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2. 시어와 기법 1) 반어(反語) : 표현된 것과 표현의 의도가 상반된 진술 방식. 따라서 반어적 표현에는 '말한 것'과 '의미한 것' 사이의 긴장, 대조 혹은 갈등이 담겨 있다. * 긴장 : 시에서 대립되는 요소의 충돌 및 공존에서 오는 관계, 또는 여기에서 느끼는 독자의 정서적 충격
예)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김소월, 진달래꽃> - 님을 보내야 하는 극한 슬픔을 반어적으로 표현하였다.
2) 역설(力說) : 겉으로 보면 명백히 모순되고 이치에 닿지 않는 듯한 표현 속에 어떤 진실을 담고 있는 진술 방식이다.
예)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얐습니다. <한용운, 님의 침묵> - 떠나간 임이 언젠가는 다시 돌아오리라는 희망을 역설적으로 표현하였다.
3) 풍자(諷刺) : 웃음을 자아내는 가운데 날카로운 비판 의식을 감추어 두는 기법. 주로 인간의 악덕과 어리석음,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려는 목적으로 쓰인다.
예) 냇가의 해오라비 므스 일 셔잇는다 무심한 져 고기를 여어(엿보아) 므삼 하려는다 두어라 한 물에 잇거니 니저신들 엇더리 <신흠의 시조> →겉으로 보기에는 한가로운 이의 고기잡이 정도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실은 조선 왕조의 고질적인 당파 싸움을 꼬집은 풍자시다.
4) 언어 유희(言語遊戱) : 다른 의미를 암시하기 위한 말이나, 동음 이의어를 해학적으로 사용하는 것. 즉 말이나 문자를 소재로 한 말장난을 뜻한다.
예) 치정(癡情) 같은 정치가 상식이 병인 양하여 ∼ 현금이 실현하는 현실 앞에서 다달은 낭떠러지 <송욱, '하여지향'> →음절 도치에 의한 언어 유희로 재미와 함께 긴장감을 준다.
예)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하면 도라오기 어려오니, 명월이 만공산 하니 쉬어간들 엇더리. <황진이의 시조> → 동음 이의어에 의한 언어 유희. '벽계수'는 푸른 시냇물이란 뜻이자 당시 종실의 한 사람의 이름이고, '명월'은 밝을 달이자 황진이의 기명이다.
3. 시의 표현 (1) 비유(比喩, metaphor) ① 비유란 말하고자 하는 사물이나 의미를 다른 사물에 빗대어서 표현하는 방법이다.
② 비유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것(원관념)과 비유하는 사물(보조 관념)의 상관 관계가 성립된다. 즉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에 유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사성이 있어야 한다.
③ 대개의 경우 비유는 표현의 구체성, 직접성, 선명성을 높이는 수단이 되며, 일상어에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시에서 특히 많이 쓰인다.
□ 비유의 종류 ㈀ 직유(直喩) :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처럼', '∼같은', '∼인듯'과 같은 말로 직접 연결시키는 표현 기법→ 유사성
㈁ 은유(隱喩) :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A=B' 또는 'A=B 이다'로 연결하는 방법→동일성
㈂ 대유(代喩) : 어떤 사물을 다른 사물로 나타내는 표현법 - 환유(換喩) : 사물의 속성 특징으로 그 사물을 대표함. - 제유(提喩) : 사물의 일부분으로 그 사물 전체를 대표함. - 풍유(諷喩) : 원관념을 숨기고 보조 관념만으로 뒤에 숨겨진 본래의 의미를 암시하는 방법. - 의인(擬人) : 인간이 아닌 사물이나 관념에 인격을 부여해서 인간적인 요소를 지니게 하는 표현법.
(2) 상징(象徵, Symbol) ① 어느 대상이 다른 대상을 표시하거나, 본래의 고요한 의미 외에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 기법.
② 상징은 의미의 암시성과 다의성을 지닌다.
③ 비유에서는 원관념:보조 관념=1:1의 유추적 관계를 보이지만 상징에서는 1:다수의 다의적 관계이다.
□ 상징의 종류 - 관습적 상징(고정적 사회적 제도적 상징) 일정한 세월을 두고 사회적 관습에 의해 공인되고 널리 보편화된 상징
십자가 → 기독교, 비둘기 → 평화
- 개인적 상징(창조적 문화적 상징) 관습적 상징을 시인의 독창적 의미로 변용시켜 문화적 효과를 얻는 상징
윤동주의『십자가』에서 십자가의 의미→윤동주 자신의 희생 정신을 나타냄.
※ 기타 상징의 종류. 1. 자연적 상징 : 자연물이 인간에게 주는 보편적 의미의 상징 - 해→희망, 밤→절망
2. 우의적 상징 : 풍자적 우희적 통로로 상징하는 것 - 빼앗긴 들→일제 치하의 조국
3. 기호적 상징 : 약속에 의해 정해진 것 - 숫자, 문자, 부호, 신호
4. 원형적 상징 : 시대와 공간에 관계없이 신화 이후에 문화에 빈번하게 되풀이 되어 나타나는 상징 - 날개에서의 『방』→단군 신화에 나오는 『동굴』의 원형 상징.
12. 돌파 / 김경미
13. 나는야 세컨드 1 / 김경미
---------------------------------------------------------
14. 나는야 세컨드 2 / 김경미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