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린경제/얼레빗 = 김영조 기자]
“내장은 창난젓
알은 명란젓
아가리로 만든 아가리젓 /
눈알은 굽어서 술안주하고
괴기는 국을 끓여 먹고
어느 하나 버릴 것 없는 명태
그 기름으로도 약용으로도 쓰인데제이니 /
피가 되고 살이 되고
노래 되고 시가 되고
약이 되고 안주 되고
내가 되고 니가 되고….”
위 노래는 2002년 발표한 강산에의 7집 앨범에 있는 함경도 사투리로 맛깔나게 부르는 ‘명태’다. 그런가 하면 1952년에 발표됐던 굵직한 오현명의 바리톤 목소리로 듣는 양명문 작사, 변훈 작곡의 가곡‘명태’도 있다.
“검푸른 바다 바다 밑에서 줄지어 떼 지어
찬물을 호흡하고 길이나 대구리가 클 대로 컸을 때 /
내사랑하는 짝들과 노랑 꼬리치며 춤추며 밀려다니다가
어떤 어진 어부의 그물에 걸리어 /
살기 좋다는 원산구경이나 한 후
이집트의 왕처럼 미이라가 됐을 때
어떤 외롭고 가난한 시인이 밤늦게 시를 쓰다가
소주를 마실 때 그의 안주가 되어도 좋다 /
그의 시가 되어도 좋다
짝짝 찢어지어 내 몸은 없어질지라도
내 이름만 남아 있으리라
명태 헛 명태라고 음 허쯧
이 세상에 남아 있으리라.”
|
||
▲ 국민생선 명태는 모든 이의 안주가 된다.(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
명태는 대가리부터 꼬리까지 하나도 버릴 게 없음은 물론 명태로 36가지 이상의 음식을 만들 수 있다는데 얼큰한 생태찌개에 북엇국으로 주취를 풀어주고, 코다리찜과 구운 노가리는 쇠주 안주로 기가 막히다. 거기에 명태회냉면, 명태식해는 별미고 명태 껍질마저도 반찬거리다. 심지어 이리와 애(간), 암컷 알집인 곤이(鯤鮞)를 즐기는 사람도 있다.
대구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 “명태”는 이유원(李裕元)의 ≪임하필기(林下筆記)≫에 “명천(明川)에 태(太)가라는 성을 지닌 어부가 있었는데 어떤 물고기를 낚아 주방 일을 맡아보는 관리로 하여금 도백(道伯)에게 바치게 하였던바, 도백이 이를 아주 맛있게 먹고 그 이름을 물으니 모두 알지 못하였다.다만 이 물고기는 태가라는 어부가 잡은 것이니 도백이 이를 명태(明太)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라고 말밑을 밝힌다.
방금 잡아 올린 명태는 생태(生太), 잡아서 꽁꽁 얼리면 동태(凍太), 따뜻한 바닷가에서 완전히 말리면 북어가 되고, 명태 새끼를 내장을 빼고 꾸덕꾸덕 말려 너덧 마리씩 코를 꿰면 노가리가 된다. 알을 막 낳고 잡힌 명태는 꺽태, 알을 뱄을 때 잡힌 명태는 난태다. 눈과 바람을 맞으며 낮에 녹았다가 밤에 얼기를 너덧 달 반복하면 해장국의 으뜸 재료인 황태가 된다.
재미난 것은 황태를 만들 땐 바람이 너무 불면 육질이 흐물흐물해진 찐태가 되고, 너무 추우면 꽁꽁 얼어붙은 백태가 되며, 너무 따뜻해지면 검게 변해서 먹태가 돼 황태보다 못한 서자 취급을 받는다. 그뿐이랴. 얼지 않고 말라버리는 바람에 딱딱해진 황태는 깡태, 속살이 부드럽지 않고 딱딱한 황태는 골태,내장을 빼지 않고 통째로 만든 황태는 봉태, 잘못하여 땅에 떨어지면 낙태, 몸통에 흠집이 생기면 파태가 되기도 하여 명태와 관련된 이름은 무려 수십 가지에 이른다.
|
||
명태는 그 간으로 등잔불을 밝히기도 했고, 심지어 신행 온 새신랑 발바닥을 자지러지게 만들기도 했는데 우리는 그 명태를 복덩이라 생각해왔다. 복 많이 들어오라며 대문 문설주에 매달았던 것은 물론 요즘 도심의 음식점에서도 매달아 놓은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문명이 발달한 현대에 음식점에 매다는 것은 미신이라고 손가락질 받을법한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매달아두는 것을 보면 역시 명태는 국민생선이다.
