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2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리백은 술 한말에 백편의 시를 못썼다?... 썼다!...
2017년 05월 02일 00시 21분  조회:3901  추천:0  작성자: 죽림

 

(能飮一杯無) 
ㅡ누구 술 한잔 할 이 없는가?

 


술과 함께 떠나는 한시 여행
이백, 술 한말에 시 백편
술은 삶의 열정과 초탈의 묘약

 

 

이철성  우리술문화원 향음 이사, 전 JP모간 상임고문

 

 

 

..시작하며...

이 칼럼의 소제(小題)인 '能飮一杯無'는 "술 한잔 하실래요? 정도의 뜻이다. 

백거이의  '問劉十九'라는 시의 마지막 구에 나오는 표현으로, 술이 보글보글 익어 가는데 마침 눈 까지 내릴 것 같으니 친구와 술 한잔 하고픈 생각이 간절해서 던진 말이다. 중국 사람들이 참으로 애용하는 시 구절이기도 하다. 앞으로 연재되는 글의 말미에는 중국인들이 좋아하면서 암송하기 쉬운 시 한 편씩을 골라 발음과 함께 소개해 볼까 한다. 필자의 중국생활 경험에 비추어 중국인들과 친분관계를 쌓아가는 데는 시 한 수로 교감을 나누는 것 이상 손쉬운 방법도 없기 때문이다. 우연히 나눈 시 한수의 정담이 꼬여가던 중국 사업을 술술 풀어가게 하는 묘약이 될 지 누가 알겠는가.

 

 

춤(舞), 노래(歌), 시(詩), 그리고 술(酒)... 
우리 인류의 삶의 모습에 관한 기록이 남겨지기 시작한 이래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많이 언급되어 온 친숙한 단어들일 것이다. 춤과 시가(詩歌)는 인류의 초기부터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원초적인 감정 교류의 수단이었고, 술은 그 감정의 폭을 넓고 깊게 하는 촉매제로서 감초와 같은 역할을 해 왔기 때문이리라.

 

이 네 가지 요소는 나름의 독자적인 영역을 지키면서 각기 발전해 오기도 했지만, 때로 각 요소끼리 이리 저리 붙어서 서로의 가치를 높여 왔다. 시와 술의 관계가 특히 그러하다.

 

중국에 '인간관계는 시(詩)와 술(酒)과 차(茶)로 이루어진다'는 말도 있다. 차(茶)가 냉정과 이성과 현실을  담아낸다면 술(酒)은 열정과 초탈과 예술세계를, 시(詩)는 이 모든 것을 버무려 담아내는 용광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은 아닐까.

 

'술이 없었다면 이백의 시도 없었다'

중국의 시를 살펴보면 예나 지금이나 술과 관련된 시(飮酒詩)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중국 성당(盛唐) 시기의 주선(酒仙)으로 불리는  이백(李白)이 지은 1,100여 수의 시중 170여 수가, 시선(詩仙)으로 불리는 두보(杜甫)의 시 1,400여 수 중 300여 수가 술을 소재로 삼았다. 이백의 경우 술을 마시면서 시상(詩想)에 겨워 쓴 시 까지 포함할 경우 사실상 그의 모든 시가 음주시라 할 것이다. 전해오는 얘기에 의하면, 그가 술을 먹지 아니하고 맨 정신으로 지낸 시기는 당 현종 때 2년 남짓 한림공봉(翰林供捧, 일종의 황제의 藝人)의 직책을 수행하던 기간, 그것도 현종을 알현할 때의 극히 짧은 시간에 그쳤다고 한다.  

 

두보가 지은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를 보면 이백의 음주 행태가 눈에 선히 그려진다. 성당(盛唐) 시기에 유명했던 酒仙 8인(李白, 賀知章, 李適之, 李璡, 崔宗之, 蘇晉, 張旭, 焦遂)의 술 실력에 대해 묘사를 하고 있는 이 시는 특히 이백에 대해 가장 긴 문장을 할애하며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이백은 술 한 말에 백 편의 시를 쓰고 
장안 저잣거리 술집에서 잠들기 일쑤며 
천자가 불러도 술에 취해 배에 오르지 못하니 
스스로 일컫기를 술의 신선이라 했다네"

 

李白一斗詩百篇 
長安市上酒家眠 
天子呼來不上船 
自稱臣是酒中仙

 

