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철
http://www.zoglo.net/blog/zhengxinzhe 블로그홈 | 로그인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단상/수필

도시화과정과 우리민족
2006년 01월 17일 00시 00분  조회:3242  추천:89  작성자: 정신철

개혁개방이후 중국사회는 몰라보게 변모되었다. 이 가운데 제일 뚜렷한 현상은 도시화과정의 가속화이었다. 과거 중화인민공화국성립직전까지 중국사회는 공업이 발달하지 못한 낙후한 농업국가로 현대공업생산액은 공농업총생산액의 10%밖에 차지하지 못하였다. 발달하지 못한 공업경제는 현대도시발전의 발걸음을 막을 수밖에 없었다.
중화인민공화국성립이후 중국의 도시화건설은 궤도에 들어섰으나 정치운동에 너무 기울인 탓으로 도시화건설에 뚜렷한 성과를 취득하지 못하였다. 1980년대 이후 본격으로 실시된 중국의 개혁개방은 도시화과정을 가속화시켰다.
하나의 인구현상으로 도시화과정는 인구가 도시로 부단히 집중하는 과정이다. 인구이동의 흐름은 농촌인구의 도시진출이 위주이었으며 이것은 또 도시의 규모를 확대하였고 도시의 경제활동을 더욱 다양하고 활발하게 하였다. 다른 한편 급속한 도시화 진전에 따른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여기서 도시화과정의 일반적 영향, 즉 도시인구의 팽창, 교통체증의 증가, 생활시설의 역부족, 도시진출가정자녀들의 교육시스템의 결핍 등을 뛰어넘어서 도시화과정이 중국소수민족사회발전에 주는 영향을 나렬해 보려 한다. 먼저 그 전제를 보면 중국은 한족인구가 절대다수인 다민족국가로 절대숫자를 보면 소수민족인구가 적지 않지만 소수민족이 각기 한족속에 섞이면 바다속의 좁쌀에 불과하다. 때문에 소수민족인구가 자기 집거지를 떠나 도시 진출하는 것은 민족인구의 분산화와 희석화를 말한다. 이에 따른 현상들을 보면:
첫째, 소수민족인원의 도시진출은 현대 시장의식과 새로운 가치관 수립에 큰 도움을 주고 있으나 민족문화의 보존과 계승에는 많은 허점이 생기고 있다.
둘째, 도시화발전은 도시인구의 증가와 인구의 집중거주를 현실화하고 있지만 소수민족인구는 더욱 분산되고 희석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셋째, 소수민족인원의 도시진출은 더욱 개방적인 환경에서 새로운 경제발전의 기회, 선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 및 매 개인의 경제수입확대의 가능 등은 있지만 민족인구의 분산화는 민족경제발전과 민족교육실행 및 민족성유지에 많은 제한을 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렇다고 도시화를 나쁘다고 볼 수 없다. 도시화과정은 인류역사의 흐름속에 막을 수 없는 추세이다. 문제는 소수민족 성원들이 전체적인 도시화의 큰 흐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있다. 일부 사람들은 흔히 세계화가 진전되고 세계를 지구촌으로 비교하고 있을 때 국가, 민족 등은 아무런 문제도 아니며 의논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한다.
하지만 필자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이 지구상에서 국가와 민족의 소실은 아주 먼 미래의 일이라고 하겠다. 국가와 민족이 존재하는 한 국가의 정체성과 민족의 정체성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인간이 태여 나 자라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자신이 누구이면 어느 인간단체에 속하는지도 모르는 사람은 뿌리가 없는 부평초와 다름이 없다.
또 어떤 사람들은 세계화가 서서히 다가오고 세계는 하나의 지구촌으로 되고 있을 때 무슨 민족을 논하랴 하는데 사실 자신의 조상, 자신의 민족 나아가서 자신이 살고있는 나라를 생각하고 않고 사랑하지 않은 사람이 세계인으로 될 수 있고 세계를 사랑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겠는지 의문이다. 물론 현재 세계화의 흐름속에서 과거와 같은 협소한 애국주의, 민족주의는 시장이 있을 수 없다.
그럼 중국조선족의 상황을 살펴보기로 하자.
개혁개방이후 특히 1990년대이후 중국조선족사회는 몰라보게 변화하였다. 과거 농경민족인 조선족은 벼농사를 하면서 주위 기타민족보다 더 풍요로운 생활을 하여왔다. 하지만 우리민족이라고 한평생 농촌에 있으라는 법이 없으며 또 그럴 수도 없다. 조선족의 안온한 전원생활은 개혁개방이후 원래의 면모를 찾을 수 없게 되었다.