자 출출한데 얼큰한 동태찌개, 코다리찜에 쐬주나 한 잔 하러 갈까?
‘명태’
생태, 동태, 코다리, 황태, 노가리, 동지태, …
이 세상에 명태처럼 이름 많은 생선이 또 있을까. 명태의 갖가지 이름을 알고 나면 옛 사람들이 명태를 가공하고 먹는 일에 얼마나 지극정성을 쏟았는지 놀라울 정도다.
명태는 가공 방법, 잡는 방법, 잡히는 시기, 크기 등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그러니까 잡히는 시기에 따라서는 봄에 잡은 춘태, 가을에 잡은 추태, 동짓달에 잡은 동지태, 마지막으로 잡은 막물태 등이다. 갓 잡은 건 생태, 가공 방법에 따라서는 생태를 얼린 동태, 바람에 바싹 마른 북어 혹은 건태, 딱딱하게 마른 깡태, 꾸덕꾸덕 반쯤 마른 코다리, 겨울에 눈과 바람을 맞아가며 얼었다 녹았다 마른 황태, 황태 중에서도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 육질이 흐물흐물해진 건 찐태, 너무 추워 꽁꽁 얼어붙은 건 백태, 날이 따뜻해 검게 변한 건 먹태라고 한다. 잡는 방법에 따라서는 낚시로 잡은 낚시태(조태), 그물로 잡은 그물태(망태), 원양어선으로 잡은 원양태, 동해 어민들이 가까운 바다에서 잡은 바닥태라고 한다. 크기에 따라 명태 새끼는 노가리 혹은 앵치, 애기태, 애태, 좀 더 큰 건 소태, 중태, 대태, 왜태, 그밖에 알을 밴 난태, 알을 낳고 살이 별로 없어 뼈만 남다시피 한 꺽태, 배를 가른 피태… 그리고 값이 비쌀 때는 금태라고도 불렸다.
귀한 몸값, 알래스카 명태가 인기
우리나라 수산물 중 소비량이 가장 많은 생선인 명태. 우리가 먹는 명태의 90퍼센트 이상은 북태평양 오호츠크해나 베링해에서 원양어선으로 잡아 올린 러시아산이다. 2011년 봄 일본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 오염에 대한 걱정이 커지면서 명태 값이 쑥쑥 오르고 있고, 명태잡이 배는 점점 더 위로 올라가고 있는 중이다. 명태의 귀한 몸값을 가장 확실하게 실감할 수 있는 건 어묵이다. 이제 어묵의 원료가 되는 건 찬물을 자유로이 호흡하며 자라 살이 탄탄하고 담백한 명태가 아니라 따뜻한 동남아시아 바다에 사는 값싼 실꼬리돔이다.
얼마 전 풀무원이 선보인 어묵 ‘알래스칸특급’이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건 명태의 형편을 아는 이들이 늘어서이지 않을까. ‘알래스칸특급’은 베링해에서도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알래스카에서 잡은 신선한 명태의 순살만으로 만들어진단다. 알래스카 해역에서는 잡을 수 있는 생선별 크기와 어획량이 제한되어 있으며 알래스카수산물협회로부터 원료와 원산지에 대한 인증을 받는다니 그 맛은 물론이거니와 명태 볼 낯도 좀 서겠다.
셀 수도 없이 많은 이름으로 불리던 우리 친구 명태는 어느새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이 되어버렸다. 언젠가 명태 가문에서 달랑 ‘명태’라는 이름 하나만 남는 날이 오면 어떡하나. 명태를 알고 나니 비로소 명태가 사는 바다가 보이기 시작한다. 지금은 알래스카에 살고 있지만 어서 빨리 우리 바다로 돌아 와주길 바라며 담백하고 탄탄한 명태 살로 만든 어묵으로 아쉬운 마음을 달래본다.
글을 쓴 한정혜는 음식과 문화, 환경 속에 깃든 이야기를 찾아 글을 짓고 알리는 일을 한다.
바람은 자연스럽게, 맛있게, 일하기.
검푸른 바다, 바다 밑에서 줄지어 떼 지어 찬물을 호흡하고 길이나 대구리가 클 대로 컸을 때 … 어떤 어부의 그물에 걸리어 살기 좋다는 원산 구경이나 한 후 에지프트의 왕자처럼 미이라가 됐을 때 어떤 외롭고 가난한 시인이 밤늦게 시를 쓰다가 쇠주를 마실 때 그의 안주가 되어도 좋다 그의 시가 되어도 좋다 짝짝 찢어지어 내 몸은 없어질지라도 내 이름만 남아 있으리라 헛 명~태, 명태라고
헛 이 세상에 남아 있으리라’ 명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으뜸으로 꼽는 국민생선이빈다. 그래서 가곡까지 만들어졌는지 모릅니다.
