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9월 2024 >>
1234567
891011121314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어머니,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2017년 05월 20일 00시 28분  조회:2210  추천:0  작성자: 죽림

10. 초보 단계에서 시쓰기

시 쓰기를 처음 시도할 때는 먼저 형식과 내용에 신경을 쓰게 된다.형식면에서 가장 쉬운 방법이 있다면 정해진 틀을 그려 놓고 그 속에 내용을 끼워 넣는 것도 하나의 요령일 수 있겠다.


난 그날이 오면 내 팔과 내 얼굴은
밝은 웃음을 지으며
하나씩 치장을 합니다.

난 그날이 오면 사랑의
햇살을 받으며
조금씩 하얗게 피어납니다.
하얀 아이들의 웃음을 벗삼아
뭉개구름을 따라 그렇게 피어납니다.

난 그날이 오면 사랑의
햇살을 받으며
초록색 내 팔을 뻗습니다.
저 공허한 하늘에 태양을 따라
초록색 옷을 입습니다.

그날이 오면……
(고교생 작품, '목련')


친구야!
흰 눈이 소리 없이 내리는 하얀 겨울날
너에게 이 글을 띄운다.
지금 창 밖을 보면 아직 겨울이고
봄은 오지 않았는데
이 하얀 겨울은
너무나도 빨리 가려하는구나.
친구야!
온통 초록이던 내 마음이
오늘 아침에는 하얀빛으로 변했단다.
온 세상이 하얀 겨울로 변했듯이 말이야.
저 눈 속에서
너와 단 둘이 누워
눈물을 우리 품에 모두 안아보고 싶구나.
친구야!
왠지 하얀 겨울날은 슬퍼진다.
네가 내 곁에 없는 탓일까.
나에게 네가 없는 차가운 겨울은
모든 생명체가
깨어나지 않은 봄과 같구나.
친구야!
이 하얀 겨울이 다 가기 전
우리 기차를 타고 긴 여행을 떠나자.
서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젊음을 얘기하며
누구도 들을 수 없는
작은 목소리로 우리들의 사랑을 속삭이며
긴 여행을 떠나자꾸나!
(고교생 작품, '하얀 겨울날 친구에게')

'목련'은 '난 그날이 오면 ∼'과 '∼ 합니다.'를 반복해서 구사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그날'은 '목련이 필 봄날'이며, 네 번씩이나 반복 구사함으로써 '그날'이 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심정을 토로하고 있다. 게다가 '∼ 합니다.'의 내용에 '치장하고 → 꽃으로 피어나고 → 초록색 옷을 입는' 시간성을 가미시키면서 기교를 부리고 있다. '하얀 겨울날 친구에게'는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을 빌어서 친구와 같이 우정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는데, '친구야!'를 반복해서 부르는 틀 속에 서정적 자아의 다정한 목소리를 담아내고 있다.그러나 틀을 설정해 놓고 내용을 틀 속에 억지로 가두는 이와 같은 방식은 작가는 작가대로 제한된 내용을 형상화할 수밖에 없으며, 독자는 또한 독자대로 이해의 폭을 좁힐 수밖에 없다.
시 쓰기의 초보 단계에서는 이와 같은 형식에다 다양한 내용을 담아봄으로써, 정갈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마치 등에 진 짐꾸러미가 제멋대로 놀지 않고 착 달라붙은 안착감을 갖게 해 줄 것이며, 완결성이라는 측면에서는 단아(端雅)한 맛을 느끼게 해 줄 것이다. 한마디로 스스로가 자기의 작품을 두고 잘 썼다고 칭찬하기까지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신석정의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는 이에 대한 적절한 예가 된다.



어머니
당신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깊은 삼림 지대를 끼고 돌면
고요한 호수에 흰 물새 날고
좁은 들길에 들장미 열매 붉어.

멀리 노루새끼 마음놓고 뛰어 다니는
아무도 살지 않는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그 나라에 가실 때에는 부디 잊지 마셔요.
나와 같이 그 나라에 가서 비둘기를 키웁시다.

