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다시 보는 李箱
2015년 08월 15일 04시 27분  조회:5307  추천:0  작성자: 죽림

김해경은 이상인데, 여기서 '이상'은 지정된 한자가 있지만 쓰지 않기로 하자.

그는 1910년, 대동아 공영이라는 예쁜 이데올로기로 무장한 일본이 조선을 정식으로 식민통치하겠다고 계약을 한 그 해에 태어나, 고작 스물 일곱해를 살고 뭔가 있을 줄 알고 갔지만 서구 흉내나 내는 비속한 물건이라고 했던 그 일본땅에서 햇볕없는 싸구려 셋방과 감옥과 병원을 전전하다 폐결핵으로 세상을 뜬 남자다. 작가로는 이상한 시와 소설를 써서 독자들의 항의와 협박으로 연재를 할 수 없었고 화가로는 꼬맹이 때부터 그림에 특출난 재능을 보였고 잡지 표지를 '근대적인' 그렸으나 따로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식민지 열등 민족의 족속인 그가 일본 사람들에게도 선망이었던 공업학교를 들어가 수석으로 졸업하고 식민을 총괄하는 총독부에 엘리트 건축기사로 직행한 것은 건축가였던 그의 재능이 빛나서였다. 그러나 그는 그 길을 따라 살지 않았다. (못했다라고 나는 쓰고 싶지만, 니 주제를 알아라, 하고는 않았다라고만 쓴다.)

 

오늘 저녁에 할 강연에 몇 컷을 넣기로 하고 이상의 시집을 빌려 일부만 보았다. 오늘도 비가 추적추적 오니, 감상을 섞어 말하면 20년만의 짧은 만남이랄까, 그렇다. 

 

 

이런저런 연구자들이 모여서 엮은 전집 중에서 시집을 빌려 왔으나 읽기는 어려워서 그냥 보았다. '읽을' 수 없어서 못 읽었다.   예를들면, 이런 거.

 

150518-li-sang-3.jpg

 

왼쪽은 <선에 대한 각서> 연작시 중 2이다. 이걸 어떻게 '읽느냐' 말이다.

어떤 환자의 용태에 관한 문제

일이삼사오륙칠팔구음

일이삼사오륙칠팔음구

일이삼사오륙칠음팔구

....

이렇게 읽을까, 아니면 그가 처음에 썼던 일본어로 읽을까. 게다가 오른쪽은 몇 년 뒤 <오감도> 연작시 중 4이다. 이미 썼던 것을 나중에 '뒤집어' 다시 썼다.  이것은 더 '읽기' 어렵다.

 

그래서 봤다.

 

이상이 나온 경성고등공업학교는 지금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전신이다. 이상이 식민지 열등인으로 거기를 뚫고 들어가 최우수로 졸업한 데에는 수학적인 재능이 별났을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런 이상이 수학 기호들을 시의 용어로 채용한 것은 어찌보면 그다지 이상할 것은 없어 보인다. 그러나 그래도 수학 기호를 시 기호로 적용한 것은 매우 특별하다. 시를 좋아하고 시를 썼던 유명한 수학자 중에 수학 기호를 시 기호로 한 사람은, 내가 알기로는, 매우 드물다.

 

 

아무튼, 위에 나온 저런 이상의 이싱한 시는 당연히 무수한 해석들의 표적이 되었다. 70년대 초 수학교수 한 분은, 수학 천재가 되었을지도 모르는 상, 이라고 짠한 얼굴로 보태서 해석하고 칭송하였고 90년대 말 수학 교수 한분은 수학을 합리주의의 총아로 삼아 근대 문명에 대한 비판이라고 보았다. 그런가 하면 장관직을 지낸 문학 교수는 그러지 말고 순수하게 기호로 보자고 하였고 내가 읽지 못한 다른 글들에는 저자마다 그들이 삶의 무기로 삼고 있는 것으로 cut하여 단면을 보여준다.

 

김해경이자 이상인 이 남자는 여자들을 전전하였다. 실제 생활이 그랬다고 보이지는 않으나 그가 지은 소설로만 보면 얻어 맞고 살았던 것은 아닐까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혹시 모르지만, 나는, 안 그랬겠지 한다. 방구석을 뒹굴뒹굴 장말 그랬을까. 인정받지 못하는 시대에 재능이란 오히려 독이었을까, 이런 실험 저런 실험... 삶은 잘 모르겠지만 생활은 얻지 못했다,아닐까.

