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0월 2024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에서 체험의 진실성
2016년 01월 10일 02시 45분  조회:4343  추천:0  작성자: 죽림

2. '감동'을 주는 시

▣ 신춘문예 당선작 중 독자에게 깊은 감동을 준 시로 곽재구의 [사평역에서]를 흔히 꼽습니다. 워낙 유명한 작품이라 이 자리에서는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영산포]를 감상해볼까 합니다.

 

영산포 [전문]

 

                        나해철

 

1

배가 들어

멸치젓 향내에

읍내의 바람이 달디달 때

누님은 영산포를 떠나며

울었다.

 

가난은 강물 곁에 누워

늘 같이 흐르고

개나리꽃처럼 여윈 누님과 나는

청무우를 먹으며

강둑에 잡풀로 넘어지곤 했지.

 

빈손의 설움 속에

어머니는 묻히시고

열여섯 나이로

토종개처럼 열심이던 누님은

호남선을 오르며 울었다.

 

강물이 되는 숨죽인 슬픔

강으로 오는 눈물의 소금기는 쌓여

강심을 높이고

황시리젓배는 곧 들지 않았다.

 

포구가 막히고부터

누님은 입술과 살을 팔았을까

천한 몸의 아픔, 그 부끄럽지 않은 죄가

그리운 고향, 꿈의 하행선을 막았을까

누님은 오지 않았다.

잔칫날도 큰집의 제삿날도

누님 이야기를 꺼내는 사람은 없었다.

 

들은 비워지고

강은 바람으로 들어찰 때

갈꽃이 쓰러진 젖은 창의

얼굴이었지/십년 세월에 살며시 아버님을 뵙고

오래도록 소리 죽일 때

누님은 그냥 강물로 흐르는 것

같았지.

 

버려진 선창을 바라보며

누님은

남자와 살다가 그만 멀어졌다고

말했지.

 

갈꽃이 쓰러진 얼굴로

영산강을 걷다가 누님은

어둠에 그냥 강물이 되었지.

강물이 되어 호남선을 오르며

파도처럼 산불처럼

흐느끼며 울었지.

 

2

개산 큰집의 쥐똥바퀴새는

뒷산 깊숙이에 가서 운다.

병호 형님의 닭들은

병들어 넘어지고

술 취한 형님은

강물을 보러 아망바위를 오른다

배가 들지 않는 강은

상류와 하류의 슬픔이 모여

은빛으로 한 사람 눈시울을 흐르고

노을 속에 雲谷里를 적신다.

冷山에 누운 아버님은

물결 소리로 말씀하시고

돌절벽 끝에서 형님은

잠들지 않기 위해 잡풀처럼

바람에 흔들린다.

어머님 南平아짐은 마른 밭에서

돌아오셨을까,

귀를 적시는 강물 소리에

늦은 치마품을 움켜잡으셨을까,

그늘이 내린 九津浦/형님은 아버님을 만나 오래 기쁘고

먼발치에서

어머님은 숨죽여 어둠에

엎드린다.

 

 

▣ 이 시의 강점은 체험의 진실성입니다.

 ◦ 경기가 제법 좋았던 영산포가 근대화 과정에서 낙후되고 마는데, 한 가족이 그 여파로 절대빈곤에 노출되면서 몰락하고 맙니다.

  - 특히 화자의 누님은 몸을 파는 신세로 전락하고(1번),

  - 다른 식구들도 죄다 비극적인 상황에 봉착합니다(2번).

 

 ◦ 참담한 현실상황을 들려주면서도 이 시는 시종일관 서정성을 잃지 않고 있습니다.

  - 한 가족의 비극이 잔잔하게 기술됨으로써 비극성이 더욱 강하게 드러납니다.

  - 특히 2번 시에는 많은 지명이 제시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이 시의 구체성은 더욱 두드러집니다.

  - 시의 내용은 어느 일가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산업화 시대였던 60년대와 70년대를 통과한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 그 시절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농촌이나 어촌에서 살아갈 수가 없어 이농의 대열에 섰습니다.

  - 도시에 와서 산동네 주민이 되어 살길을 찾았지만 허기는 여전합니다.

  - 농촌사회에서는 그나마 가족공동체를 이루고 살았는데 도시에 나와서는 이산가족이 되고 말았습니다.

  - 가족이 몇 년에 한 번 볼까 말까한 관계가 되고 만 것이 더 큰 비극일 수 있습니다.

