다는 점은 새로운 유입지에서 호적에 가입하지 않았음을 설명하며, 이들 중 얼마만한 사람들이 유입지에서 거주증을 발급받았는 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호적과 거주증 발급자 중심으로 진행되는 인구센서스통계는 추세를 반영할 뿐, 실제적인 상황을 반영하지 못함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북경시의 경우 2010년 조선족 상주인구가 37,380명으로 발표되었지만, 보다 상세한 발표자료에 의하면 그 외 26,778명의 유동인구가 존재한다. 따라서 인구센서스자료에만 근거해도 북경시 조선족 실제 거주인구는 약 7만명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해당 지역 민족사무위원회가 2008년 연구보고서를 통하여 제시한 본 지역의 실제 거주 조선족인구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국내 연해 도시 진출 조선족인구 상황
지역
연도
호적인구
임시거주증
실제거주인구
북경시
2008
7-8만명
천진시
2008
5-6만명
장강삼각주
2008
5~6만 명
주강삼각주
2008
10만여명
산동 연태시
2008
4,020
6,000
4~5만 명
산동 위해시
2008
6,866
8,857
3~4만 명
산동 청도시
2008
12,050
36,251
15만 여명
합계
2008
50~55만 명
위의 여러 자료들을 종합해보면, 지난 20년 간 이동에 참여한 조선족 인구는 약 110만-120만명 정도 될 것으로 추정되며, 그 비율은 조선족 인구 총수의 55%-60%에 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동북3성에 실제 거주하는 조선족 인구비율은 총수의 35% 좌우 될 것으로 추정되며, 1990년 97%이상 인구가 동북3성에 집중되었던 조선족 인구 분포구조는 현재 동북3성, 국내 연해 대도시지역, 국외 대도시 지역으로 삼분되는 구조로 재편되었다. 이는 “글로벌화”, “대도시화”로 특징지어지는 지난 20년간 조선족사회의 압축적인 변화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글로벌화”와 “대도시화”배경 하의 중국의 조선족 민족교육 상황
조선족 민족교육의 위기
중국의 조선족과 같이 짧은 시간 내에 강도 높은 사회변화를 겪는 집단은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다고 볼 수 있다. 압축적인 사회변화 과정은 기존 질서의 빠른 해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위에서 지적한 조선족의 강도 높은 인구이동은 기존 집거지를 토대로 하던 조선족 민족교육에 거대한 쓰나미로 될 수 밖에 없다. 현재 동북지역의 조선족 교육은 가히 “풍전등화”로 비교할 수 있겠다. 그 도전은 인구유출 이외에도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난다.
우선, 인구유출 이외에도 조선족 출생률의 저하로 인한 인구수의 감소가 기존의 조선족 교육체계를 뒤받침할 수 없다. 는 1990년 이 후 조선족 인구 증감률을 보여 주고 있다.
1990년이후 조선족 인구수 변화상황 (명, %)
인구수
중국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
비교
1990
2000
2010
1990
2000
2010
2000년과
1990년의 비교
증가
2010년과
2000년의 비교
증가
1 923 361
1 923 842
1 830 929
0.17
0.16
0.14
0.03
-4.83
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족 인구는 이미 출생율 저하단계를 넘어 인구 절대수 감소단계에 접어들었다. 일반적으로 출생률 저하 단계에 들어선 후 최저30년 이상 지나야 절대 인구수 감소단계에 들어선다. 그러나 조선족인구의 경우 그 단계가 15년 좌우 밖에 되지 않는다. 이는 기계적 인구 증감 상황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출생률의 저하는 인구 연령구조의 변화로 연결된다. 은 이를 보여주고 있다.
1990년, 2000년과2010년조선족인구 연령구조 구성상황(명, %)
연령조
1990년
2000년
2010년
인구수
비율
인구수
비율
인구수
비율
0-4세
166 190
8.64
52 126
2.71
56 107
3.06
5-9세
163 017
8.48
84 459
4.39
46 321
2.53
10-14세
146 608
7.62
167 173
8.69
51 241
2.80
15-19세
172 749
8.98
164 552
8.55
85 419
4.67
20-24세
183 038
9.52
132 316
6.88
157 015
8.58
25-29세
212 081
11.03
151 651
7.88
148 841
8.13
에서 볼 수 있듯이, 1990년에 비하여 2010년 기초교육 단계 적령 인구 비례가 현저히 떨어져 있으며 연령대가 낮을 수록 그 하락 폭이 더욱 크다. 이는 기초교육 단계 적령기의 아동수가 앞으로 더욱 빨리 감소할 것임을 예고한다. 더욱 암울한 것은 2010년 인구센서스에 의하면 조선족 여성 합계 출산율이 0.99로 세계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30년을 주기로 조선족 인구가 절반씩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동북지역의 조선족 민족교육은 인구유출이라는 요인 외에도 조선족 출산율 저하라는 도전에 직면하여 있다.
