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한필
http://www.zoglo.net/blog/f_waiguo07 블로그홈 | 로그인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 방문자가 없습니다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단상/수필

‘끈 떨어진 연’과 ‘박쥐형 문화’
2006년 01월 21일 00시 00분  조회:4102  추천:116  작성자: admin
칼럼니스트 차한필/한겨레신문 기자, 중국동포 전문가

지난해 북경에서 열린 한 모임에서 중국동포 김철 원로시인은 현재 중국동포의 처지를 ‘끈 떨어진 연’으로 표현해 참석한 사람들의 공감을 불렀다.

중국동포가 한-중 수교 이전에는 중국으로부터 아주 신임(?)받는 소수민족으로 중앙정부를 비롯해 자치주 등 각 정부와 기관의 주요 자리를 많이 차지했으나 한중수교 이후 여러가지 사정으로 중국에서의 입지가 좁혀지고 있지않나 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돈을 벌 기회를 잡아 어렵게 한국에 나간 수많은 중국동포는 같은 민족임에도 차별과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불법체류를 하고 있어 결국 지금의 중국동포는 한국과 중국 모두에게 푸대접을 받는 ‘끈 떨어진 연’ 같은 존재가 됐다는 것이다.

<조선족대개조론>이라는 책을 펴낸 작가 김문학씨는 중국동포의 의식문화를 이솝우화에 나오는 ‘박쥐형’에 빗대 설명하고 있다.

박쥐 한 마리가 그만 발을 헛디뎌 땅에 떨어져 쥐들한테 붙잡혀 죽을 위험에 빠지자 박쥐는 나도 쥐라는 주장을 펴 위기를 모면한다. 그러다 박쥐는 불행하게 또 땅에 떨어졌는데 이번에는 새들에게 잡아먹힐 지경이 되자 자신은 날개가 있어서 새와 같은 종족이라고 주장하며 다시한번 목숨을 구하게 된다.

김씨는 이 우화가 주는 파생적 의미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지만 중국동포 문화를 들여다보는 듯해 ‘박쥐형 문화’라고 이름붙였다. 또 그는 중국동포 문화는 땅에 꽂으면 그자리에 쉽게 뿌리내리는 버드나무처럼 뿌리옅은 천근성 문화에 속한다고 말한다. 이는 중국 사회체제로 인해 자발적으로 또는 부득이하게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투쟁 속에서 자신의 문화에 대해 돌볼 겨를이 없었고, 그런 이데올로기의 절대적 우세 속에서 문화에 대해서 잊고 있었던 탓이라고 설명한다.

다시말해 중국동포는 국적은 중국이지만, 문화는 한민족 문화 속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막상 한국 문화와 한국인을 대할 때 중국동포는 중국인의 시각에서 바라본다. 이런 모습이 바로 박쥐의 전형적인 생태와 닮았고, 버드나무 같은 천근성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김철 시인이 말한 ‘끈 떨어진 연’이라는 말도 일리는 있다. 하지만 그 주장의 근저에 ‘박쥐형 문화’나 ‘천근성 문화’가 깔려있지 않은지 생각해볼 일이다.

왜 중국동포가 지난 몇십년 전보다 중국 안에서의 위치가 점점 좁아지는가를 한국이라는 외부변수에 핑계대지 말고 중국동포 사회 내부에서 찾아봐야 한다. 이른바 중국동포 영도들이 민족의 발전보다 자신의 출세만을 더 중시했기 때문은 아닌지, 나아가 민족이라는 명분을 팔아 제 잇속 챙기기에 더 바쁘지 않았는지 따져봐야 한다.

그래서 푸대접을 받는다고 한탄만 할 게 아니라 중국동포가 똘똘 뭉쳐 민족을 먼저 챙기고 그 누구도 무시하지 못할 ‘실력’을 키워내고 당당히 요구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할 일이다.

이 일을 위해서는 당연히 민족의 지식인이 앞장서야 한다. 당 간부나 영도들은 말할 것도 없고 교육자, 문인, 언론인, 대학생이 함께 나서야 한다. 그렇지 않고 남을 탓하면서 한탄만 해서는 더이상의 미래가 없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1 ]

Total : 4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0 한가위 보름달 만들 ‘반달 송편’을 빚자 2006-09-20 91 6245
39 ‘끈 떨어진 연’과 ‘박쥐형 문화’ 2006-01-21 116 4102
38 감정은행계좌 채우기 2005-12-22 70 6149
37 김진길 연변조선족자치주 주장께 2005-12-02 82 4520
36 자기부정을 통한 승화가 필요한 연변 2005-11-30 55 4330
35 연변, 우리 민족의 '디아스포라' 2005-11-23 70 4414
34 민족언론이 살아있는 길림 한겨레 2005-11-16 50 4105
33 '불문율' 넘어선 요녕 한겨레 2005-11-12 74 4180
32 우리말글 교육은 민족교육의 핵심 2005-10-27 62 4040
31 한겨레 사회의 ‘레드오션’과 ‘블루오션’ 2005-10-20 84 4566
30 겨레 위해 일할 사람이 필요한 때 2005-10-13 59 4008
29 성공적인 민족의 ‘모내기’ 2005-10-04 51 4383
28 산동 한겨레 사회의 ‘뿌리내리기’ 2005-09-27 67 4445
27 공존지수(NQ) 높여가는 룽바이 코리아타운 2005-09-14 57 4665
26 ‘귤’로 변한 광동 한겨레 사회 2005-09-11 55 4061
25 형상기억합금과 중국 한겨레 2005-08-23 63 4387
24 불신을 극복한 프시케의 사랑 2005-08-17 73 4302
23 윈-윈과 시너지 효과 2005-08-11 64 4180
22 학생이여, 주류사회에 뛰어들라 2005-08-02 110 6048
21 민족 의식 일깨우는 ‘깨달음’ 2005-07-27 48 4172
‹처음  이전 1 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