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좋은 시를 쓰는 王道 // 령혼을 노크해주는 글
2015년 07월 15일 23시 06분  조회:4715  추천:0  작성자: 죽림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광동촌 이용식 촌민 집)


천 편의 시를 베껴 쓰는 의미




(좋은 시 읽기, 쓰기...  여기까지 오는데 수많은 세월은 흘렀고... 또 흐르고...)
--- 편집자 주.

이제 막 시를 쓰기 시작한 분들이라면 읽어보십시오. 시를 쓰기 시작하여 몇 해가 지났으나 정지용, 이용악, 백석, 김관식, 김종삼, 구자운, 전봉건 시인들의 이름이 낯선 분들이라면 더욱 새겨서 읽어보십시오. 시는 단순한 넋두리나 혼자만의 도취에서 우러난 것이라고 잘못 아는 이들도 읽어보십시오.

제대로 된 시, 올바른 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이 문제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풀기 어려운 문제는 결코 아닙니다. 끈기와 열정을 가지고 과거의 낡은 버릇을 과감하게 팽개쳐버리고 다시 시작하는 각오가 있으면 됩니다.

좋은 시들을 손으로 노트에 모두 필사해 보십시오. 평생 몸 바쳐 시를 쓰고야 말리라는 결심을 하고 있다면 두려워 마십시오
[좋은 시 읽기]의 시들 맨 아래의 1번 시인들부터 100번의 시인들까지는 5편씩의 대표작을 다른 데서 찾아서라도 노트에 쓰십시오. 그리고 101번부터 300번까지 시인들 작품은 3편씩 찾아서 쓰십시오. 그 이후부터는 그냥 [좋은 시 읽기]의 시들을 필사하십시오.

하루에 5편 내지 10편을 필사할 경우, 1년이면 그 훈련이 대충 끝나게 될 것입니다. 늦어도 2년이면 그 습작 훈련이 끝나게 될 것입니다. 이만한 노력 없이 올바른 시의 길을 찾는다는 것은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찾으려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왜 시를 손으로 필사해야 하느냐고 의심합니까? 그 필사하는 과정 안에 시의 비밀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필사하면서 집중하여 생각을 하면 그 시의 심상, 그 이미지를 쓰게 된 시인의 남모를 동기, 행을 바꾼 의도, 시 속의 소리 없이 숨쉬는 운율 등이 은근히 내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읽고 지나쳐버리고 만다면 그 중요한 것들의 눈짓을 알지 못합니다. 또한 시를 쓰는 방법도 자연 그렇게 터득되는 것입니다. 어떠한 이론적 습득보다 이 방법이 가장 확실합니다.
그리고 순서를 좇아 쓰게 되면 아마 여러분은 우리나라 현대시의 역사를 스스로 깨치게 될 것입니다.

아울러 [비평/에세이]의 글들을 맨 아랫것부터 차례로 출력하여 최근의 것까지 하루에 두 꼭지씩 정독을 해 보십시오.

1,200 편의 시를 필사한다고 칩시다. 시집 겨우 20 권에 지나지 않는 분량입니다. 하루에 5 편씩 필사한대도 240일이면 할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겁내지 마십시오. 아무런 대책 없이, 좋은 시, 제대로 된 시가 어떤 것인지도 모르고 자기 혼자만의 시 쓰기에 골몰하고 자아도취에 빠져 허송하는 세월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그렇게 필사를 하고 다 하고 나면 그 때 비로소 시의 참맛과 시의 바른 길을 알게 될 것입니다.

 

*

이 과정을 마친 분은 시 이외의 교양 서적을 섭렵하는 게 좋습니다. 문학, 철학, 신화, 미술, 음악, 역사 등 교양의 축적이 폭넓은 시적 자산이 될 것입니다.

망설이지 마십시오. 지금 바로 시작하십시오. 좋은 시 속에 좋은 시를 쓰는 왕도(王道)가 있습니다.

  

강 인 한/시인

 


=================================================


영혼을 노크해주는 글이어야
 
 
 
 
 
선생님, 이번 회지에 주신 글 “선계에 같이 가십시다”를 보고 많이 울었거든요. 
여러 번을 봐도 다른 글들과는 느낌이 다르던데요. 
본성이 반응을 해서 그런 건가요? 
 
글이라고 다 글이 아니에요. 
글을 보면 쓴 사람의 파장이 느껴지기 때문에 
어떤 수준에서 나온 글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제일 좋은 글은 본성(本性), 즉 “성”을 때려주는 글입니다. 
두 번째는 영혼을 울려주는 글, 영혼을 노크해주는 글입니다. 
 
 
그런 글이 자연스럽게 나오는 거예요. 
저는 글을 쓸 때 생각을 많이 안 합니다. 
그냥 무심으로 있으면 퍼뜩 떠올라서 쓰는 데는 한 10분 정도 걸려요. 
 
 
제가 파장으로 텔레파시 할 때도 
누구를 만나면 어떤 질문을 해야지 하고 벼르고 한 적이 별로 없습니다. 
누가 “꼭 이런 질문을 해주십시오” 하고 부탁한 경우에는 
잊어버릴까 봐 기억하고 있기는 한데 
대개는 그냥 파장이 딱 맞으면 질문이 저절로 나와요. 
 
 
그리고 그분들도 대답이 즉석에서 나오는 것이지 
생각해서 답변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랬을 때 본성으로 바로 울려주는 것입니다. 
 
