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아오르는 상황에서 국내 허다한 젊은이들이 집마련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있다. 하다면 외국의 젊은이들이 직면한 주택구매환경은 어떨가? 부분적 국가의 정황을 살펴보기로 하자.
미국
미국의 젊은이들이 집을 구매할때 내는 선불금은 매우 낮다. 사실 집구매에 필요한 선불금이 낮아 주택을 구매하기 어렵지 않지만 35세이하 미국 젊은이들의 주택소유률은 36.3%에 불과하다. 미국은 호적 제한이 없으며 이사하는것이 매우 보편화되고있다. 허다한 젊은이들은 현재 거주하는 도시에서 살림을 차리려 하지 않기에 당연히 집구매도 시급하지 않다. 이밖에 주택임대는 주택구매보다 매우 편리하다. 주택을 임대할때 집주인이 집문앞 잡초제거, 눈치기 및 각종 실내 수리 등을 책임진다. 심지어 집안에 개미가 들어와도 집주인이 직접 혹은 일군을 청해 처리한다. 만약 자신이 집이 있다면 이 모든것은 전부 자신이 관리해야 한다.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근 80%에 달하는 가정은 정부가 건설한 공공주택(HDB)에 살고있다. 싱가포르의 공공주택정책은 세계적인 모범이라 할수 있다. 공공주택의 가격은 기본적으로 싱가포르 화페로 30만원~70만원사이이며 소유권년한이 99년이다. 참고로 싱가포르 대졸생의 월로임은 싱가포르화페로 3000원 좌우이며 싱가포르화페를 인민페로 환살할 경우 일반적으로 5를 곱한다. 싱가포르 젊은이들의 월수입으로 정부의 공공주택을 사기 어려워보일지 모르지만 정당한 사업일터가 있으면 공공주택 구입 혜택이 있기에 아무런 압력이 없다. 싱가포르정부는 공공주택의 유일한 판매자로서 공공주택의 가격결정권을 철저히 장악하고있는데 싱가포르정부는 저수입가정에서 공공주택을 구매할때 각종 정책으로 특별히 보살펴준다. 싱가포르정부의 공공주택은 싱가포르 가정의 가장 큰 재부인데 정부는 싱가포르 사람들의 이 재부를 보호해줄 의무가 있다. 또 공공주택에 몇년 거주하다가 집을 팔수도 있다.
일본
일본의 2선도시(인구 100~200만사이)를 례로 들때 가장 전형적인 “잇고다떼”(一户建)라는 일식주택은 150평방메터 좌우의 토지에 2층으로 건설된 목조구조의 작은 별장이다. 시중심에서 자가용으로 20분가량의 거리를 둔 곳에서 약 3000여만엔을 주고 살수 있다. 일본 전국의 평균 수입은 400여만엔인데 이런 비교적 큰 도시의 젊은이들이 만약 정규회사에서 사업하고 교육수준과 능력이 낮지 않다면 30세가 되기전에 로임수준이 400만엔을 초과하기 어렵지 않다. 이들은 대체적으로 6~8년의 수입으로 시구역내에서 단독으로 된 작은 층집을 살수 있다. 소유권은 영구적이다. 주택구매대출을 볼때 정규회사에서 사업하는 일본사람이라면 기본상 선불금을 내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볼때 일본의 젊은이들은 자신의 수입의 5분의 1정도로 150평방메터 토지우에 120평방메터 좌우 되는 작은 층집의 대출을 상환할수 있다. 동경시 중심의 주택이 특별히 비싼외 일본 젊은이들은 자신의 주택을 마련하기 그리 어렵지 않다.
연변일보 종합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