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6월 2024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29
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시인 지구촌

詩에서 체험의 진실성
2016년 01월 10일 02시 45분  조회:3966  추천:0  작성자: 죽림

2. '감동'을 주는 시

▣ 신춘문예 당선작 중 독자에게 깊은 감동을 준 시로 곽재구의 [사평역에서]를 흔히 꼽습니다.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 이 자리에서는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영산포]를 감상해볼까 합니다.

 

영산포 [전문]

 

                        나해철

 

1

배가 들어

멸치젓 향내에

읍내의 바람이 달디달 때

누님은 영산포를 떠나며

울었다.

 

가난은 강물 곁에 누워

늘 같이 흐르고

개나리꽃처럼 여윈 누님과 나는

청무우를 먹으며

강둑에 잡풀로 넘어지곤 했지.

 

빈손의 설움 속에

어머니는 묻히시고

열여섯 나이로

토종개처럼 열심이던 누님은

호남선을 오르며 울었다.

 

강물이 되는 숨죽인 슬픔

강으로 오는 눈물의 소금기는 쌓여

강심을 높이고

황시리젓배는 곧 들지 않았다.

 

포구가 막히고부터

누님은 입술과 살을 팔았을까

천한 몸의 아픔, 그 부끄럽지 않은 죄가

그리운 고향, 꿈의 하행선을 막았을까

누님은 오지 않았다.

잔칫날도 큰집의 제삿날도

누님 이야기를 꺼내는 사람은 없었다.

 

들은 비워지고

강은 바람으로 들어찰 때

갈꽃이 쓰러진 젖은 창의

얼굴이었지/십년 세월에 살며시 아버님을 뵙고

오래도록 소리 죽일 때

누님은 그냥 강물로 흐르는 것

같았지.

 

버려진 선창을 바라보며

누님은

남자와 살다가 그만 멀어졌다고

말했지.

 

갈꽃이 쓰러진 얼굴로

영산강을 걷다가 누님은

어둠에 그냥 강물이 되었지.

강물이 되어 호남선을 오르며

파도처럼 산불처럼

흐느끼며 울었지.

 

2

개산 큰집의 쥐똥바퀴새는

뒷산 깊숙이에 가서 운다.

병호 형님의 닭들은

병들어 넘어지고

술 취한 형님은

강물을 보러 아망바위를 오른다

배가 들지 않는 강은

상류와 하류의 슬픔이 모여

은빛으로 한 사람 눈시울을 흐르고

노을 속에 雲谷里를 적신다.

冷山에 누운 아버님은

물결 소리로 말씀하시고

돌절벽 끝에서 형님은

잠들지 않기 위해 잡풀처럼

바람에 흔들린다.

어머님 南平아짐은 마른 밭에서

돌아오셨을까,

귀를 적시는 강물 소리에

늦은 치마품을 움켜잡으셨을까,

그늘이 내린 九津浦/형님은 아버님을 만나 오래 기쁘고

먼발치에서

어머님은 숨죽여 어둠에

엎드린다.

 

 

▣ 이 시의 강점은 체험의 진실성입니다.

 ◦ 경기가 제법 좋았던 영산포가 근대화 과정에서 낙후되고 마는데, 한 가족이 그 여파로 절대빈곤에 노출되면서 몰락하고 맙니다.

  - 특히 화자의 누님은 몸을 파는 신세로 전락하고(1번),

  - 다른 식구들도 죄다 비극적인 상황에 봉착합니다(2번).

 

 ◦ 참담한 현실상황을 들려주면서도 이 시는 시종일관 서정성을 잃지 않고 있습니다.

  - 한 가족의 비극이 잔잔하게 기술됨으로써 비극성이 더욱 강하게 드러납니다.

  - 특히 2번 시에는 많은 지명이 제시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이 시의 구체성은 더욱 두드러집니다.

  - 시의 내용은 어느 일가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산업화 시대였던 60년대와 70년대를 통과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 그 시절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농촌이나 어촌에서 살아갈 수가 없어 이농의 대열에 섰습니다.

  - 도시에 와서 산동네 주민이 되어 살길을 찾았지만 허기는 여전합니다.

  - 농촌사회에서는 그나마 가족공동체를 이루고 살았는데 도시에 나와서는 이산가족이 되고 말았습니다.

  - 가족이 몇 년에 한 번 볼까 말까한 관계가 되고 만 것이 더 큰 비극일 수 있습니다.

  - 남자는 노동판에 가서 일용직 노무자라도 할 수 있었지만 여자는 그 시절에 공장 노동자가 아니면 버스 차장, 그도 아니면 직업여성이라도 되어 살길을 찾아야 했었지요.

 

 ◦ 이 시는 가족사와 사회사가 함께 다뤄지고 있으며, '체험의 진실성'에 서정성과 비극성이 보태져 진한 감동을 주기에 모자람이 없습니다.

