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음유시인 전통의 뛰여난 후계자 ㅡ 노벨문학상 주인 되다...
2016년 10월 14일 20시 50분  조회:4312  추천:0  작성자: 죽림
기사 이미지
밥 딜런의 노벨문학상에 하루키는 '속으로 울었다'

노벨문학상이 미국의 뮤지션 밥 딜런에게 돌아가자 유력한 수상 후보로 거론됐던 작가들의 트윗은 각양각색의 반응으로 눈길을 끌었다.


고배 마신 후보들의 이색 '낙선사례'
하루키는 '초연', 루시디·캐럴 오츠는 '옹호'
어빈 웰시 "음악과 문학 다르다" 맹비난
스웨덴 한림원, '귀를 위한 시' 의미 부여

스웨덴 한림원의 결정에 대해 작가들은 저마다 문학적 소양을 한껏 발휘한 트윗으로 옹호하거나 비난했다.

우선 집필에 몰두하는 동안을 제외하면 끊임없이 트위터로 독자들과 소통하는 '헤비 트위터러', 무라카미 하루키의 반응은 '초연'이다.
 

노벨문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됐던 3명의 작가들. 왼쪽부터 무라카미 하루키, 어빈 웰시, 살만 루시디.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확정된 뒤 하루키가 트윗에 올린 '낙선사례'는 덤덤했다.

그는 "참된 작가에게는 문학상 따위보다 더 중요한 것이 아주 많다"고 운을 뗐다. "하나는 자신이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실감이고, 또 하나는 그 의미를 정당하게 평가해주는 독자가 분명하게 존재한다는 실감"이라고 풀었다.
 
 

상은 형식일 뿐…똑같은 실패 되풀이하고 싶진 않다" (하루키)


그는 "그 두 가지 확실한 실감만 있다면 작가에게 상이라는 건 어떻게 되든 상관없는 것"이라고 했다. 문학상이란 게 "어디까지나 사회적인 혹은 문단적인 형식상의 추인에 지나지 않는다"고도 했다.

자신이 노벨상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하지만 노벨상에 대한 욕심이 아예 없었던 건 아니다. 한때 하루키는 노벨상에 대한 은근한 욕심을 내비치기도 했다.

9월 23일의 트윗에서 자신의 성격에 대해 "나는 지는 것을 싫어하는 성격은 아니다. 사람은 누구든 영원히 이기기만 할 수 없다"면서도 "그러나 그와 별개로 똑같은 실패를 몇 번이나 되풀이하고 싶지도 않다"고 했다.

그러나 이후 트윗에선 자기가 노벨상을 받지 못할 것을 예감하는 듯한 암시를 주기도 했다.

수상자 발표가 있기 전인 지난 9일 "돈과 명예와 경의를 동시에 손에 넣는 것은 상당히 힘들다. 그 가운데에서 두 가지를 손에 넣었다면 이미 만만세가 아닐까?"라는 글을 썼다.

올해의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뮤지션 밥 딜런.

수많은 베스트셀러로 돈과 명예를 얻었으니 경의의 상징인 노벨상을 못 받더라도 이미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고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보다 이틀 전에는 그는 "사람은 누구든 영원히 이기기만 할 수 없다. 인생이라는 고속도로에서 추월 차선만을 계속해서 달려갈 수는 없다"고 썼다.

하루키의 트윗은 대부분 일상적인 끄적거림이지만 무엇 하나 버릴 게 없이 하루키만의 감성을 맛볼 수 있는 소고(小考)들이다. 그의 트위터 계정 팔로워는 34만 명을 넘는다.

하루키는 글쓰기를 숙명으로 여기고 앞으로도 계속 매진하겠다는 뜻도 비쳤다. 그는 "글을 쓰는 것이 무엇인가를 계속 잃고, 세상에서 끊임없이 미움 받는 것을 의미한다 해도 나는 역시 그렇게 살아가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가 묘비에 새기고 싶다며 올린 글은 죽을 때까지 자신의 숙명이 완성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그가 원하는 묘비명은 '적어도 끝까지 걷지는 않았다'이다.
 
 

음악과 시는 매우 가까이 연결돼 있다" (살만 루시디)


인도 출신의 영국 소설가 살만 루시디는 밥 딜런을 "음유시인 전통의 뛰어난 후계자"라고 극찬했다.

그는 자신의 트위터에서 "오르페우스(그리스 신화의 음유시인)부터 파이즈(파키스탄 가수)까지 음악과 시는 매우 가까이 연결돼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밥 딜런 음악의 시적 표현(가사)을 문학의 전통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기사 이미지

1960년대를 풍미한 밥 딜런의 대표 앨범들. 위줄 왼쪽부터 The Freewheelin` (1963), Times They`re A-Changin`(1964) Bringin` All Back Home(1965). 아랫줄 왼쪽부터 Highway 61 Revisited(1965), Blonde on Blonde(1966) , Nashville Skyline (1969).