 

지금도 있나, 몇십년 전에 프랑스에서 똑똑한(?) 젊은이들이 모여 문학실험 집단을 만들어 헤집고 다녔던 적이 있다. 그들은 주로 수학자나 물리학자들이었는데, 이상처럼 이상한 시를 쓰거나 기계가 시를 쓰도록 하기도 하였다. (기계가 쓴 시라면 앨런 튜링이 그들의 의젓한 선배이시다. 먼 훗날 인조인간의 시대가 오면 '그들'은 이들을 아브라함으로 드높일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이상의 이상한 시와 이들의 이상한 시는 분명히 선을 그어야 할 것 같다. 그 선이 무엇인지, 무슨 색깔과 형태로 얼마나 선명하게 그어야 하는지는 알 수 없고 양쪽을 다 모르니 근거도 희박하지만 어쩐지 그럴 것 같다. 그래야 할 것  같다.

 

 

흠.

이상한 글을 썼군. 컴퓨터를 켤 때만 해도... 이 글을 쓸 참이 아니었는데... 입만 아프고 머리만 멍해지는 말을 왜 할까 도대체?

 

어느새 비가 제법 온다. 오늘 강연장은 대중 교통수단이 안 좋았는데. 흠.

 

이제 강연 준비 몇 시간 해야겠다. 같은 내용으로 세번째 하는 것인데, 할 때마다 바뀌었다. 두번째 할 때보다 프레젠테이션 40페이지를 덜어냈는데 60페이지가 늘었다. 지금부터 두시간 동안 50페이지 줄이기를 목표로 한다. 절대, 한 페이지도 늘리지 않겠다고, 주먹을 불끈 쥐었다. 과연 될까? 일부러 강연 준비를 구석으로 몰아서 최대한 적게 하도록 했다. 내 생활의 기본 선을 지키도록. 그러나 그렇게 몰아세웠는데도, 컴퓨터 조작 시간만 최소 10시간은 되었다. 이제 이제는 그만.

 

 

====

 

이상 김해경은 좀 특별해 보이는 저 남자고, 옆?뒤?는 문학과 예술의 동지 박태원

 

Isang_01.jpg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42 과소평가 된 시인과 과대평가 된 시인 2016-01-05 0 3707
841 시는 시인의 령혼 2016-01-05 0 3527
840 시읽는 방법 2016-01-05 0 3324
839 아버지는 영웅 /// 영웅을 낳는 어머니 2016-01-05 0 3434
838 시인 김억과 그리고 등 등... 2016-01-04 0 5876
837 현대시 100년, 시인 166명, 시 700편 - 기념시집 2016-01-03 0 4178
836 시에서 이미지만들기 2016-01-03 0 3604
835 난해시와 초현실주의의 교주 - 조향시인 2016-01-03 0 5047
834 충동적으로 쓰고마는 詩는 아마추어들이 하는 짓 2016-01-03 0 3807
833 시에서 아방가르드를 꿈꾸는 시인은 고독자 2016-01-03 0 3615
832 천재 시인 李箱과 조선족 소설가, 시인 金革 2016-01-02 0 4163
831 超現實主義 = 超自然主義 2016-01-02 0 3526
830 캐나다시인들은 시를 어떻게 쓸가... 2016-01-02 0 3784
829 모든 것 없는 것, 없는 것 모든 것... 2016-01-02 0 3635
828 미래파의 형성 2016-01-02 0 4385
827 어느 할아버지 시평 - 김춘수 "꽃", 존재론적에 머문 詩 2016-01-02 0 3792
826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2016-01-02 0 5478
825 "거시기" 세글자면 모든 것 통하는 것... 2016-01-02 0 3793
824 난해시와 김지하 2016-01-02 0 3630
823 산문시(散文詩)와 그 례... 2016-01-02 0 3356
822 詩史에서의 미래파시인 2016-01-02 0 4487
821 해체시와 박남철, 황지우 /// 시적허용 2016-01-02 0 3765
82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공예디자인론 2016-01-02 0 3569
819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공통점과 차이점 2016-01-02 0 4088
818 포스트모더니즘과 니체 2016-01-02 0 3573
817 난해시와 보들레르 2016-01-02 0 3759
816 난해시를 읽는법 2016-01-01 0 5743
815 왕초보 시짓기에서의 비법 2016-01-01 0 3697
814 난해시의 원조 - 산해경 2016-01-01 0 3239
813 난해시와 목장의 목동 2016-01-01 0 3064
812 난해시와 오세영 2016-01-01 0 3161
811 난해시와 김수영 2016-01-01 1 3438
810 난해시와 김춘수 2016-01-01 0 3783
809 난해시와 조영남가수 2015-12-31 0 3633
808 난해성과 현대성 2015-12-31 0 3728
807 난해시와 어설픈 평론 / 나와 나도 난해시가 좋다... 2015-12-31 0 3581
806 난해시와 신경림 2015-12-31 0 3938
805 난해시와 李箱 2015-12-31 0 3959
804 詩의 넋두리 2015-12-31 1 3661
803 詩는 시인의 눈에 비친 그림 2015-12-31 0 3067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