어머니
당신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산비탈 넌지시 타고 내려오면
양지밭에 흰 염소 한가히 풀 뜯고
길 솟는 옥수수밭에 해는 저물어 저물어.
먼 바다 물 소리 구슬피 들려 오는
아무도 살지 않는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어머니, 부디 잊지 마셔요.
그 때 우리는 어린 양을 몰고 돌아옵시다.

어머니
당신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오월 하늘에 비둘기 멀리 날고
오늘처럼 촐촐히 비가 내리면
꿩 소리도 유난히 한가롭게 들리리다.
서리가마귀 높이 날아 산국화 더욱 곱고
노란 은행잎이 한들한들 푸른 하늘에 날 리는
가을이면 어머니, 그 먼 나라에서
양지밭 과수원에 꿀벌이 잉잉거릴 때
나와 함께 그 새빨간 능금을 또옥 똑 따지 않으렵니까?


신석정 '어머니,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이 시는 아홉 개의 연이지만 '어머니 / 당신은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를 반드시 앞에 배치하고 있는 세 단락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또 각 단락의 마지막 부분에는 '∼ 합시다.'의 청유 형식을 취하고 있어 공통적이다.(세 번째 단락 마지막의 '∼ 하지 않으렵니까?'를 청유형으로 고치면 '∼ 합시다.'가 된다).
첫째 부분은 '비둘기를 키웁시다.'로 끝나고, 둘째 부분은 '어린 양을 몰고 돌아옵시다.'로 끝나고, 셋째 부분은 '그 새빨간 능금을 또옥 똑 따지 않으렵니까?'로 끝난다. '비둘기 - 어린 양 - 새빨간 능금' 사이의 필연적인 인과 관계는 없어 보인다.그러나 이들이 상징하는 바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비둘기가 평화라면 어린 양은 순수이고 새빨간 능금은 풍성한 수확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들 사이의 연관된 의미를 찾자면, 평화와 순수 속에서만 풍유로운 삶이 보장된다는 뜻이 되겠다. 그리하여 작가는 평화와 순수가 부정되는 세계에서 평화롭고 순수하고 풍요로운 세계, 즉 '먼 나라'를 동경하고 있는 셈이다. 읽기도 쉽고 구조도 쉽게 파악되는 이와 같은 시에 '비둘기 - 어린 양 - 새빨간 능금'과 같이 깊은 의미망을 형성하는 기교를 첨가하게 되면 시의 맛은 한층 더해진다.



11.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무엇'은 '주제'와 통하는 말이고, '어떻게'는 '표현'의 문제이다.이에 대한 선후 관계의 정답은 없다. 독자와 만나는 것은 과정이 아니라 결과(완성품)이기 때문이다. 하나의 작품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습작기 청년의 시작 노트를 통해 인용해 본다.
어느 날 나는 다리 위를 걷다가 난간 틈바구니에 쌓인 흙먼지에 싹을 틔운 풀을 보았다. 그 때 나는 그 풀을 보고 예사롭게 넘길 수 없었다. 신비스러움, 놀라움, 끈질긴 생명력에서 오는 강인함, 애처로움 등 만감이 교차하여 한참을 서서 상념(想念)에 잠기고 있었다. 하나의 사실에서 오는 느낌을 감회의 목소리로 옯겨 보고 싶었다.

흙이 있는 곳이라면
풀은 어디서든 싹을 틔우고 있었구나.