더구나 명태처럼 이름이 많은 생선도 없습니다. 봄에는 춘태(春太), 가을에는 추태(秋太), 겨울에는 동태(冬太), 유자망으로 잡는 그물태, 낚시로 잡는 낚시태, 원양어선에서 잡힌 원양태, 근해에서 잡힌 지방태, 함경도 연안에서 잡힌 왜태(倭太), 강원도에서 나는 강태(江太), 강원도 고성 간성에서 잡은 것은
간태(桿太)입니.
눈보라를 맞으며 덕장에서 3~4개월 건조한 황태도 이름이 제각각입니다. 하얗게 말라버린 백태(白苔), 마르지 못하고 검어지면 먹태, 날씨가 따뜻해 물러지면 찐태, 흠집이 나면 흠태, 머리는 없고 몸만
있으면 무두태, 눈밭으로 떨어지면 낙태, 알맹이가 없는 통태 등등 다양한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초겨울 도루묵 뒤쫓아 오다 잡히면 은어받이, 동지 전후에 잡히면 동지받이, 봄철 마지막 어기에 잡힌 막물태, 산란 뒤 살은 없고 뼈만 남은 것을 꺾태라 부릅니다.
이밖에 잡는 달에 따라 일태, 이태, 삼태 등등이 있습니다. 내장은 창란 젓갈로 머리는 귀세미 젓갈로 알은 명란 젓갈로 담가 먹습니다. 그래서 명태는 우리 식단에서 가장 친근한 생선입니다.
이처럼 온 국민의 사랑을 받는 명태에 또 하나의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해양수산부가 명태를 살려오면 50만원을 주겠다며 최근 어획량이 급격히 줄어든 동해산 국산 명태 되살리기에 나선 것입니다.
부상한 것입니다.
확보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우리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어종 중 하나인 명태가 하루 빨리 돌아오기를 기대합니다.
명태(Theragra chalcogramma, 明太)란?
지역이나 상태, 잡는 방법 등에 따라 여러 이름 가지고 있어 강원도, 경기도 이남에서는 북어(北魚), 동해 연안에서는 동태(凍太) 라고도 하며, 신선한 명태를 선태(鮮太), 그물로 잡은 명태를 망태(網太), 낚시로 잡은 명태를 조태(釣太)라고도 부릅니다. 또 그 새끼는 노가리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습니다. 명태는 몸이 가늘고 길며 측편하고, 주둥이는 뾰족하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돌출해 있습니다. 아래턱에 수염이 없거나 있어도 매우 짧습니다. 양 턱니는 융털 모양의 이빨띠를 형성하고 위턱의 외열치는 약간 큽니다. 제1·2뒷지느러미는 각각 제2·3등지느러미와 마주보고 있습니다. 몸빛깔은 등쪽이 갈색이고, 옆구리에 가운데가 끊긴 약 2줄의 흑갈색 세로띠가 있고 세로띠의 가장자리는 불규칙합니다. 옆구리의 위쪽이 청갈색인 것과 황갈색인 것이 있는데, 이것은 수온과 생태적인 차이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등지느러미는 첫번째가 10~13개, 2번째가 14~18개, 3번째는 15~20개 여린줄이 있으며 뒷지느러미는 첫번째가 17~22개, 2번째는 16~21개의 여린줄로 되어 있습니다. 배지느러미에는 6개의 여린줄이 있고, 척추골은 49~51개입니다. 몸길이는 40~60㎝ 내외입니다. 명태는 버릴 것이 없이 모두 이용되는 중요어류로서 알은 명란젓에, 창자는 창난젓에, 간장은 어유(魚油)에 쓰입니다. 우리나라 명태잡이는 조선 후기에 본격적 발달했고, 1960년대에 들어 북태평양으로 진출하면서 어획량이 급증하게 되었습니다. 그뒤 1988년 이후 미국의 대외국 쿼터가 소멸되는 등 여건 변화에 따라 어획량이 줄게 되었으나 1991년 9월 한·소어업협정이 체결 되면서 다시 어획은 호전되고 있습니다(1990년의 명태 어획량은 26,534M/T였음). 우리나라의 함경남북도·강원도·경상북도 연해와 오호츠크 해, 베링 해, 북아메리카 서해안, 일본 야마구치 현(山口縣)서 이바라키 현(茨城縣) 이북의 북태평양 연해에 분포합니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