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공부공부공부] - "서캐타령"
2020년 02월 02일 06시 09분  조회:2647  추천:0  작성자: 죽림

향토문화전자대전

「서캐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야길 56[자산리 613-1]
출처 디지털진안문화대전-「서캐 타령」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에서 부르는 서캐를 소재로 한 유희요.

개설

사람 손에 잡히면 꼼짝없이 죽는 서캐를 해학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서캐를 잡으면서 부르기도 했고 노래 부르기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유희요로 부르기도 했다. 아이들이나 부녀자들이 주로 가창하였다

채록/수집 상황

「서캐 타령」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전북 조사팀이 2010년 2월 23일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최복순[여, 1936년생]으로부터 채록하였다.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지원하는 한국 구비 문학 대계 웹 서비스[http://gubi.aks.ac.kr/web]를 통해서 조사 자료 텍스트와 연동되는 디지털 음원을 들을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서캐 타령」은 4·4조 4음보 율격이다.

내용

「서캐 타령」은 사람 손에 잡혀 손쉽게 죽음을 당하는 서캐의 상황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서캐[시캐]는 이의 알이고, 깔갱니는 갓 태어난 이의 새끼이다. 이가 서캐들에게 사람 손에 잡히면 꼼짝없이 죽을 터이니 어린 깔갱니를 잘 지키라고 당부하는 내용이다. 두 바위가 작신 하면 죽는다는 표현은 사람의 두 엄지손톱에 눌려 죽는다는 뜻이다. 이 노래를 민중의 관점에서 보면 “두 바우가 작신 하면 오도 가도 못하고 죽는다”라는 마지막 구절에서 거대한 폭력 앞에서 한없이 약해질 수밖에 없는 민중의 삶과 애환이 읽힌다.

시캐들아 시캐들아 우리 깔갱니 잘 거쳐내라/ 석석바우 끝이 가먼 두 바우가 작신 하면/ 오도 가도 못하고 죽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생활이 어렵고 위생 상태도 좋지 않았던 지난날에는 머리나 몸에 이와 서캐가 기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서캐는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은 아니지만 지난날 우리 삶의 한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현황

「서캐 타령」을 기억하는 일부 가창자들이 부르고 있다. 「이타령」과 함께 이 노래를 부른 제보자는 언젠가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서캐 타령」을 했더니 좌중이 매우 우스워했다고 하면서 이와 서캐에 관한 노래가 추접스러운 것은 아닌지 걱정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타령」에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별로 유익할 것 없는 이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면, 「서캐 타령」은 서캐의 입장에서 사람에게 손쉽게 잡혀 목숨을 잃는 처지가 해학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서캐와 같은 미물에 대한 세심한 관찰력과 해학적 표현력이 잘 어우러진 노래라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캐 타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10 오늘의 시는 하나의 시적 세계어의 성립을 지향해야.. 2017-04-18 0 2065
409 시가 려과없이 씌여지면 시가 산만해지고 긴장감을 잃는다... 2017-04-18 0 2008
408 불쌍한 시들을 위하여 시인들은 장인정신을 갖추어야... 2017-04-18 0 2380
407 시는 쉬지않고 살아서 움직이는 생명체여야... 2017-04-18 0 2287
406 시는 소박하고 꾸밈없는 필치로 속이 꽉차게 써야... 2017-04-18 0 2519
405 시는 삶의 희노애락이 얼룩진 보물상자에서 나온다... 2017-04-18 0 2616
404 시는 상투적인 설명에 그치지 말아야... 2017-04-18 0 2574
403 시인들이 착하게 사는지 별들이 오늘도 많이 떨어지고... 2017-04-18 0 2331
402 초현실주의는 문학예술운동을 넘어선 삶의 한 방식이다... 2017-04-11 0 3963
4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영화를 본후 시쓰기... 2017-04-10 0 3091
400 단시 모음 2017-04-10 0 3290
399 시는 온몸으로 온몸을 다해 밀고 가는것이다... 2017-04-10 0 2344
398 장 콕토는 시인이자 화가이자 영화감독이였다... 2017-04-10 0 3190
397 "...뼛가루 한점이라도 원쑤의 땅에 남길수 없다"... 2017-04-09 0 3615
396 "부끄럼 없는 인생"과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들" 2017-04-08 0 2571
395 시는 압축과 생략의 문학이다... 2017-04-08 0 2976
394 시작은 조탁(彫琢)과 사랑이다... 2017-04-08 0 2760
393 윤동주의 무기는 "시"였다... 2017-04-06 0 2559
392 시는 정서의 흐름으로 내면을 솔직하게 드러내야... 2017-04-06 0 2656
391 [시문학소사전] - "그로테스크"란?... 2017-04-05 0 2888
390 [시문학소사전] - "아라베스크"란?... 2017-04-05 0 3734
389 현대시를 알려면 현대시의 구조를 알아야... 2017-04-05 0 3487
388 시인은 추한 명예를 베고 눕지 않는다... 2017-04-05 0 2619
387 시를 쓰는 기본자세는 사물에 대한 애정이다... 2017-04-04 0 2804
386 현대시는 전통과 현대 서구적인것의 접목작업을 공감하기 2017-04-04 0 2473
385 시작하기전 철학공부를 하지 안아도 된다?... 꼭 해야 한다!... 2017-04-03 0 2458
384 시작은 섣부른 감정을 억제하고 간접화법으로 노래하라... 2017-04-03 0 2364
383 시는 멀리에 있는것이 아니라 가까운 삶속에 있다... 2017-04-03 0 2895
382 어머니의 말은 풍성한 시의 원천 2017-04-03 0 2296
381 시에 우리 겨레의 숨결을 옮겨 놓아야... 2017-04-03 0 2550
380 시작은 생활로부터의 도피이며 해방이다... 2017-04-03 0 2898
379 시를 짓기전 들여마셔야 할 공기와 내뱉어야 할 공기가 어떤지 생각해보기... 2017-04-03 0 2527
378 "쉬운 시"는 눈으로 쉽게 읽히고 가슴속에 깊은 향기를 풍긴다... 2017-04-03 0 2599
377 시는 정보의 전달 수단이 절대 아니다... 2017-04-03 0 2947
376 시인은 한편의 좋은 시를 위하여 수백편의 시를 쓰고 버릴줄 알아야... 2017-04-03 0 2773
375 혼을 불사르지 못하는 시인은 그 생명력이 짧을수밖에 없다... 2017-04-03 0 2570
374 시인은 구도자로서 억지를 부려 결과물을 얻어서는 안된다... 2017-04-03 0 2552
373 시적 령감은 기다리는 자의것이 아니라 땀흘려 찾는 자의 몫... 2017-04-03 0 2704
372 시를 쓰는 행위는 신과의 씨름이다... 2017-04-03 0 2516
371 시는 시인의 삶을 반추하는 그 시대의 사회적 산물이다... 2017-04-03 0 2428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