얼마든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사실이지만 왠지 나에게는 남다른 경험일 수밖에 없었다. 공교롭게도 무력해져 있던 나의 모습과 만난 풀이라는 점이 나에겐 특별한 경험이었고, 화초를 가꾸는 화분에 불청객처럼 솟아난 잡초라든가 게다가 운동장 한 가운데 혹은 계단 구석 등에서 자기 영역을 넓혀가는 풀들은 수 없이 보아왔지만 다리 난간 흙먼지 쌓인 곳에 뿌리를 내린 한 포기의 풀은 처음 보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나는 이 특별한 경험을 나만의 것으로 만들고 싶었다. 이 한 구절의 경험과 함께 나는 떨리는 마음으로 조심스럽게 걸음을 옮기기 시작했다.
무기력한 자신의 모습으로 그 풀 한포기를 보는 순간 나는 적어도 두 가지의 생각을 떠올리게 되었다. 한 없이 초라해지는 나에 대한 발견과 오히려 강하게 일어서려는 의지. 그리하여 이 두 가지의 생각을 가지고 나는 고민하기 시작했다. 곰곰히 따져보았다. 그랬더니 목소리(어조(語調):시 작품에 나타나는 서정적 자아의 목소리)만 다를 뿐 결과는 같을 것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되었다. 보잘 것 없는 풀 한 포기도 발 디딜 수 있는 곳이라면 저렇게 강인한 생명력을 보여주는데, 나는 그보다도 못한 존재가 아닌가 하면서 초라한 자신을 못마땅해하는 것은 그렇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의 표현일 것이고, 나도 강하게 일어서야지 하는 것도 무기력함에서 벗어났으면 하는 마음으로 결국은 같은 내용이라는 생각 말이다. 다만 앞엣 것보다 뒤엣 것의 목소리가 강하게 드러나게 될 뿐.결과가 같다면 이 둘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표현은 없을까하고 나는 생각해 보았다. 마침 나는, 내가 흐르는 강물을 가로지르는 다리 위에 서 있음을 알게 되었고 동시에 하늘과 다리와 다리 위에 서 있는 나를 통째로 안고 흘러가는 강물을 보았다. 거기에 내가 있었다.

흙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싹을 틔우고 있었구나
다리 난간 위에서 나는
못 볼 것들을 보고 말았다
하늘과 다리와
다리 위에 기대어 뿌리 내린 풀과
나를 업고 흐르는 강물

떠오른 생각들을 여기까지 옯겨 놓고 보니, '못 볼 것을 보고 말았다'에 나는 무척이나 흥미를 갖게 되었다. 다리 위 위험한 곳에 싹을 틔우고 있는 풀을 보고 '못 볼 것'이라고 하게 되었는지 아니면 이런 모습을 담고 흘러가는 강물을 보고 '못 볼 것'이라고 하게 되었는지. 이 애매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나는 이 애매한 표현을 살리고 싶었다. 애매한 만큼 다양한 의미 해석이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기대 때문이었다. 더욱이 3, 4행에서 불쑥 튀어 나온 '못 볼 것들'은 독자들에게도 충격일 수밖에 없다. 무슨 '못 볼 것들을' 보았다고 하는지 자못 궁금해질 것이며, 이러한 궁금증으로부터 이 시는 본격적인 해석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이다. '못 볼 것들을 보고 말았다'를 중심으로 간단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못 볼 것'은 '다리 난간 위에 싹을 틔운 풀'이다. 그것이 '나'에게는 왜 '보아서는 안 될 것'이었을까? 나와는 대조적인 모습이었기 때문이리라. 그리하여 나는 더욱 초라한 '나'를 발견하게 된다.

둘째로 '못 볼 것'은 '하늘, 다리, 풀, 나를 비추고 흐르는 강물'이다. 왜 '보아서는 안 될 것'이었을까? 앞에서 초라해진 '나'가 나의 눈에 비친 모든 존재(조화, 갈등, 고뇌하는 나까지 포함한 모든 것)를 넉넉히 안고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을 본 순간 나도 강물처럼 넉넉한 존재로 거듭나겠다는 깨달음을 4∼7행에서 얻게 되는 구조이다. 어느 정도 완결된 맛도 있고 해서 나는 나름대로 만족해 하고 있었다. 한 가지 걸리는 점이 있었다면 2행의 '∼ 있었구나'와 4행의 '∼ 말았다'가 어쩐지 일관성이 없어 보였다. 둘 다 영탄조가 아니면 서술형으로 하고 싶었다. 그런데 2행이 감탄하는 형식을 취하게 되면 흙먼지 쌓인 곳에 피어난 풀을 바라보는 신비로움이 나만의 것이 되어버려 자극의 폭을 제한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이르렀다. 작자는 나름대로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는 폭을 마련하고 싶었다. 비춰진 모습을 그대로 제시하게 되면 정서를 환기하는 자극의 폭이 넓어지겠기에 말이다. 결국 '∼ 있었다'로 바꾸기로 했다.

