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곽말약, 그 배후...
2015년 04월 03일 20시 54분  조회:5742  추천:0  작성자: 죽림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곽말약은 처와 다섯 자녀를 일본에 두고 중국으로 돌아가 항일 전쟁에 참여한다. 7월25일 새벽 4시반, 그는 잠자리에서 일어나 서제에 가서 처와 아이들에게 남기는 글을 썼다. 침실로 돌아오니, 처는 이미 깨어 있었고, 베개머리에 기대어 책을 읽고 있었다. 아이들은 모두 깊이 잠들어 있었다. 그는 처의 앞이마에 키스를 하였지만 처는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시선은 그대로 책페이지에 머물러 있었다. 곽말약은 방문을 나서, 여름 밤의 시원한 새벽 공기를 마시며 전철역으로 서둘러 걸어갔다. 그 전날 밤, 처는 곽말약의 의사를 이해하고 있었으나 남편에게 경계의 말을 당부하였다: ‘당신이 가는 것은 좋다. 다만 당신의 성격은 불안정하고 어디에 잘 빠지기 쉽다. 다만 당신은 사람으로서 성실하게 살면 된다. 여기에 있는 내가 설사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잘 견디어 내겠다’. 이 새벽 이별이 그들의 인생에 거대한 변화를 가져올 줄이야 누가 알았겠는가? 

안나는 곽말약의 일본인 처 사토우 토미코(佐藤富子)의 중국명이다. 안나는 1895년 미야기(宮城)현 센다이(仙台)에서 기독교 목사 가정에 태어났다. 안나는 기독교학교를 졸업한 다음 1916년 동경 성누가병원에 간호원으로 일하고 있을 때 중국인유학생 곽말약을 처음 만나게 된다. 당시 곽말약은 오카야마(岡山) 제6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었으며, 심한 불면증을 앓고 있었다. 곽약말은 심신양면으로 매우 쇠약하였을 때, 그는 안나를 만나, 새로운 생명을 얻었다. 곽은 안나의 얼굴에서 ‘불가사의한 순결한 빛’을 보았다고 한다. 두 사람의 관계는 급속하게 발전하였다. 안나는 간호원의 일을 그만두고 오카야마로 가서 곽말약과 정식으로 동거하게 된다. 1917년, 안나는 동경의 이치가야(川谷)여자의학교에 입학하였지만, 곧 자기가 임신한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 학교를 한 달도 다니지 못하고 퇴학하였다. 안나라는 이름은 다른 사람의 이목을 피하기 위해 이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두 사람은 서로 형제 자매로 호칭하기로 한 것이다. 안나의 집에서는 그가 중국인 유학생과 동거한다는 이유로 그녀를 호적에서 제거해 버렸다.

1923년 곽말약이 규슈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일가 5인을 데리고 상해로 귀국하였다. 상해에서 곽말약은 문학활동, 정치운동에 뛰어들어 수입이 거의 없었고, 안나와 3인의 자녀들은 천신만고의 고생을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안나는 자신이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자녀 셋을 데리고 일본으로 귀국하여 몇 개월 동안 산부인과 실습을 해서 다시 상해에 돌아와 생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곽말약 등이 발행하던 잡지들도 모두 폐간하게 되어 곽도 그 이듬에 일본으로 다시 돌아왔다. 1924년 말에는 광동대학에서 초빙을 받아 다시 가족을 데리고 상하이에 갔다. 1928년 북벌이 실패로 돌아가자 곽일가는 일본으로 돌아와 동경교외의 이치가와(市川) 에 정주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곽은 중국 고대사연구에 몰두하게 된다. 

곽말약에게 있어서 안나는 첫사랑도 첫 결혼도 아니었다. 곽은 1892년 사천성 낙산현에서 태어나, 10살 전후에 이미 부모들이 그의 결혼 상대를 정해 놓았다. 그러나 그 상대가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다. 1912년 20세 되던 해에는 부모들이 장씨 가문의 장경화와 결혼을 시켜주었다. 매파가 속임수에 놀아나 마치 ‘흰 고양이를 사온 줄 알았는데 집에 와서 포대를 열어보니 검은 고양이’와 같은 것이었다고 한다. 그는 결혼 5일째 되는 날 成都로 공부하려 나와 26년이 지난 1939년에야 다시 고향을 방문하게 된다. 또 성도에서 고등소학교에 다닐 때 곽말약은 동성애에 빠졌다. 후일 그는 ‘연애보다 더 엄숙한’ 것이였다고 자인하였다. 