조선족은 그들이 지닌 문화와 여러 우세로 중국의 개혁개방과 도시화과정에서 앞장 선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구이동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 약 200만명의 중국조선족인구가운데 50-60만명좌우가 농촌에서 도시로, 동북지역 집거지에서 산해관이남지역으로 또는 국외로 진출하였다. 이는 국내 어느 민족도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은 중국조선족인구의 분포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문제는 조선족농촌의 공동화(空洞化), 민족교육의 축소, 민족인구의 감소와 분산화, 민족성 약화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민족발전과정에서 부딪친 문제는 매우 심각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족인구이동은 도전과 더불어 희망도 부여하고 있다. 조선족인구의 도시진출은 민족문화를 널리 전파하였고 민족경제영역을 넓히었으며 매 개인의 경제실력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국외 진출은 민족의 세계적인 안목을 키우는데 도움을 주었고 세계 여러 나라에 있는 동포들과의 교류를 강화하였으며 민족적 네트웍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과거 농경시대에는 자급자족위주의 생활양식하에서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생활을 하여 왔기 때문에 네트웍이 별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 하였다. 그러나 시장경제시대 정보흐름과 물류 등이 가속화되고 있는 정세에 발걸음을 맞추자면 네트웍이 꼭 필요한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말하면 세계가 날로 정보화되어 가는 이 시대에 네트웍형성은 국가와 민족발전에 없어서 안 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더욱이 글로벌시대에 있어서 민족적 네트웍형성은 격렬한 경쟁속에서 민족이 살아남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라고도 볼 수 있다. 때문에 날로 분산화되고 있는 민족사회가 무너지지 않으려면 더욱 민족적 네트웍형성에 힘을 기우려야 한다.
지금 중국조선족은 중대한 전화기에 서 있다. 조선족이 처한 현 상황을 잘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실한 대책의 강구는 아주 시급하다. 그럼 중국조선족에게 무엇이 약세이며 무엇이 결핍한가? 환경론적 각도로 보면 중국은 한족인구가 절대다수 차지한 나라로 한족들은 국내 어느 지역으로 가나 문화의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원래대로 생활할 수 있다. 그러나 소수민족의 국내 기타지역 진출은 이와 다르다. 그들은 새로운 문화의 접수와 민족문화의 계승 등 이중의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
다른 한면 중국현실과 민족자체의 원인으로 중국조선족은 선천의 약점을 갖고 있다. 그것인 즉 세계가 날로 정보화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을 때 민족적 중심이 제대로 구축돼 있지 못 하고 민족적 네트웍이 결핍한 것이다. 이러한 점은 민족인구가 날로 분산화되는 이 시기 가장 큰 약세라고도 할 수 있다.
현재 개혁개방과 도시화과정에서 나타난 민족발전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저 많은 민족성원들이 힘을 기울이고 있다. 농촌인구의 감소와 민족교육의 축소를 대비하여 규모있는 집거지 건설의 구상를 내놓고 실천에 옮기는 곳도 있고, 선조들이 개척한 땅과 민족교육을 지키기 위하여 조선족가정 특히 어린이 있는 가정의 이사를 환대하는 조선족마을도 있으며, 또 일부 도시지역에서는 코리안 타운 구축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도시에서 민족학교운영에 심혈을 기울이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청도 조선족학교, 북경조선족학교 등이 세워졌으며 조선족 기업인들지간의 네트웍도 점차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또 어떤 도시에서는 조선족과 한국인이 함께 사는 동네에서 서로 협력하여 새로운 조선민족 집거지 형성에 동조하는 기미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민족발전을 관심하는 학자, 전문가들과 민족사업가들은 많은 학술회의를 통하여 민족발전문제를 깊게 토론하고 좋은 대책을 내놓기도 하였다.
우에서 보다시피 많은 민족성원들과 여러 민간단체에서 민족발전에 많은 심혈을 기울이고 있지만 현재 더욱 중요한 것은 민족적 중심의 구축과 네트웍형성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필자는 말하고 싶다. 민족적 중심이 있고 네트웍이 형성되면 민족인구가 비록 분산되어 각 지역에 흩어져 생활하여도 세계 유태인들처럼 민족성보존과 민족정체성확립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0 단지 ‘조선족’이라는 집념으로 하북성 청룡현 탑구(塔沟) ‘박씨마을’을 찾아서 2020-10-09 1 1657
29 우리자신이 “선족”(鲜族)이라고 부르지 말아야… 2017-10-19 0 2911
28 정음우리말학교를 지속적으로 꾸려나가자면… 2015-05-14 0 3948
27 교실을 찾은 순간 2015-04-11 1 4735
26 城市少数民族语言文化传承面临困境 2015-04-03 2 4651
25 조선반도 통일과 중국조선족의 역할 2015-01-12 2 3936
24 돈도 벌고 땅도 지키자 2014-08-22 3 4082
23 “조선족”이냐, “재중동포”냐?—나도 한마디 2014-04-19 1 6509
22 “연변시”구상에 대한 소감 (정신철) 2012-07-31 2 4623
21 城市民族工作面臨的新問題、新態勢及其對策 2010-12-16 20 6064
20 기업인과 사회기부 (정신철) 2010-11-14 61 4871
19 《관내 조선족공동체구축에 관한 조사연구》구상 2010-05-07 55 4125
18 少數民族人口流動與城市民族&#25945;育問題之探討 2009-10-09 31 4896
17 조선족과 한국인사이 반감초래의 악역은 누구? 2008-12-09 81 5375
16 도시민족교육의 필요성과 절박성을 대하여 2008-10-29 73 4986
15 민족경제인재 양성이 급선무 (정신철) 2007-12-24 129 6391
14 민족적 경제력 제고의 제 여건 (정신철) 2007-12-22 109 6253
13 조선족의 불량소비현상에 대한 검토 2007-10-13 118 4987
12 땅이 없을 때 우리는 어떻게? (정신철13) 2007-09-20 127 4600
11 조선족사회, 어디로 가야 하나? (정신철12) 2007-09-10 95 4590
‹처음  이전 1 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