흙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싹을 틔우고 있었다
다리 난간 위에서 나는
못 볼 것들을 보고 말았다
하늘과 다리와
다리 위에 기대어 뿌리 내린 풀과
나를 업고 흐르는 강물

흥미로운 시작(詩作) 노트이다(간략한 부분 메모를 첨가 서술하였음). 아마도 위 작품을 완성하고 나서 스스로는 기쁨의 시간을 보냈을 것이 틀림 없다. 시작 노트에서 엿보이듯이 한 구절 한 구절 고민한 끝에 완성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시를 쓰는 기쁨이며, 그 기쁨은 실의에 빠져 있을 때에 작용하기도 하는 것이어서 삶의 활력소가 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문제가 되는 부분의 골자는 '나도 강물처럼 넉넉한 존재로 거듭나겠다는 깨달음'까지 미치지 못하였는데도 스스로는 꿈보다 해몽이 좋은 쪽으로 자의적 판단을 내리고 있다는 점이다. 작가의 의도가 독자 쪽과 많이 빗나가고 있다는 말이다. 해석에 있어서 비약이 너무 심하지 않았나 한다. 그러나 서정적 자아의 감정을 절제하여 정서적 자극의 폭을 확대시키고 있는 점은 공감이 될 수도 있겠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주제인 '서정적 자아와 대상과의 거리'에 자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적어도 어떤 방식을 통해 시적 형상화가 이루어지는가에 대해서는 위에서 알아 보았다. 작가마다 과정이 사뭇 다르게 나타나는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

 

 

 

새들은 아직도…… ―최영미(1961∼ )

아스팔트 사이 사이
겨울나무 헐벗은 가지 위에
휘영청 쏟아질 듯 집을 짓는구나

된바람 매연도 아랑곳 않고
포클레인 드르륵 놀이터 왕왕시끌도
끄떡없을 너희만의 왕국을 가꾸는구나
부우연 서울 하늘 무색타
까맣게 집을 박는구나

봄이면 알 낳고 새끼 치려고
북한산 죽은 가지 베물고
햇새벽 어둠 굼뜨다 훠이훠이
부지런히 푸들거리는구나

무어 더 볼 게 있다고
무어 더 바랄 게 있다고
사람 사는 이 세상 떠나지 않고
아직도
정말 아직도 집을 짓는구나

 

 

게으른 이불 속 코나 후빌 때
소련 붕괴 뉴스에 아침식탁 웅성거릴 때
소리 없이 소문 없이
집 하나 짓고 있었구나

자꾸만 커지는구나
갈수록 둥그래지는구나


봄바람 싸한 냄새만 맡아도
우르르 알을 까겠지

모스크바에서도 소리 없이
둥그렇게 새가 집을 지을까?



 

 