이외에도 갈수록 많은 조선족 학생들이 주류사회 진출에 유리하다는 판단 하에 한족학교를 선택하는 것도 동북지역 조선족 민족교육이 직면하여 있는 또다른 “복병”이다. 가령, 연변지역의 경우 2011년 적령기의 고등학교 조선족 학생수가 14,297명인데, 그 중 한족고등학교에 다니는 조선족학생 수가 6,007명에 달하여, 총수의 42% 차지하였다(연변일보, 2011년 6월7일). 흑룡강성 상지시의 경우 2013년 현재, 조선족소학교에 다니는 학생수와 한족소학교에서 공부하는 조선족학생 수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따라서 21세기에 들어선 후 동북지역의 많은 조선족 초중등학교가 폐교되었으며, 학생수도 빠르게 감소하였다. 가령, 2010년4월 요녕조선문보에서 진행한 “요녕성조선족중학교 실태조사”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09년 사이에 요녕성의 조선족학교와 학생 수는 50%이상 감소되어 학교 수는 2001년의 115개에서 54개로, 학생수는 26,596명에서 12,618명으로 줄었다(연변일보, 2010년6월10일). 연변지역의 경우 2000년에서 2010년사이 기초교육단계 조선족재학생 수가 5만여명 감소하여 그 폭이 63%에 달하고, 전 주 기초교육단계에서 차지하는 조선족 교육비중이 2000년의 37%에서2010년의 20.8%로 하락하였다. 흑룡강성 할빈시의 경우 고봉기에는 조선족 초등학교가 14개 있었지만 2012년에는 2개밖에 남지 않았고, 도리구조선족초등학교의 경우 학생 수가 1995년에는 650명에 달했으나 2005년에 와서는 140여명밖에 남지 않았다. 연변 다음으로 조선족인구가 집중되었던 길림성 길림시의 경우 조선족 중학교는 1998년의 11개에서 2013년의 5개로, 초등학교는 59개에서 8개로 줄었고; 조선족중학교 학생 수는 1998년의 6,126명에서 2013년의 1,286명으로 줄었다. 이러한 조선족학교와 학생 수의 급속한 감소는 압축적인 사회변화 속에서의 전통 집거지 조선족 민족교육이 직면한 위기를 잘 보여주고 있다.
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
학생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그 와중에 한족학교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늘면서 현재 운영을 유지하고 있는 조선족 초중등학교에서는 다양한 자구책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그 노력들을 분석해보면 다음 몇 가지로 볼 수 있다.
우선은 “질과 특색”으로 승부한다는 복안이다. 연변지역 학교에서 제기된 이 방책에는 교육질의 향상을 통하여 대학입시율을 높이는 동시에 특색을 강화하여 학생들을 유인한다는 것이다. 특성화를 강화하는 수단으로는 “소인수 학급교육”, “다중언어 교육”,”인성교육 강화” 등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연변지역에서 제기된 이러한 이념은 현재 점차 동북지역의 조선족학교에 퍼져 학교마다 이를 자신들의 강점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둘째는 일부 학교에서 “한족반”과 “국제부”을 운영하여 외연을 넓히는 방법으로 위기 타개책을 강구하고 있다. 인구가 유출되고 출산율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조선족 학생만을 상대로 해서는 장기적으로 학교를 유지할 수 없을 뿐 더러 학교의 시설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학교들은 한족 학생을 모집하여 “한족반”을 운영하기도 하고, 일부 학교들은 현지에 체류하거나 중국으로 조기유학을 오는 한국학생을 모집하여 “국제부”의 운영을 시도하고 있다. “한족반”의 경우 흑룡강성 목당강시조선족중학교에서 몇 년전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부”의 경우 심양과 할빈과 같은 대도시의 조선족학교들에 의하여 시도되고 있다.
셋째는 “이중언어교육”을 강화할 목적으로 한족교사를 받아들이고 있다. 시장경제가 활성화되고 정부에 의하여 주도되었던 소수민족을 우대하기 위한 칸막이 정책들이 점차 엷어지면서 동북지역 조선족사회에도 자녀들의 전망을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한족학교에 보내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학부모들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부 학교들은 한족교사를 받아들여 일부 수업을 중국어로 하고 있다. 흑룡강성 조선족중학교들의 경우 한족교사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명을 넘기는 학교가 늘고 있으며, 일부 학교에서는 한족교사가 부교장으로 승진하는 등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조선족학교가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 가?