  - 남자는 노동판에 가서 일용직 노무자라도 할 수 있었지만 여자는 그 시절에 공장 노동자가 아니면 버스 차장, 그도 아니면 직업여성이라도 되어 살길을 찾아야 했었지요.

 

 ◦ 이 시는 가족사와 사회사가 함께 다뤄지고 있으며, '체험의 진실성'에 서정성과 비극성이 보태져 진한 감동을 주기에 모자람이 없습니다.

  - 이 시를 쓴 나해철 시인은 전남의대를 나와 지금은 서울 강남에서 성형외과 의사를 하고 있습니다.

  - 보통 얼굴의 여성을 미모의 여성으로 탈바꿈시키는 재주를 지닌 의사 시인이기에 많은 수입을 올리고 있을지 모르지요.

 

 ◦ 하지만 시인의 직업이 무엇이든 간에, 연간 수입이 얼마인지 간에, 그 사실로 인해 이 시가 지닌 체험의 진실성이 흔들릴 수는 없습니다.

  - 자기 자신의 체험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시인은 이웃 혹은 일가친척 중 누군가의 체험을 진솔하게 묘사해 냈기 때문입니다.

  - 1993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당선자는 제 후배여서 시 창작의 내밀한 부분을 잘 알고 있습니다.

 

-------------------------------------------

 

43. 청명 / 정희성

 

 

 

 

 

44. 시를 찾아서 / 정희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83 풍유시로 사회를 고발한 백거이 2016-02-10 0 4087
1082 그 누구에게나 가슴속엔 詩가 가득듬뿍... 2016-02-10 0 5251
1081 묘비명 한졸가리 2016-02-10 0 4354
1080 남미주 칠레 민중시인 네루다를 다시 만나다 2016-02-09 0 3979
1079 詩人은 풍경속을 걷는 者 2016-02-08 0 4165
1078 령혼을 깨우는 천재시인의 향기 - 2천여편 : 23편 2016-02-08 0 4302
1077 <새해> 시모음 2016-02-08 0 3916
1076 <설날> 시모음 2016-02-08 0 4199
1075 동시는 童詩 2016-02-07 0 3696
1074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02-07 0 4500
1073 동시창작론 2016-02-07 1 4154
1072 동요창작론 2016-02-07 0 3681
1071 세계기행詩 쓰기 2016-02-06 0 4054
1070 소설가로만 알았던 포석 조명희, 시인으로 만나다... 2016-02-06 0 4730
1069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이용악 2016-02-06 0 4414
1068 젊은 나이에 요절한 시인 오장환을 기리며 2016-02-06 0 3939
106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오장환 2016-02-05 0 3864
1066 산문시를 확실하게 알아보기 2016-02-05 1 5046
1065 참 재미있는 산문시 2016-02-05 0 4063
1064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02-05 0 4531
1063 산문시를 아십니까... 2016-02-05 0 4375
1062 詩창작의 최고의 교과서는 詩와 詩集 2016-02-05 0 4557
1061 散文詩이냐 산문(수필)이냐 2016-02-05 0 3992
1060 산문시 쓰기전 공부하기 2016-02-05 0 4785
1059 동시야 동시야 나와 놀자... 2016-02-05 0 3952
1058 우리도 산문시 써보자... 2016-02-05 0 4502
1057 산문시를 공부하기 2016-02-05 0 4010
1056 詩와 산문시, 수필의 차이점 2016-02-05 0 4434
1055 무감각해진 詩의 하체를 톡톡 건드려봅시다 2016-02-05 0 4802
1054 散文詩에 대하여 2016-02-05 0 6042
1053 은유에 관한 보고서 2016-02-05 0 4074
1052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2-05 0 4438
1051 풍경이 곧 시인의 재산 2016-02-03 0 3980
1050 "스물여덟 삶" ㅡ 영화 "동주" 이달 18일 개봉 2016-02-03 0 4069
1049 詩의 언어운용에 관하여 2016-02-03 0 5248
1048 겁없이 쓰는 詩와 겁먹으며 씌여지는 詩 2016-02-03 0 4757
1047 태양아래 새로운 것 없다?!... 있다?!... 2016-02-03 0 4413
1046 生态詩 공부하기 2016-02-02 0 4047
1045 "생태시" 시론을 공부하고 생태시 쓰자... 2016-02-02 0 3889
1044 유교사회 조선시대 녀류시인들 2016-02-01 0 5062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