한 말의 술에 시 백편이 쏟아져 나오고, 당 현종이 불러도 강 건너 저잣거리에서 술을 퍼 마시다가 취한 상태에서 의관을 겨우 갖추고 현종 앞에 허겁지겁 나타나는 모습이 눈에 선히 그려진다. 어디 이백과 두보  뿐이랴. 도연명, 백거이, 소동파 등 중국의 시사(詩史)에서 내로라하는 시인들의 인생 역시 술을 빼놓고 얘기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렇게 우리네 인생살이에서 떼어내고 싶어도 그리 할 수 없는 술이란 존재는 도대체 어떻게 인간과 처음 인연을 맺게 되었을까

 

백주 시조 의적·두강, 후세엔 상표권 다툼

사실 술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한다 해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머루와 같은 과일이 자연적으로 발효하여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체가 된 것은 오히려 인류의 탄생 훨씬 이전부터 진행되었을 것이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맛있게 마시는 과일주의 초기 형태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술의 발전사를 크게 자연 발효 단계, 인공적 발효 단계, 증류 단계의 세 단계로 나누어 본다면 그 첫 번째인 자연발효단계는 이와 같이 이미 인류의 역사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이다. 자연 상태에서 저절로 발효된 술을 인류 중 누가 처음 발견하고 마시기 좋은 형태로 제조하기 시작하였는지도 궁금한 일이다.

 

어느 나라에나 술의 기원에 관한 설화가 있지만 중국 사람들은 夏나라 禹王 시기 의적(仪狄)이란 사람에게 술 발명의 공을 돌리기를 좋아한다. "옛날에 제녀(帝女)가 의적으로 하여금 좋은 술을 만들게 하여 우(禹) 임금에게 받쳤으며 우임금이 이를 달게 마셨다.", "우 임금이 이를 달게 마시고 뒷날 술로서 나라를 위태롭게 할 것이라면서 의적을 멀리 했다" 등등의 얘기가 «世本», «吕氏春秋», «战国策» 등에 전해진다. 지금으로부터 4,000여 년 전의 얘기다.

 

허난성(河南省) 핑딩산(平頂山)의 바오펑현(宝丰县)에 생산되는 바오펑주(宝丰酒)라는 술이 있는데, 이 지역 사람들은 옛날 의적의 설화가 전개된 곳이 자기네 고장이라며 이 술이 의적의 대를 잇는 적통주 라고 주장한다. 이 술을 생산하는 공장의 정문에는 의적의 동상까지 세워져 있다.

 

오늘날 술의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杜康"을 중국 술의 시조라고 보는 주장도 많다. 두강(杜康)은 中厦시기 사람으로, 먹다 남은 밥을 주먹밥으로 만들어 뽕나무의 구멍 속에 넣어 두었는데 며칠 지나 우연히 술이 되어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 이것이 두강주의 기원이 되었다는 것이다. 

 

두강이란 사람에 대해서는 《世本》, 《吕氏春秋》, 《战国策》, 《說文解字》 등과 같은 고서에 다수 기록되어 있는 만큼 실존 인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여겨진다.

 

두강주는 중국의 한시에도 자주 등장한다. 위나라의 武帝였던 조조(曹操)의 '단가행(短歌行)'에는 "무엇으로 근심을 풀까, 오직 두강이 있을 뿐이네 (何以解憂, 唯有杜康)" 라는 구절이 나온다. 또 진대(晋代)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시인 완적(阮藉)은 "벼슬길에 나가는 것은 즐겁지 아니하고 오로지 두강주만이 중하도다 (不樂仕宦,惟重杜康)"라며 두강주를 사랑하는 마음을 시로 표현하고 있다.

 

또 시성(詩聖)인 두보(杜甫)는 '題張氏隱居'에서 "봄풀에는 사슴들이 울어대고 두강주는 권하기 바쁘다(春草鹿呦呦 杜酒偏勞勸)"라고 두강주 마시는 즐거움을 묘사하고 있다.

 

시인들이 다투어 두강을 찬미하였기 때문일까. 중국내의 이런 저런 지역(陝西省의 白水懸, 河南省의 汝陽縣 및 伊川縣등) 양조회사들은 자기네 술이 적통 두강주라 서로 주장하며 상표권 분쟁도 불사하고 있다. 
  