곽말약이 항일전선에 참가하기 위해 중국으로 떠난 다음 안나의 생활은 매우 어려웠고, 여러 가지 육체노동을 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연일 경찰이 찾아와, 그녀를 괴롭혔고, 그 때를 연옥과 같은 생활이었다고 회고하였다. 그럼에도 착실하게 다섯 자녀들을 잘 양육하였다. 안나는 자식들을 일본 국적으로 바꾸라는 주위의 요구를 완강하게 물리쳤다. 언젠가는 이 자녀들을 데리고 남편 곁에 가서 일가 단란의 생활을 할 때가 올 것으로 굳게 믿고 있었다. 

한편 낭만주의자 시인 곽말약은 가는 곳마다 새로운 연인이 생겼다. 1927년 북벌 전쟁 시에도 같이 종군하였던 안림(安琳) 이라는 전우와 사랑에 빠졌다. 그가 이질에 걸렸을 때 정성스럽게 간호해 회복시켜 준 것도 안림이었다. 그리고 그가 일본을 떠나 1937년7월 중국에 도착하자 위리췬(于立群) 이라는 영화배우와 만나게 된다. 그는 막 21세가 된 위리췬과 사랑에 빠졌다. 그 후 위리췬은 40년 이상 곽말약의 여생의 동반자가 되었다. 

1948년 봄 전쟁이 끝나고 안나는 신문지상을 통해서 곽말약이 중국에서 여전히 살아 활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녀는 이 소식을 접하고 자녀들을 대동하고 짐을 싸서 타이완, 홍콩을 경유해서 중국 본토에 들어갔다. 중국으로 들어가는 배를 타기 직전 기자들의 질문에 이렇게 답하였다. ‘전쟁이 터진 다음 나는 지금까지 계속 ‘적국의 아내’로 간주되었고, ‘나라는 판 도적’이라고 불리웠다. 나의 생활이 어떠했던가는 가히 상상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애간장을 태우던 11년을 지난 지금 이제 남편 옆으로 간다고 생각하니 지금까지 쌓였던 근심 걱정이 마치 구름과 연기가 사라지듯 없어졌다.’고 감격스럽게 말하였다. 

안나가 북경 곽말약의 집에 도착하니 곽은 돌연 나타난 안나 앞에서 한편 놀라기도 하고 한편 기쁘기도 하였다. 11년이 지났으니 안나는 이미 늙었고, 얼굴에는 생활고를 반영하듯 적지 않는 주름이 있었다. 검은 머리는 나이에 비해 빠르게 흰머리가 많아졌다. 안나는 만면에 눈물을 흘리었다. 정신을 차려보니 남편 주위에는 낮 설은 젊은 여자가 한 사람 있었고, 다섯 아이들이 한 줄로 서 있었다. 안나는 이제야 사정을 알 수 있었다. 11년 전 헤어 질 때 남편에 대해 걱정하던 일이 적중한 것이다. 진퇴양난의 선택에 직면한 안나는 어떻게 해야 할 지를 몰랐다.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끝에 안나의 기독교 신앙은 그로 하여금 자기 희생의 결정을 내리도록 하였다. 안나는 곽말약을 집을 떠나 친구의 도움으로 대련(大連)으로 가서 정주하게 되였다. 안나는 그 후 중국 국적을 취득하고, 그 이름은 곽안나로 하였다. 안나는 몇 사람의 친한 친구들을 제외하고는 평소 다른 사람들과 왕래를 하지 않았으며 일체의 사회 활동, 기자들의 탐방을 거절하였다. 

한편 사천성에서 최초로 결혼식을 올린 장경화는 곽말약이 떠난 후에도 계속 곽의 부모를 정성껏 모시었다. 1939년 곽이 금의환향하였을 때 그는 아버지에게 무릎을 꿇어 앉아 불효를 용서해달라고 말하며 소리 내어 눈물을 흘렸을 때 아버지는 곽의 원처 장경화을 앞에 세워놓고 ‘너는 처에게도 무릎을 꿇어야 한다. 30년 동안 그녀는 불효자식 너를 대신하여 두 노인을 섬겼다.’고 말하였다. 부친이 서거하였을 때, 곽말약과 위리췬은 다시 고향을 방문하게 되었다. 장경화는 자기의 침실을 비워, 곽과 위리췬이 사용하도록 하였다. 장경화는 매년 북경의 곽댁에 남편이 좋아한다는 사천성 특산의 절임야채와 두반장을 보내왔다. 곽말약은 인생에서 가장 어려울 때에는 안나에게 의지하였으나, 해방후의 영화로운 삶을 안나와 함께 향유하지 못하였다. 그 영화로운 시절에 함께 한 것은 위리췬이었다. 곽말약은 항상 때와 장소에 따라 사랑의 상대를 바꾸었지만, 그의 아내들은 결코 남편을 바꾸지 않았다.