동북3성의 조선족학교가 생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연 중장기적으로 몇 개나 되는 조선족학교가 살아남을 수 있을 가 하는 의구심은 떨쳐버릴 수 없다. 위의 다양한 시도들에서 볼 수 있듯이, 민족교육이 살아남기 위한 시도들 적지 않은 부분은 사실 민족교육을 약화시키는 조치들이다. 이는 다른 특별히 뾰족한 수가 없음을 시사한다. 인구이동과 출산율 저하로 동북지역의 조선족 민족교육의 토대는 이미 소진 되어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후과는 점점 뚜렷해질 전망이다. 따라서 앞으로 10년 내에 더욱 많은 조선족학교가 폐교될 전망이며, 20년 후를 전망할 때, 그때는 동북3성을 통털어 손꼽을 정도로 남을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족사회는 이미 지역적 집거를 이루던 농민위주의 사회에서 초국적 공간으로 확산된 대도시 이민공동체 위주의 사회로 재편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사회구조에 맞게 설계되었던 민족교육체계는 이미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수 없게 되었으며, 현재 상황은 그 변화의 막바지를 잡고 몸부침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산다”는 중국의 고사성어처럼 중국의 조선족 민족교육은 반드시 새로운 페러다임을 만들어야 한다. 새로운 페러다임을 만들지 못할 경우 갈수록 줄어드는 인구와 더불어 “조선족”은 중국 땅에서 더욱 빨리 사라질 전망이다.
연해지역에서의 조선족 민족교육
조선족 민족교육과 조선족 교육은 연관이 있지만 서로 다른 개념이다. 조선족 민족교육이 교육과정을 통하여 조선족의 언어, 문자, 문화, 역사를 학습하고 계승하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 교육형식이라면, 조선족 교육은 조선족이 받는 교육과 그 성과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조선족 민족교육은 조선족 교육의 하위개념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의 위기는 조선족 교육의 위기인 것이 아니라 조선족 민족교육의 위기인 것이다. 실제로 연해지역 대도시로 이주한 조선족의 자녀들은 오히려 집거지역 보다 더욱 우월한 조건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 처하여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민족의 글과 말,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갖기 힘든 것이 문제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해지역 대도시에서 조선족 교육이 문제인 것이 아니라, 조선족 민족교육 부재가 큰 문제로 되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지적했듯이, 인구이동과 출산율 저하로 말미암아 동북지역 조선족 민족교육은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고, 여타의 새로운 접근법이 없이는 그 위기를 만회할 대안도 없는 실정이다. 여기에 조선족 인구가 유입되어 일정 수의 인구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연해 대도시 지역에서도 조선족 민족교육을 꾸려갈 수 있는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2013년 현재, 연해지역 대도시에서 당지 정부의 허가를 받고 설립된 조선족 공립학교는 대련시조선족학교가 유일한데, 동북의 다른 지역의 조선족 학교들이 폐교되고 있는 상황에 반하여, 이 학교의 학생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1998년에는 중학부, 2001년에는 고등부가 설립되어 완전 중학교 면모를 갖추고 있다. 현재 이 학교를 다니려는 조선족 학생 수가 날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부지로 인한 학교의 학생 수용 능력부족과 기숙사가 없는 한계로 인하여 학교의 빠른 발전이 저애받고 있다.
이외 산동시 청도시에 조선족 기업인에 의하여 설립된 사립 정양학교가 있다. 더욱 많은 학생을 유치하고 민족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탐색하기 위하여 선진교육 프로그램을 인입하고, 다중언어교육, 정보화 교육, 예체능 특기교육, 고유의 민족문화와 예의교육 등을 특징으로 내세우면서 현재 학생수 650명 정도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대오의 안정화문제, 비용 문제, 대학입시 문제 등으로 인하여 아직은 많은 학부모들의 우려를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으며, 청도 지역의 경우 역시 많은 조선족 학생들이 현지의 한족학교에 다니고 있다.
이외 북경, 상해, 청도 등 지역에서 조선족 유지인사들에 의하여 몇 개의 한글 주말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이런 주말학교들은 적게는 20여명, 많게는 40-50명 학생들이 몰려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자녀에게 민족언어와 문화를 배워주려는 학부모들의 열성도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해 지역 대도시에서의 조선족 민족교육은 아직 걸음마도 뛰지 못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족 구성원들에 의한 고민은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시도들도 진행되고 있다. 이외 국가민족사무위원회와 해당 지역 정부도 최근에 들어 도시지역의 소수민족교육에 대하여 주위를 돌리기 시작했다. 따라서 결코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특히 이 문제에 있어서 현재 중국의 대도시에서 조선족의 민족교육 문제가 비교적 돌출한 만큼 이 방면에서 새로운 민족교육의 모델을 탐색해낸다면 비단 조선족에게 있어서도 희사일 뿐만아니라, 중국의 민족교육 나아가, 세계적인 난제가 되고 있는 다민족 국가의 민족교육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적지 않을 시사점을 가져다 줄 전망이다.
