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詩란 심야를 지키는 민간인이다...
2016년 10월 01일 17시 58분  조회:3562  추천:0  작성자: 죽림

 

안녕하십니까?
어제까지 찌푸린 듯한 날씨가 오늘은 아주 화
창하게 개었습니다.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는 이 때에 여러분과
함께 시창작 강의를 새로 개설하게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지난 번 제1강부터 42강까지 한번씩 아니면
두번 이상을 강의를 받으신 분들도 많이 계십니
다만, 처음 이 강의를 듣는 분이 계실지도 모
르니 시에 대해 다시 강의를 몇 시간 하겠습
니다. 그러나 전 번에 했던 강의와는 중복되지
않게 새롭게 강의함으로써 지루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우선 옆에 계신 분들과 인사를 나누십
시오. 그리고 오늘 처음 오신 분들은 가실 때
꼭 저에게 들렸다 가시기 바랍니다.

그럼 차 한 잔 마시고 시작하기로 하지요.


아니 누구신가요? 강의실 안나오시고, 편하게 
집에서 인터넷상으로 공부하시는 분은요?

자, 그럼 강의에 들어갈까요?
우선 시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로 합시다.
1.시란 무엇인가

연 전에 제가 섬진강 시인 김용택시인을 찾아간
적이 있습니다. 또 작년엔 목포문협 행사에 와서
아주 짧게 강의를 하고 간 적이 있는데요.
그가 근무하는 학교는 섬진강가 언덕위에 있는
학교인데 아주 작은 미니 초등학교랍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폐교가 될 위기에 처해 있는데
요즘 학생들이 자꾸만 불어나고 있다합니다.

그 학교 학생들이 전부 시인이 되어서 시집도 
내고 한다는 소문에 글솜씨가 있는 아이들이
도시에서 전학을 오기 때문이지요.
그럼 이 시인은 그 아이들에게 어떤 시 교육을
시키는 것일까요?

그는 결코 아이들게게 따로 시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우선 그 자연을 보는 훈련을 시킨다고
합니다. 시간만 나면 산으로 강으로 아이들을
데리고 다니면서 자연을 보는 훈련을 시킨다는
것이지요. 그러고 나서
그 것들을 본대로 쓰는 것입니다. 
거기에서 훌륭한 시가 나온다는 것이지요.

여기에는 시를 잘 쓰는 세 가지 이론이 들어
있습니다.
그 하나는 많이 보고 많이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자연은 물론이지만 시집도 많이 읽으라는 것입니다.
간접 경험도 중요한 것이니까요.

둘째는 많이 써보는 것입니다. 많이 보았으면 또
본대로 쓴다면 많이 쓸 것은 분명하지요.

셋째는 아이들의 눈을 가지라는 것입니다.
아이들의 눈길은 순수하지요. 
아무런 가식이 없습니다
시는 가식이 있으면 좋지 않은 시가 되기 쉽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좋은 시인이 되려면
많은 경험을 하셔야 합니다. 
물론 지금까지의 많은 경험도 그 경험 중에 들어갑
니다. 그 다음에 그 경험들을 시로 써내는
것입니다. 다만 순수한 마음으로요.

그렇다면 이렇게 우리가 공부를 하며
또 써보고자하는 시란 무엇일까요?
우선 우리 모두는 
나도 시를 쓸 수 있을까요? 이런 질문을 하게
될 것입니다.

안도현님이 금년 새로 발간한 책에 나와 있는
<도둑들>이란 시의 첫 연을 보면

생각해보면, 딱 한 번이었다
내 열두어 살쯤에 기역자 손전등 들고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푸석하고 컴컴해진 초가집 처마 속으
로 잽싸게 손을 밀어넣었던 적이 있었다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이는 아무래도 초가집 지붕 처마 속으로 손을 넣어
참새를 잡던 경험을 그대로 늘어놓고 있습니다.아
무리 읽어보아도 그 경험을 그대로 옮겨 놓는 것
밖에는 없습니다.
이렇게 쓰는 것이 시라면 여러분이 못쓸 것이
무엇입니까?
안도현이라면 지금 제일 잘 팔리는 시인 중에 하나
이거든요. 또 시도 아주 잘 쓰는 시인입니다.
그러나 이 속에는 어렸을 때의 아름다운 추억이 
들어 있습니다. 그는 처음으로 참새의 펄떡이는
심장을 손에 쥐고 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고야 말았던 사랑이 들어있기에 시가 되는
것입니다.

