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공부공부공부] - "서캐타령"
2020년 02월 02일 06시 09분  조회:2648  추천:0  작성자: 죽림

향토문화전자대전

「서캐 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야길 56[자산리 613-1]
출처 디지털진안문화대전-「서캐 타령」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에서 부르는 서캐를 소재로 한 유희요.

개설

사람 손에 잡히면 꼼짝없이 죽는 서캐를 해학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서캐를 잡으면서 부르기도 했고 노래 부르기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유희요로 부르기도 했다. 아이들이나 부녀자들이 주로 가창하였다

채록/수집 상황

「서캐 타령」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전북 조사팀이 2010년 2월 23일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최복순[여, 1936년생]으로부터 채록하였다.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지원하는 한국 구비 문학 대계 웹 서비스[http://gubi.aks.ac.kr/web]를 통해서 조사 자료 텍스트와 연동되는 디지털 음원을 들을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서캐 타령」은 4·4조 4음보 율격이다.

내용

「서캐 타령」은 사람 손에 잡혀 손쉽게 죽음을 당하는 서캐의 상황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노래이다. 서캐[시캐]는 이의 알이고, 깔갱니는 갓 태어난 이의 새끼이다. 이가 서캐들에게 사람 손에 잡히면 꼼짝없이 죽을 터이니 어린 깔갱니를 잘 지키라고 당부하는 내용이다. 두 바위가 작신 하면 죽는다는 표현은 사람의 두 엄지손톱에 눌려 죽는다는 뜻이다. 이 노래를 민중의 관점에서 보면 “두 바우가 작신 하면 오도 가도 못하고 죽는다”라는 마지막 구절에서 거대한 폭력 앞에서 한없이 약해질 수밖에 없는 민중의 삶과 애환이 읽힌다.

시캐들아 시캐들아 우리 깔갱니 잘 거쳐내라/ 석석바우 끝이 가먼 두 바우가 작신 하면/ 오도 가도 못하고 죽는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생활이 어렵고 위생 상태도 좋지 않았던 지난날에는 머리나 몸에 이와 서캐가 기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서캐는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은 아니지만 지난날 우리 삶의 한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현황

「서캐 타령」을 기억하는 일부 가창자들이 부르고 있다. 「이타령」과 함께 이 노래를 부른 제보자는 언젠가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서캐 타령」을 했더니 좌중이 매우 우스워했다고 하면서 이와 서캐에 관한 노래가 추접스러운 것은 아닌지 걱정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타령」에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별로 유익할 것 없는 이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면, 「서캐 타령」은 서캐의 입장에서 사람에게 손쉽게 잡혀 목숨을 잃는 처지가 해학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서캐와 같은 미물에 대한 세심한 관찰력과 해학적 표현력이 잘 어우러진 노래라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캐 타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0 시인은 작품속에 삶의 몸부림과 고통을 버무려야 한다... 2017-04-03 0 2686
369 당신은 왜 시인의 험난한 길을 걸어가려 하십니까?... 2017-04-03 0 2368
368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04-03 0 2542
367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04-02 0 2413
366 시인은 시상이라는 "낚시 찌"에 전신전령을 기울려야... 2017-04-02 0 2863
365 시인은 詩나무그루터에 오줌을 싸고 있었다... 2017-04-02 0 2441
364 형이상시에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폭력조합시켜라... 2017-03-29 0 2961
363 형이상시는 불협화음속에서 기상천외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2017-03-29 0 2769
362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룰줄 아는 고급동물이다... 2017-03-29 0 2576
361 형이상시는 즉물시와 사물시를 포괄한 제3류형의 시이다???... 2017-03-29 0 2852
360 형이상시에서 객관적 상관물의 발견으로 통합된 감수성을... 2017-03-29 0 2421
359 형이상詩는 21세기의 시운동의 모델이라고???... 2017-03-29 0 2603
358 시인은 자연과 타인의 생을 기웃거리는 촉매자이다... 2017-03-29 0 2690
357 시에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꿈꾸는 자는 늘 고독하다... 2017-03-29 0 2603
356 [시문학소사전] - 시쓰기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2017-03-29 0 3057
355 현대시는 탈관념의 꿈꾸기이며 언어적 해체인것이다... 2017-03-29 0 2649
354 후기산업혁명사회의 현대인들의 병을 시로 치료하라... 2017-03-29 0 2520
353 시란 희노애락을 부르짖는 소리이다... 2017-03-29 0 2941
352 "전통시인"이나 "실험시인"이나 독자를 외면하면 안된다... 2017-03-29 0 2446
351 현대시쓰기 전 련상단어 100개 쓰기부터 하라... 2017-03-29 0 3161
350 현대시의 실험적 정신은 계속 진행형이다... 2017-03-29 0 2448
349 현대시의 흐름을 알고 시작(詩作)을 시작(始作)하자... 2017-03-29 0 2390
348 현대시는 "단절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2017-03-29 0 2602
347 시는 추상적인 표현과 원쑤지간이다... 2017-03-29 0 2904
346 시심의 모든 밑바탕은 지, 정, 의를 근본으로 한다... 2017-03-29 0 2300
345 시가 "디지털혁명시대"와 맞다들다... 2017-03-27 0 2533
344 프랑스 시인 - 폴 엘뤼다르 2017-03-27 0 3451
343 시어는 삶과 한 덩어리가 된, 육화적인 언어로 련금술해야... 2017-03-27 0 2463
342 시는 한점의 그늘 없이 화창해야 한다... 2017-03-27 0 2630
341 시인아, 어쨌든 있을 때 잘해야지...그리고...상투는 없다... 2017-03-24 0 2198
340 시인의 "적막한 키스"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할것인가... 2017-03-23 0 2478
339 시와 련관성이 없는 "무의미시"의 낱말로 제목화할수도 있어... 2017-03-22 0 2584
338 이순신 장군 시 모음 2017-03-21 0 3177
337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것들이 많단다... 2017-03-21 0 2679
336 류시화 시 모음 2017-03-21 0 6128
335 새가 나무가지를 못떠남은?!ㅡ 2017-03-21 0 2670
334 <새(鳥)> 시 모음 2017-03-21 0 2883
333 시제는 그 시의 얼굴로서 그작품의 질과 수준을 예감할수도... 2017-03-21 0 2963
332 시의 제목을 첫행이나 끝행으로 할수도 있다... 2017-03-20 0 2614
331 시의 제목에 의하여 시의 탄력이 생긴다... 2017-03-18 0 2677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