“글로벌화”와 “대도시화” 환경 하에서의 조선족 민족교육 진로의 탐색
지난 20년간의 조선족의 거주구조 변화로 조선족 민족교육은 지역적 집거에 기초한 공교육체계라는 단일한 방식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다양한 방식의 교육모델을 탐색해야 하는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의 배경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민족의 언어문자와 문화를 계승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집단 구성원 의지라고 할 수 있다. 즉 민족교육의 필요성과 정당성에 대한 확고한 인식과 의지가 중요한 것이다. 그렇다면 주류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소수민족집단에 있어 민족교육이란 필요한 것인가? 교육에 있어 발전과 유지라는 딜레마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 가?
이에 대하여 크게 가치적 합리성에 기초한 관점과 도구적 합리성에 기초한 관점에서 나누어 볼 수 있다. 가치적 합리성에 기초한 관점은 한 민족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응당 본 민족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계승해야 한다는 논리로 볼 수 있다. 지난날 조선족은 집거를 이루면서 민족문화 계승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다문화 정책을 표방하는 국가도 이를 위한 지지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유동성이 심해지고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하여 자신의 위치를 찾아야 하는 시점에서 교육의 질과 효율성은 어느 때보다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조상이 남겨준 문화를 지켜야 한다”는 가치적 합리성에 기초한 관점은 점차 호소력을 잃어가고, 도구적 관점이 우세를 차지하기 시작하였다.
조선족사회에 있어 도구적 관점에 기초한 인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져 있다. 하나는 “중국사회에서 성공하려면 중국어를 잘 배우고 주류사회에서 인맥을 쌓아가야 한다”는 소위 “민족교육 무용론”이다. 지난날에도 “민족교육 무용론”이 일정한 시장을 가지고 있었지만 최근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흔히 조선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한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보다 사회생활에서 뒤진다는 판단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을 뒤받침할만 한 어떠한 실증적인 자료나 권위적인 연구 성과들이 아직 없는 상태이다. 오히려 북경지역을 예를 들어 볼 때, 많은 조선족 엘리트들이 기초교육 단계에서 민족교육을 받았으며, 그 배경이 그들의 성공한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일례로 수많은 학과를 가지고 있는 중앙민족대학교에서 조선언어문학부의 취업율이 가장 높아 타민족 학생들이 부러움을 사고 있다. 따라서 “민족교육 무용론”은 현실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논증에 기초했다기보다는 상상한 기초한 도구론적 관점이다.
다른 하나는 글로벌 시대에 국제적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는 인재로 키우기 위해서는 민족교육을 포기할 수 없다는 관점이다. 그 주요 논리는 국외 지역에 8천만 좌우의 한민족집단이 존재하고 있고, 한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민족교육을 잘 활용하면 더욱 양호한 기회와 비교우세를 가질 수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일부 엘리트 집단에 의하여 주장되고 중시받고 있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수용되고 실행되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은 알 수 없다. 적지 않은 조선족의 경우 본인은 정작 한국기업이나 한국과 연관된 사업을 하면서 살고 있지만 자녀들의 민족교육에는 열정이 없는 다소 모순적인 행태를 보인다. 이는 한 편으로는 대국에서 살아가는 소수자집단으로서 주류사회에 대한 콤플렉스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글로벌시대에 주변부 집단의 큰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과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최근 국제이민에 관한 많은 연구들에서 초국적 이민집단의 활약상을 그리고 있으며, 그들을 글로벌시대에 여러 주류사회를 오가면서 교류의 연결망을 형성시키는 능동적인 집단으로 받아드리고 있다.
따라서 조선족은 글로벌시대라는 역사적인 거시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주류사회들을 연결시키는 초국적 집단으로 거듭나 여타의 이민집단이 하는 역할을 충분히 해냄으로써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 있어서 조선족 민족교육에는 발전과 유지라는 딜레마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인식의 문제가 존재할 뿐이다. 민족교육을 잘 견지하여야 주류사회사이에서 연결고리 역할을 잘 할 수 있으며, 연결고리 역할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야 더욱 좋은 발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선 민족교육을 “민족의 문화와 정체성을 계승하는 교육”으로 개념화시키기 보다는,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그 목표를 설정하고, 그 틀에서 민족교육을 바라보고,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무슨 일을 하나 해내려는 의지가 중요하고, 이를 위해선 “왜 해야 하나?”하는 정당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된다. 따라서 “글로벌화”와 “대도시화” 배경 하에서의 조선족 민족교육은 출구가 없는 문제인 것이 아니라, 큰 안목에서 보고 그 의지를 확고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된다. 그것은 목표가 확고하면 방법은 수단의 문제로 풀어갈 수 있지만, 목표가 흔들리면 사고할 기회마저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페러다임의 조선족 민족교육의 화려한 앞날을 그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