봄이 아직 저만치 먼데 ‘아스팔트 사이 사이/겨울나무 헐벗은 가지 위에’ 집을 짓는 새에게 ‘휘영청’ 쏟아지는 시인의 마음이다. ‘된바람 매연’, ‘포클레인 드르륵 놀이터 왕왕시끌’, 하늘도 부연 이 서울에서 ‘아직도/정말 아직도 집을 짓는구나’! 도무지 살 만하지 않을 이 인간 세상에 ‘무어 더 볼 게 있다고/무어 더 바랄 게 있다고’ 깃들이는 새여, 미안하고 기특하고 고맙구나! 이 시가 쓰인 시기는 ‘소련 붕괴 뉴스에 아침식탁 웅성거릴 때’다. 그 뉴스에 세상이 무너진 듯, 자신의 전 생애가 ‘꽝’이 된 듯, 충격받은 사람도 있을 테다. 인간사 어떻든 아랑곳 않고 ‘끄떡없을 너희만의 왕국을 가꾸는’ 새들. ‘봄이면 알 낳고 새끼 치려고’ ‘죽은 가지 베물고’ ‘부지런히 푸들거리는구나’.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지. 시인도 일찍 일어나는 새인가 보다. 그래 ‘햇새벽 어둠 굼뜨다 훠이훠이/부지런히 푸들거리는’ 새를 보고 시를 잡아챘을 테다. 최영미는 어딘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를 연상시키는 데가 있다. 제 욕망을 매개로 거침없이 펼치는 그이 시들의 서사에서 화사할 정도로 활달한 생명력이 느껴져서일까. 어떤 패배 속에서도 ‘내일은 또 내일의 해가 뜨겠지’, 분연히 희망을 뇌는 스칼렛 오하라. 이 시도 최영미 시 특유의 톡 쏘는 맛은 덜하나 ‘봄바람 싸한 냄새만 맡아도/우르르 알을 까겠지’ 같은 시구에 야생초 같은 생기가 찌르르하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50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2) 2017-05-05 0 2684
449 수필의 허구문제를 알아보다(1) 2017-05-05 0 2432
448 시인은 자국자국마다 시향을 흩날려야... 2017-05-05 0 2688
447 시의 파문이 느리게 오래 지속되는 시를 써야... 2017-05-05 0 2320
446 시인은 위대한 상상력의 소유자이다... 2017-05-05 0 2322
445 시는 자기 자신의 삶을 발견하는것이다... 2017-05-05 0 2029
444 [고향문단소식] - 시내물 흘러 흘러 강물이 되여 바다로 간다... 2017-05-04 0 2279
443 시인은 령혼이 없는 시, 5차원이 없는 시를 쓰지 말아야... 2017-05-04 0 2145
442 시인은 함께 하는 눈과 멀리 보는 눈이 있어야... 2017-05-04 0 2188
441 시인은 화폭같은 이미지를 잘 구사할줄 알아야... 2017-05-02 0 2538
440 시는 짧은 속에서 시인의 시력과 시야가 압축되여 있어야... 2017-05-01 0 2175
439 시인은 언어란 이 괴물을 쉽게 휘여잡을줄 알아야... 2017-05-01 0 2206
438 시인은 고독한 원을 긋으며 도망친다... 2017-05-01 0 2231
437 시란 잘 고양된 수학이다... 2017-05-01 0 2782
436 [시문학소사전] - "이미지스트"란?... 2017-05-01 0 3497
435 [시문학소사전] - "무운시"란?... 2017-05-01 0 3417
434 시인은 자기자신만의 시론으로 시창작에 림하면 행복하다... 2017-04-30 0 1858
433 시의 정신활동은 가장 중요하게 통찰력과 상상력 이다... 2017-04-30 0 2117
432 시를 배울 때 이전에 배운 지식들을 다 버리시ㅠ... 2017-04-30 0 2003
431 시를 공부하는 과정에는 "이미지"가 한 필수조건 이다... 2017-04-30 0 2163
430 시지기라는 눔에게 "치매 걸린 엄마"라도 있었으면... 2017-04-30 0 2044
429 시인은 고독을 줄기차게 친구 삼고 문제의식을 늘 가져라... 2017-04-30 0 1850
428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2017-04-24 0 3050
42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크릴로프의 우화를 읽게 해야... 2017-04-24 0 2975
426 시란 무경계 세상에서 희노애락의 꽃을 꽃피우는 행위이다... 2017-04-24 0 2383
425 시인은 자기자신만의 시를 찾아야 생명력이 있다... 2017-04-23 0 1805
424 "시인"이랍시고?-, 당신의 "구두"는 젖어보았는가... 2017-04-21 0 2172
423 윤동주 묘비의 각인을 살펴보다... 2017-04-21 0 3310
422 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시인 - 상고르 2017-04-20 0 2423
421 시인은 시를 오랫동안 삭힐줄 알아야... 2017-04-20 0 1799
420 [쉼터] - "연변말"이 "마지막 수업"으로만 되지 말기만을... 2017-04-19 0 2246
419 아리랑은 영원한 아리랑이다... 2017-04-19 0 2070
418 시속에 무르녹아 있는 시어와의 만남을 류의하라... 2017-04-19 0 2409
417 [시문학소사전] - "산문시"란?... 2017-04-19 0 2900
416 하나가 여럿이고, 여럿이 하나이다... 2017-04-19 0 2308
415 절대적으로 정신을 차려야 할 편집들께= "표절은 절대 금물" 2017-04-18 0 2531
414 그대들의 마음속엔 어떤 나무를 심었는가?!... 2017-04-18 0 1980
413 <화투> 잡설시 2017-04-18 0 2324
412 서사시는 敍事詩로서 장시(長詩)이다... 2017-04-18 0 2018
411 사상 최초이자 최고의 서사시를 지은 시인 - 호메로스 2017-04-18 0 2388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