1974년 가을 안나는 남편이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딸과 함께 대련에서 북경으로 향했다. 병실에서 80을 넘긴 두 노인이 마지막으로 만났다. 안나는 최근 일본에서 가져온 이치가와의 구옥의 집 사진을 보여주었다. 이것이 두 노인의 최후의 상봉이었다. 

1978년 6월12일 곽말약이 서거하였다. 위리췬과 장경화는 각각 1979년과 1981년이 서거하였다. 안나는 1983년 중국정부로부터 중일우호관계에 공헌했다는 공적으로 제1차 아시아아프리카 평화상을 받았고, 동년 전국정치협상위원회의 위원으로 피선되었다. 그리고 1994년 8월15일 곽안나는 서거하였다. 향년 101세.

곽말약 고가의 전시실에는 안나와 그 일가가 일본에서 함께 찍은 사진 한 장이 전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어디에도 장경화의 사진은 보이지 않았다. 우리는 혁명이라는 남성 중심의 일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남자들의 배후에서 바쳐진 여성들의 헌신과 희생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3 안중근 / 동서양의 력사를 바꾼 권총 2015-04-04 0 7133
152 안중근 / 권총 / 탄알 2015-04-04 0 5448
151 곽말약, 그 배후... 2015-04-03 0 5742
150 백두산 화산 력사와 개념도 2015-04-03 0 6361
149 갑골문 / 곽말약 2015-04-02 0 4811
148 눈보건 전신 지압법 2015-04-02 0 6923
147 그때에도 역시 그랬지... 2015-04-01 0 4659
146 한반도 종교의 력사 2015-03-30 0 4346
145 연변작가협회 <공로상> 2015-03-30 0 4408
144 전라남도 광주 정률성 고향에서ㅡ 2015-03-30 0 4381
143 그때 그때 저랬던가ㅠ... 2015-03-30 0 4793
142 그때 그때 이랬던가ㅠ... 2015-03-30 0 5076
141 수석(壽石) 용어 2015-03-29 1 6888
140 추상화란?... 2015-03-29 0 6589
139 안중근의사 유언, 어머니의 편지 2015-03-28 0 6131
138 샹송이란? 2015-03-21 0 4906
137 두만강을 따라... 2015-03-17 0 5379
136 자랑스러운 고향사람 2015-03-17 0 4836
135 그 어느 한때는,ㅡㅡㅡ 2015-03-15 0 5280
134 <<그 어느 한때에는 그럴사한 일도 있었따아임껴...>>ㅡ한국 교보문고 서점 시집 홍보 2015-03-15 0 5515
133 껍데기는 가거라... 2015-03-15 0 4652
132 연변 사투리 (ㅇ) 2015-03-15 1 5265
131 유형문화재 보호하기!!! 2015-03-14 0 5370
130 재 복습하는 명언 모음 2015-03-08 0 6007
129 순 우리 말 어원을 찾아... 2015-03-08 0 4825
128 아빠, 엄마 어원 2015-03-08 1 4460
127 가장 아름다운 순 한글 말 2015-03-08 0 4994
126 순 한글 말 - <시나브로>의 뜻은? 2015-03-08 0 5798
125 아버지 어원 2015-03-07 0 4978
124 괴테 명언 모음 2015-03-07 0 5460
123 숫자로 살펴본 노벨상 110년 2015-03-05 0 4379
122 세계 문학 명저 100선 2015-03-04 1 7229
121 동의보감 67가지 2015-03-04 0 6112
120 책읽기 열가지 방법 2015-03-04 0 4034
119 생활지혜 2015-02-24 0 4659
118 보지 말가 볼가... 2015-02-24 0 4679
117 볼가 보지 말가... 2015-02-24 0 5201
116 잊혀진 어원찾기 11 2015-02-24 0 5929
115 잊혀진 어원찾기 10 2015-02-24 0 5448
114 잊혀진 어원찾기 9 2015-02-24 0 4880
‹처음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