김억이란 시인의 시를 한 번 볼까요.

오다 가다 길에서
만난 이라고
그저 보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이 것의 그의 시 <오다 가다>의 첫 연입니다.
정말 너무 평범하고 일상적인 말입니다.
몇 행으로 구분해놓아서 그렇지 그저 한 줄로
늘어놓으면 누가 시라고 하겠습니까?

그러나 이 말이 시가 되는 것은 오다 가다 길에서
만난 사이지만 사알짝 웃어주고 간다든지
아는 척을 하고 가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기에
그런 사랑을 표현하고 있기에 시가 됩니다.

시는 사랑입니다.
사랑하는 마음이 없으면 시인이 되지 않습니다.
흔히 우리가 젊어서 피가 끓을 때
특히 이성에게 많은 관심을 가질 때는 그 누구 하나
시인이 아닌 사람이 없습니다.
아마 하루에 절반은 시인으로 하루에 절반은 철학자
로 살았던 것이 아닌가 할 정도입니다
여러분도 그랬지요?

그래서 그 나이에 시들을 많이 씁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누구나 그 절절한 사랑을
옮기기만 하면 시인이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평생 그렇게 뜨거운 사랑만 하고
있을 수도 없고, 또 그런 감상적인 시만 계속 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그 것은 우리의 사랑의 대상을 한 사람 연인에서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으로, 내 주위의 모든 자연
과 사물을 사랑의 대상으로 삼으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만큼 시의 소재가 많아지겠지요.
그리고 그들을 뜨겁게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어떤 분은 난을 사랑해서 난에 관한 연작시를 쓰기
도하고 어떤 분은 바둑이나, 화초, 바다, 도자기,
강, 여행, 등등 자기가 좋아하는 대상에 대한
시들을 많이 쓰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일상 언어에서 아름다운 말과 추한 
말이 있듯이 우리가 시가 될 말을 골라서 써야 할 
것입니다.
아무 언어나 자기의 관심사를 기록하면 그 것은
시가 아니라 일지나 단순한 기록서가 되고 말 것
이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시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데요.
작은강의실 제1강 시창작 강의를 필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부터 하는 강의는 실제로 시를 쓰실 분들에게
시의 행과 연의 구분이라든지, 제목을 붙이는 방법
이라든지 시의 마무리에 관한 것을 서로 연구해보
려고 합니다.

오늘은 첫 시간이니 이 정도로 강의를 마치구요.
김용택시인을 찾아갔다가 썼던 제 시 한편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

** 시인을 찾아서-김용택 **

-김영천

그 작은 운동장도 얼마나 크냐고 대견해하며
몇 명 안되는 아이들과 궁그르며 뛰놀고
끙끙거리며 시도 쓰고
더러 강으로 고기잡이도 가는 시인은
우리더러 너무 어른이라 한다

강이나 들길에서 함부로 만나는
자운영이나 사철쑥이 아니고
쇠똥이나 반딧불이나 개구리가 아니고
우리더러 너무 사람이라 한다

왕방울 같은 눈을 쓰윽 쓱 돌리며 쳐다보더니
아이들이 시를 참 잘 써요
쉽게 쓰거든요

우리를 얼른 보내고 밖에 나가서
너무도 넉넉한 햇살이나
이제 막 물오른 들녘이나 강물하고 뛰놀고 싶을까
사진 찍는 것도 마다하고 서둘러 들어간다

시인을 보러 가서야
아무렇게나 방치된 시골 풍경이나
순한 아이들이나
쉽게 쓰는 시가 다 똑 같다는 것을
겨우 알았다

안도현님의 최근작 <시인>을 올립니다.

나무 속에
보일러가 들어 있다 뜨거운 물이
겨울에도 나무의 몸 속을 그르렁그르렁 돌아다닌다

내 몸의 급수 탱크에도 물이 가득 차면
詩, 그것이 바람난 살구꽃처럼 터지려나
보일러 공장 아저씨는
살구나무에 귀를 갖다대고
몸을 비벼본다 


============================================================

 

김종삼「민간인(民間人)」

 


 

1947년 봄 
심야(深夜) 
황해도 해주 바다 
이남과 이북의 경계선 용당포 

사공은 조심조심 노를 저어가고 있었다 
울음을 터뜨린 한 영아를 삼킨 곳 
스무 몇 해나 지나서도 누구나 그 수심(水深)을 모른다. 



