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난해함 대신 일상 파고드는 시쓰기...
2015년 12월 31일 02시 11분  조회:3213  추천:0  작성자: 죽림

내년 한국 문단에 새로운 피를 수혈할 2016 한국일보 신춘문예의 심사가 완료됐다. 올해 응모자는 총 1,637명.

 

예년(1,792명)에 비해 다소 줄어든 수치다. 부문별로는 시 703명, 소설 335명, 희곡 116명, 동화 186명, 동시 297명이 원고를 보내왔다.

시 부문에서는 소위 ‘미래파’ 시가 사라진 것이 특징으로 꼽혔다. 미래파 시는 2000년대 초반 몇몇 젊은 시인들이 선보인 길고 난해한 시에 붙여진 이름으로, 신춘문예에서도 한 동안 이런 시들이 유행처럼 돌았었다. 한 심사위원은 “일상에서 느낀 감정을 명확하게 표현하려는 시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반면 읽는 이를 헷갈리게 만드는 수수께끼 같은 시가 확실히 줄어 들었다”며 “미래파 시에 대한 피로도가 커지면서 시를 가르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 모두 의식적으로 피한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등 사회참여적인 시도 별로 눈에 띄지 않았다.

소설 부문에서는 희망 없는 미래에 대한 개인의 좌절이 지배적 정서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한 심사위원은 “전통적으로 정리해고, 정년퇴직 등 삶의 고달픔을 소재로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이 많았는데, 올해는 비판까지 나가지 못하고 개인적 상실감에서 주저 앉아 버리는 경향이 컸다”며 “사회 분위기가 비관적이라 개인이 거기 갇혀 버린 듯한 느낌”이라고 평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노년의 삶을 소재로 한 작품이 크게 늘어난 것도 눈에 띈다. 다른 심사위원은 “치매나 50대 이후의 성생활을 다룬 작품이 상당수였다”며 “젊고 발랄한 문체로 쓰인 것도 많아 앞으로 비슷한 작품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희곡 부문에서는 현 대학로 연극 흐름과 비슷하게 일상적 소재, 사소한 갈등에서 비롯된 다툼을 다룬 작품이 다수를 차지했다. 한 심사위원은 “사람에게 석고를 바르거나, 청년이 임신을 하는 등 극단적인 상황 설정이 많았다”며 “연극 소재로서는 눈에 띄지만 그런 극단적 상황이 왜 만들어졌는지를 인물간의 관계나 극적인 상황 전개로 풀어야 하는데 배우들의 대사만으로 풀어냈다는 점은 아쉽다”고 평가했다.

동화 부문 응모작에는 학업 스트레스를 다룬 작품이 많았다. 엄마, 선생님 등의 캐릭터가 상투적이고 갈등을 풀어가는 방식에서 기시감이 느껴지는 게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한 심사위원은 “현실주의적 상상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회고나 단순한 의인화로 어른 작가의 관념을 계몽하는 작품이 많이 보였다”며 “이는 동화작가로서 경계할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작고 소외된 것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잃지 않고 작품 속에 녹여내려고 하는 태도는 비단 어린이들뿐 아니라 어려운 시기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큰 위로가 될 거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동시 부문은 신춘문예의 전형성에서 비껴난 작품이 많았으나 소재를 표현하는 방식에선 관습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 심사위원은 “말을 아낄 줄 모르는 시가 많았고 한 사람이 제출한 시라도 작품 간 편차가 큰 경우가 많았다”며 “동시도 엄연한 시라는 점을 잊지 말고 언어를 갈고 닦는 연습을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동시를 쓸 때는 아이에게 동시를 베푸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아이가 돼서 동심을 담으려 노력해야 한다”는 당부도 더했다.

황수현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82 아방가르드/ 시론 2015-03-27 0 3651
281 심상운 시와 기호 2015-03-23 0 3644
280 문덕수 현대시론 2015-03-23 0 4072
279 강경애 문학비 2015-03-23 0 3408
278 김창걸 문학비 2015-03-23 0 3960
277 초현실주의와 앙드레 브르통 2015-03-21 0 4617
276 초현실주의 혁명 2015-03-21 0 3481
275 초현실주의 요약자료 2015-03-21 0 3830
274 첫수확 노래비 2015-03-18 0 3667
273 류연산 문학비 2015-03-18 0 4444
272 최룡관 시비 2015-03-18 0 3647
271 김문회, 리근영, 박화, 최룡관 시비 (화룡 선경대) 2015-03-18 0 4004
270 심련수 시비 2015-03-18 0 3593
269 김파 시비 2015-03-18 0 4178
268 정몽호 시비 2015-03-18 0 3619
267 김학철, 김사량 문학비 2015-03-18 0 4788
266 김학철 문학비 (도문 장안 룡가미원) 2015-03-18 0 4040
265 조룡남 시비 2015-03-18 0 4096
264 최문섭 시비 2015-03-18 0 3706
263 김례삼 시비 2015-03-18 0 4023
262 채택룡 시비 2015-03-18 0 3604
261 윤정석 시비 2015-03-18 0 4247
260 동시인 - 강려 2015-03-18 0 3717
259 정판룡 문학비 2015-03-18 0 4006
258 연변 문학비 순례 2015-03-18 0 3787
257 리태수 시비, 조룡남 시비 (룡정 일송정 내) 2015-03-17 0 4302
256 선구자의 노래은? 2015-03-17 0 3878
255 윤동주 시비 ㄴ 2015-03-17 0 3418
254 윤동주 <서시>의 새로운 해석 2015-03-17 0 4617
253 윤동주 시비 2015-03-17 0 3602
252 김성휘 시비 2015-03-17 0 3929
251 詩碑의 是非 2015-03-17 0 3642
250 리욱 시비 2015-03-17 0 3972
249 시평 절록/ 김관웅 2015-03-15 1 4494
248 시지기의 김관웅 평론 2015-03-15 1 4079
247 시인 - 최룡국 2015-03-15 0 3959
246 시인 - 리련화 2015-03-15 0 3861
245 시조시인 - 최혜숙 2015-03-15 0 3965
244 시인 - 박룡철 2015-03-15 0 3581
243 시인 - 김미화 2015-03-15 0 3577
‹처음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