시 속에 술 이름이 처음 들어간 예는 중국 최초의 시가집인 시경(詩經)에서 찾을 수 있다.  詩經의 《豳风.七月》에는 "為此春酒,以介眉壽"。冬天酿酒,經春始成,名爲"春酒"。즉 "여기 봄에 빚은 술로 장수(長壽)를 축하하다. 봄에 술을 빚고 봄을 지나 숙성하니 이것이 춘주다."라 하여 지금까지 특정 술의 명칭으로, 때로는 일반 명사처럼 쓰이기도 하는 춘주(春酒)가 이미 2000여 년 전에 등장했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인류의 역사를 같이 하는 술의 기원과 시와 술의 관계, 전설과 시로부터 탄생하게 된 전통 명주 등에 대해 살펴봤다. 다음 회 부터는 1000여 년 전의 기라성 같은 중국 시인들과 함께 음주시의 세계를 여행해 보기로 하자. 술을 인생철학의 경지로 승화시키며 자연과 함께 무위의 생활을 한 도연명, 술을 인생과 시의 소재로 삼고 호방 표일한 술 속의 삶을 살았던 이백, 술을 벗 삼으면서도 냉철한 이성으로 엄격한 시 미학세계를 구축했던 두보, 스스로 술을 담고 음식을 개발하며 불우했던 긴 기간을 백성과 함께 하였던 소동파 등이 우리 여행의 반려자가 될 것이다. 이 여행을 통해 자연과 함께 유유자적하는 여유를, 회재불우(懷才不遇)의 한을, 때로 인생 득의의 달콤한 감격을 느끼면서 우리네 고단한 인생살이를 술 한잔 시 한수로 위로받을 수 있다면 이 이상 좋은 일이 어디 있을까 싶다.

 

▲두강의 양조도 ( 출처 : 바이두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117 [문단소식]- 황금의 가을에 "가을의 눈"을 보다... 2024-09-09 0 1078
3116 [문단소식]- 중국조선족 시인들 시향이 바다로 건너 섬으로 가다... 2024-09-09 0 1202
3115 20세기의 신화/김학철(제목 클릭하기... 訪問文章 클릭해 보기...) 2024-08-23 0 1298
3114 김학철/정판룡 2024-08-23 0 1332
311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노벨평화상" 경매 기부, 남의 일이 아니다. 2023-04-21 0 3903
311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영화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5-29 0 3377
3111 [그것이 알고싶다] - "청와대로 가보쟈..." 2022-05-14 0 2984
3110 [세상만사] - "문제...문제" 2022-05-14 0 2276
3109 [해외문단소식] -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워라..." 2022-05-09 0 2765
3108 [해외문단소식] - "그리움도 화석이 된다..." 2022-05-09 0 2674
31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피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5-02 0 2867
31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이야기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5-02 0 2561
310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그림책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5-02 0 2463
31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록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4-08 0 2812
310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무라토프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4-08 0 2528
31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언어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4-08 0 2524
310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노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3-24 0 2810
3100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 평화상" 2022-03-24 0 2598
309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평화상" + "인도주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3-24 0 2672
3098 [세상만사] - "고래 똥 = 로또"... 2021-10-12 0 3281
3097 [별의별] - "둥글다"와 "평평하다"... 2021-09-13 0 3190
3096 [세상만사] - "표면이 벗겨진 금메달" 박물관으로... 2021-09-02 0 2744
3095 자유 자유 그리고 자유... 2021-08-07 0 2753
309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생태복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7-14 0 2810
3093 [별의별] - 소똥과 신성화... 2021-06-25 0 3088
3092 [세상만사] - 윤여순 / 윤여정 + (딸) = 원동력 어머니... 2021-06-04 0 3070
309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코끼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6-04 0 3112
3090 [문단소식] - 송화강반에 피여나는 문학의 향연... 2021-05-23 0 2778
3089 김승종 譚詩 "추억 다섯개비"를 고향 향해 올리나니... 2021-05-23 0 3056
308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대기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22 0 3004
308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평화의 녀신",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6 0 3147
308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미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6 0 3267
30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평화와 미인"... 2021-05-16 0 3384
308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평화와 시인의 죽음"... 2021-05-16 0 3417
308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쥐 떼와의 전쟁",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5 0 3362
3082 [세상만사] - 심봤다... 억... 2021-05-10 0 3095
3081 [세상만사] - 천종산삼... 억... 2021-05-10 2 2879
3080 [세상만사] - 100년 산삼 한뿌리... 억... 2021-05-10 0 3039
3079 [그것이 알고싶다] - "민성보" 2021-05-10 2 3403
3078 [별의별] - 코끼리와 새둥지 새끼새 2021-05-10 0 3203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