  - 이 시를 쓴 나해철 시인은 전남의대를 나와 지금은 서울 강남에서 성형외과 의사를 하고 있습니다.

  - 보통 얼굴의 여성을 미모의 여성으로 탈바꿈시키는 재주를 지닌 의사 시인이기에 많은 수입을 올리고 있을지 모르지요.

 

 ◦ 하지만 시인의 직업이 무엇이든 간에, 연간 수입이 얼마인지 간에, 그 사실로 인해 이 시가 지닌 체험의 진실성이 흔들릴 수는 없습니다.

  - 자기 자신의 체험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시인은 이웃 혹은 일가친척 중 누군가의 체험을 진솔하게 묘사해 냈기 때문입니다.

  - 1993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당선자는 제 후배여서 시 창작의 내밀한 부분을 잘 알고 있습니다.

 

-------------------------------------------

 

43. 청명 / 정희성

 

 

 

 

 

44. 시를 찾아서 / 정희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162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42 력사속의 시인 모윤숙... 2016-01-31 0 3706
1041 력사속의 시인 노천명... 2016-01-31 0 4451
1040 詩는 언어를 통해 언어의 구속에서 벗어나야... 2016-01-31 0 4790
1039 예쁜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1-31 0 5078
1038 詩의 재료는 바로 시인 자신 2016-01-31 0 5892
1037 詩씨기에서 동심적 발상을 하라 2016-01-31 0 4031
1036 詩쓰기에서 고정관념 깨고 상상의 날개를 활짝... 2016-01-31 0 3889
1035 독서광 - 책벌레 - 1억1만3천번 읽다... 2016-01-26 0 4044
1034 문덕수시론 2016-01-22 0 4849
1033 詩를 왜 사랑하는가?! 2016-01-22 0 3932
1032 (자료) 중국조선족문학 개요 2016-01-22 0 4278
1031 잊혀진, 잊지말아야 할 조선족천재시인 - 주선우 2016-01-22 0 4449
1030 건국후, 조선족시인으로서 첫 개인시집 출판한 주선우 2016-01-22 0 4486
1029 詩의 시대, 詩의 위기, 詩의 소멸... 2016-01-21 0 4738
1028 詩와 함께 평생을 살기로... 2016-01-21 0 5156
1027 詩는 언어로 짓는 寺院 2016-01-21 0 4938
1026 '2016 신춘문예 童詩 당선작 2016-01-21 0 3713
1025 (자료) - 현대시 흐름 2016-01-21 0 4379
1024 詩를 주문제작해 드리는 시대가 왔다... 2016-01-21 0 3836
1023 윤동주 시인을 좋아하는 리유?- 2016-01-21 0 4298
1022 문학을 기존안에 가두려는것 폭력? 전통시는 死亡? 2016-01-21 0 3450
1021 <론쟁> = 시인는 언어질서 파괴자? / 극단적 "미래파 시"는 사기? 2016-01-21 0 3433
1020 시문학의 현주소? / 오감도! 육감도? 2016-01-21 0 3817
1019 이상한 시나라에서 이상한 시인모임 2016-01-21 0 3542
1018 김철호 詩評/ 최삼룡 ... 김철호론/ 김만석... 2016-01-20 0 3800
1017 시에 안부를 묻다... 김영건 시인 2016-01-20 0 3516
1016 미래파 = 전위예술운동 2016-01-20 0 3471
1015 사전에 없는 말, 장난처럼 꺼낸 말... 2016-01-20 0 3702
1014 <<서정시파>>냐?! <<미래파>>냐!?... 2016-01-20 0 3313
1013 미래파시와 미래파시인은 미래가 있을가... 2016-01-20 0 4169
1012 詩밖의 詩의 낯선 세계에로 들어가 보다... 2016-01-19 0 3774
1011 왜 미래파?... 시, 시인, 독자... 2016-01-19 1 5540
1010 詩를 보면 詩人을 알것 같은, -시의 문을 두드려라... 2016-01-19 1 3750
1009 미래파 시인들과 다시 보는 李箱, 그리고 白石 2016-01-19 0 3763
1008 시, 시인, 그리고 그 가족들 - 이육사시인 형제들 2016-01-18 0 6369
1007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형은 시인, 동생 둘 中 한사람은 소설가, 다른 한사람은 극작가... 2016-01-18 0 5527
1006 시다운 詩, 시인다운 詩人을 찾아보기... 2016-01-17 0 3993
1005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이은상 시인 2016-01-15 0 8872
1004 시의 구석진 곳에서 시인을 만나다 - 황지우 시인 2016-01-14 0 4248
1003 민요詩, 詩人, 讀者... 2016-01-14 0 7851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