  김종삼 (1921 - 1984)「민간인(民間人)」전문
  
김종삼 시인은 작가의 말을 아끼는 간결한 시를 주로 썼다. 
위 시에서도 간단한 상황만을 그리고 해석은 독자의 몫으로 남긴다. 1947년 심야에 초병을 피해 월남하고 있는 몇 사람 중엔 영아가 끼어있었고 울음을 터뜨린다. 그래서 모두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그 영아를 물에 빠트려 죽이고 만다. 
그 때로부터 스무 몇 해가 아니라 쉰 몇 해가 지났지만 아직도 분단은 여전하다. 아이를 어쩔 수 없이 죽이고 목숨을 구한 사람들의 가슴에 흐르는 강물의 깊이를 누가 알랴. 황해도 해주 앞바다 그 수심을 아무도 알지 못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62 프랑스 시인 - 기욤 아폴리네르 2021-01-27 0 3220
2161 미국 시인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2021-01-26 0 2199
2160 미국 시인 - 월러스 스티븐스 2021-01-26 0 2227
2159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21-01-26 0 2108
2158 미국 시인 - 엘리엇 2021-01-26 0 2461
2157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21-01-26 0 2362
2156 미국 시인 - 엘리자베스 비숍, 에이드리언 리치 2021-01-26 0 2367
2155 미국 시인 - 제임스 디키 2021-01-26 0 2164
2154 미국 시인 - 필립 레빈 2021-01-26 0 2213
2153 미국 시인 - 리처드 휴고 2021-01-26 0 1909
2152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레트키 2021-01-26 0 2173
2151 미국 시인 - 존 베리먼 2021-01-26 0 2283
2150 미국 시인 - 앤 섹스턴 2021-01-26 0 2311
2149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21-01-26 0 2013
2148 미국 시인 - 칼 샌드버그 2021-01-26 0 2408
2147 시적 개성 목소리의 적임자 - 글릭; 노벨문학상 문턱 넘다... 2020-10-09 0 2363
2146 고대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20-03-09 0 3685
2145 프랑스 시인 - 폴 엘뤼아르 2020-03-01 0 3603
2144 한국 시인, 생명운동가 - 김지하 2020-01-23 0 3377
2143 한국 최초 시집... 2019-12-16 0 3702
2142 조선 후기 시인 - 김택영 2019-12-06 0 3550
2141 토속적, 향토적, 민족적 시인 - 백석 2019-11-18 0 5515
2140 한국 최초의 서사시 시인 - 김동환 2019-10-30 0 3390
2139 한국 순수시 시인 - 김영랑 2019-09-29 0 5272
2138 [시인과 시대] - 문둥이 시인 2019-08-07 0 3883
2137 일본 시인 - 미야자와겐지 2018-12-18 0 4147
2136 "쓰레기 아저씨" = "환경미화원 시인" 2018-11-15 0 3700
213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추밭 2018-08-20 0 4152
2134 동시의 생명선은 어디에 있는가... 2018-07-09 2 3398
2133 인도 시인 - 나이두(윤동주 흠모한 시인) 2018-07-09 0 4204
2132 저항시인, 민족시인, "제2의 윤동주" - 심련수 2018-05-28 0 4869
2131 페르시아 시인 - 잘랄 앗 딘 알 루미 2018-05-04 0 5328
2130 이탈리아 시인 - 에우제니오 몬탈레 2018-04-26 0 5180
2129 프랑스 시인 - 보들레르 2018-04-19 0 6602
2128 윤동주가 숭배했던 시인 백석 2018-04-05 0 5007
2127 일본 동요시인 巨星 - 가네코 미스즈 2018-03-31 0 5112
2126 영국 시인 - 월리엄 블레이크 2018-03-22 0 3164
2125 오스트리아 시인 - 잉게보르크 바하만 2018-03-06 0 4308
2124 미국 시인 - 아치볼드 매클리시 2018-02-22 0 4891
2123 조숙한 동성련애자 천재 시인 - 랭보 2017-12-27 0 7398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