 

딜런의 음악은 '문학적'" (조이스 캐럴 오츠)


미국의 여성 소설가 조이스 캐럴 오츠의 생각도 루시디와 다르지 않다. 캐럴 오츠는 수상자 발표 직후 올린 트윗을 통해 "딜런의 음악은 아주 깊은 의미에서 '문학적'이었다"고 밥 딜런을 옹호했다.

그러나 이번 수상 결과를 맹비난한 이도 있다.

스코틀랜드 출신 소설가 어빈 웰시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AP통신에 따르면 어빈 웰시는 밥 딜런의 수상 소식에 화를 버럭 내며 비난했다고 한다.

그의 트윗 글은 매우 '문학적'이고 심오하다.
 
 

썩은 내 나는 '노스탤지어 상'…사전 펴서 '음악'과 '문학' 비교해 보라" (어빈 웰시)


웰시는 "나는 딜런 팬이지만, 이것은 노쇠하고 영문 모를 말을 지껄이는 히피의 썩은 내 나는 전립선에서 짜낸 노스탤지어 상"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음악 팬이라면 사전을 펴놓고 '음악'과 '문학'을 차례로 찾아서 비교하고 대조해 보라"고도 했다.

웰시의 서운함을 이해 못할 바는 아니지만 음악과 문학의 경계를 구분 지으려는 그의 주장은 설득력이 별로 없어 보인다.

중앙일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82 詩는 언어로 남과 더불어 사는 정서를 절규하는것... 2016-11-28 0 3418
1881 시인, 시, 그리고 미술... 2016-11-27 0 3539
1880 시인, 시, 그리고 경제... 2016-11-27 0 2925
1879 시인의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16-11-27 1 4717
1878 현대시를 이끈 시대의 대변인 영국시인 - T.S. 엘리엇 2016-11-27 0 4610
1877 "부부 시인"의 비극과 또 하나의 그림자 2016-11-26 1 5004
1876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16-11-26 0 4550
1875 독일 시인 - 롤프 디터 브링크만 2016-11-26 0 3477
1874 권총으로 자살한 구쏘련 시인 - 마야꼬프스끼 2016-11-26 0 3737
1873 20세기 러시아 최대 서정시인 - 안나 아흐마또바 2016-11-26 0 2912
1872 20세기 러시아 최대의 시인 - 오시쁘 만젤쉬땀 2016-11-26 1 3251
1871 상상하라, 당신의 심원한 일부와 함께 비상하라... 2016-11-26 0 2649
1870 세계문학상에서 가장 짧은 형태의 시 - "하이쿠" 2016-11-26 0 3412
1869 詩의 탄생 = 人의 출생 2016-11-26 0 2944
1868 실험적 詩는 아직도 어둠의 아방궁전에서 자라고 있다... 2016-11-26 0 3210
1867 詩가 무엇이길래 예전에도 지금도 실험에 또 실험이냐... 2016-11-26 0 3887
1866 詩는 독자들에게 읽는 즐거움을 주어야... 2016-11-26 0 2787
1865 詩를 더불어 사는 삶쪽에 력점을 두고 써라... 2016-11-26 0 2957
1864 詩人은 명확하고 힘있게 말하는 사람... 2016-11-26 0 2956
1863 詩를 발랄한 유머와 역설의 언어로 재미있게 읽히는 시로 써라... 2016-11-26 0 3205
1862 캐나다계 미국 시인 - 마크 스트랜드 2016-11-22 0 4516
1861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로스케 2016-11-22 1 5301
1860 러시아계 미국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6-11-22 0 4019
1859 詩란 마음 비우기로 언어 세우기이다... 2016-11-22 0 3206
1858 자연속의 삶을 노래한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1-21 0 5502
1857 풍자시란 삶의 그라프를 조각하여 통쾌함을 나타내는 시... 2016-11-21 0 3101
1856 미국 재즈 시의 초기 혁신자 中 시인 - 랭스턴 휴스 2016-11-20 0 4416
1855 락서는 詩作의 始初에도 못미치는 망동... 2016-11-19 0 2892
1854 인기나 명성에 연연해하지 않고 자신의 색갈을 고집한 예술가 2016-11-18 0 4413
1853 카나다 음유시인 - 레너드 노먼 코언 2016-11-18 0 4524
1852 령혼 + 동료 = ...삶의 그라프 2016-11-18 0 2856
1851 김영건 / 박춘월 2016-11-18 0 2711
1850 詩作의 첫번째 비결은 껄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쓰는것... 2016-11-18 0 3322
1849 詩作할때 "수사법" 자알 잘 리용할줄 알아야... 2016-11-16 1 4142
1848 詩人은 "꽃말"의 상징성을 발견할줄 알아야... 2016-11-15 0 2916
1847 진정한 "시혁명"은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안받침되여야... 2016-11-15 0 2892
1846 고 김정호 / 허동식 2016-11-15 0 2969
1845 윤청남 / 허동식 2016-11-15 0 2903
1844 詩를 제발 오독(誤讀)하지 말자... 2016-11-15 0 3037
1843 "님의 침묵"이냐?... "情人의 침묵"이냐?... 2016-11-14 0 3203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