 
그 글도 그런 식으로 본성을 때려주는, 공감해서 울려주는 글이지요. 
말하자면 그렇게 울림이 있어라 해서, 
노크하고 싶어서 본성을 때려주고 싶어서 썼던 글이에요. 
그 글에 실린 파장도 그렇고요. 
울고 싶은 분들은 우십시오. 
 
 
 
 
저는 그 글을 보니까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러세요? 
그런데 대충 들어서는 안 되고요. 
수련을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은 확실히 들어야 돼요. 
어떻게 하면 그런 생각들이 들 수 있을까 저도 고민입니다. 
어떻게 본보기를 보이면 그런 마음이 들까요? 
 
 
 
 
선계수련이 뭐 하는 거냐 하고 누가 질문을 던지면 
한 마디로 어떻게 얘기를 해주면 될지요? 
 
책을 한 번도 안 읽어본 사람같이 얘기를 하시네요. 
저렇게 우문을 하시는데 현답을 해야 됩니까? 
 
 
선계수련이란 무슨 수련이냐? 
깨달음으로 가는 수련이라고 이미 말씀 드렸습니다. 
그러면 깨달음이란 뭐냐? 
깨닫는다는 것은 “안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면 안다는 것은 무엇이냐? 
아는 것은 상단에서 하는 일입니다. 
지혜의 소관은 상단인데, 
그 알기까지의 과정은 하단에서부터 올라와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의 앎이란 아무 의미가 없어요. 
그냥 아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것은 
하단에서부터 축적되어서 아는 것이어야 합니다. 
 
 
과정은 우선 몸에 대해서 알고 
다음에 마음에 대해서 알고 
그 다음에 지혜의 눈이 열리는 깨달음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923 미국 시인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2016-12-04 0 6128
1922 미국 시인 - 랠프 윌도 에머슨 2016-12-04 0 3956
1921 [쉼터] - 원소 "주기률표"와 어머니 2016-12-03 0 10444
1920 시인, "시편", 그리고 독서 2016-12-03 0 4357
1919 영국 첫 녀성 계관시인 - 캐롤 앤 더피 2016-12-03 0 4215
1918 영국 랑만파 계관시인 - 윌리엄 워즈워스 2016-12-03 0 5196
1917 미국 계관시인 - 테드 쿠서 2016-12-03 0 4349
1916 미국 첫 라틴계 계관시인 - 후안 펠리페 에레라 2016-12-03 0 6565
1915 <<뇌의학계>> 미국 계관시인 - 오리버 색스 2016-12-03 0 3695
1914 미국 계관시인 - W.S 머윈 2016-12-03 0 3774
1913 19세기 미국 가장 독창적인 시인 - 에드거 앨런 포(포우) 2016-12-03 0 9846
1912 미국 시인 - 로버트 핀스키 2016-12-03 0 4289
1911 미국 흑인 혼혈 녀성계관시인 - 나타샤 트레세웨이 2016-12-03 0 5128
1910 미국 계관시인 - 필립 레빈 2016-12-03 0 4347
1909 詩人은 절필할줄도 알아야... 2016-12-03 0 5429
1908 나이지리아 시인 - 월레 소잉카 2016-12-01 0 6218
1907 미국 계관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2-01 0 5287
1906 詩는 기존의 삶의 설명서가 아니라 새로운 삶의 설계도이다... 2016-12-01 0 4118
1905 스페인 시인 - 후안 라몬 히메네스 2016-11-30 0 4590
1904 요절한 천재 시인 시세계를 알아보다... 2016-11-30 0 5264
1903 詩人은 자기자신의 령혼을 련금할줄 알아야... 2016-11-30 0 3582
1902 스페인 시인 -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2016-11-30 0 6088
1901 서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레오폴드 세다르 상고르 2016-11-30 0 6587
1900 중남미 수녀 시인 - 소르 후아나 이녜스 데 라 크루스 2016-11-30 0 6331
1899 노르웨이 시인 - 비에른 스티에르네 비에른손 2016-11-30 0 5719
1898 아이슬란드 시인 - 스노리 스튀르글뤼손 2016-11-30 0 6724
1897 미국 國歌 "성조기" 작사가, 시인 - 프랜시스 스콧 키 2016-11-30 0 6612
1896 <라면> 시모음 2016-11-30 0 4408
1895 詩人은 일상의 삶을 詩처럼 살아야 한다... 2016-11-30 0 3942
1894 詩는 시인이 독자에게 보내는 "편지"가 아니다... 2016-11-30 0 4206
1893 현대 환상 문학의 대가 아르헨티나 시인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2016-11-29 0 6606
1892 자연과 인생을 노래한 일본 "김삿갓 방랑 시인" - 마쓰오 바쇼 2016-11-29 1 8475
1891 조선시대 비운의 천재 녀류시인 - 허난설헌 2016-11-29 0 4996
1890 중남미 문학을 대표하는 멕시코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6-11-29 0 6074
1889 詩人은 神이 준 언어를 잘 련금술할줄 알아야... 2016-11-29 0 3842
1888 어머니, 100원, 그리고 모성애... 2016-11-28 0 4195
1887 시인, 시, 그리고 돈... 2016-11-28 0 5469
1886 문학예술인, 삶, 그리고 비극... 2016-11-28 0 4176
1885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바늘" 2016-11-28 0 4392
1884 시인, 시쓰기, 그리고 시암송... 2016-11-28 0 3536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