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년 02월 05일 16시 52분  조회:4730  추천:0  작성자: 죽림

 

-산문시는 영어로 'prose poem', 프랑스어로 'Poeme en prose', 독일어로 'Gedicht in Prosa'로 산문체 형식을 지닌 서정시입니다.

-정형시와 같이 명확한 운율형식은 없고 자유시와 같은 뚜렷한 리듬이 없다. 리듬은 없어도 시의 형태상 압축과 응결에 의한 시정신을 필요 조건으로 해야 한다. 형식상으로는 산문의 요소를 지녔지만 내용은 시적 제반 요소를 갖추고 리듬의 단위를 시의 행에 두기 보다 문장의 한 문단에 둔다. 자유시는 행을 나누어 구분하지만 산문시는 행을 바꾸지 않아도 시 전체의 음절과 문장에 의해 통일적으로 구성한다. 자유시나 정형시는 행에 의한 구분으로 인하여 시를 읽기 위해서는 다소 호흡의 율동이 늦게 간격을 두고 나타나기도 하지만, 산문시는 그 속도와 간격이 이어지기 때문에 거침없이 진행되어 호흡이 빠르거나 가빠질 수도 있다.

-라풍텐(Jean de La Fontaine), 루소(Jean-Jacques Rousseau), 베르트랑(Louis Bertrand)은 근대 산문시의 선구자이며, 보들레르(Charles-pierre Baudelaire)가 시집 『파리의 우울(La Spleen de Paris)』을 발표한 이래 산문시란 명칭을 썼다. 시집 서문에서 <율동과 압운은 표시되지 않지만 음악적이고, 서정성을 보인 영혼과 억양과 환상적인 파도, 의식의 도약이 적합된 유연한 산문의 기적>이라고 특질을 말하고 있다.

----------------------------------=================--------------------------

산문시는 영어로 'prose poem', 프랑스어로 'Poeme en prose', 독일어로 'Gedicht in Prosa'로 산문체 형식을 지닌 서정시를 의미합니다

 

ㅡ정형시와 같이 명확한 운율형식은 없고 자유시와 같은 뚜렷한 리듬이 없으며 리듬은 없어도 시의 형태상 압축과 응결에 의한 시정신을 필요 조건으로 해야 한다.

 

형식상으로는 산문의 요소를 지녔지만 내용은 시적 제반 요소를 갖추고 리듬의 단위를 시의 행에 두기 보다 문장의 한 문단에 둔다.

 

ㅡ자유시는 행을 나누어 구분하지만 산문시는 행을 바꾸지 않아도 시 전체의 음절과 문장에 의해 통일적으로 구성한다. 자유시나 정형시는 행에 의한 구분으로 인하여 시를 읽기 위해서는 다소 호흡의 율동이 늦게 간격을 두고 나타나기도 하지만, 산문시는 그 속도와 간격이 이어지기 때문에 거침없이 진행되어 호흡이 빠르거나 가빠질 수도 있다.

 

ㅡ라풍텐(Jean de La Fontaine), 루소(Jean-Jacques Rousseau), 베르트랑(Louis Bertrand)은 근대 산문시의 선구자이며, 보들레르(Charles-pierre Baudelaire)가 시집 『파리의 우울(La Spleen de Paris)』을 발표한 이래 산문시란 명칭을 썼다.

 

ㅡ시집 서문에서 <율동과 압운은 표시되지 않지만 음악적이고, 서정성을 보인 영혼과 억양과 환상적인 파도, 의식의 도약이 적합된 유연한 산문의 기적>이라고 특질을 말하고 있다.

 

ㅡ이후 자코브(Max Jacob), 르베르디(Pierre Reverdy), 앙드레 지드(Andre Gide), 투르게네프(Ivan Turgenev), 휘트먼(Walt Whitman)은 산문시인으로 알려졌다. 한국에서는 김억이 번역한 투르게네프의 작품 「비렁뱅이」를 『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에 게재한 것이 산문시로 처음이며, 이후에 한용운(韓龍雲)의 「임의 침묵」, 정지용의 「백록담(白鹿潭)」, 주요한(朱耀翰)의 「불놀이」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83 풍유시로 사회를 고발한 백거이 2016-02-10 0 4240
1082 그 누구에게나 가슴속엔 詩가 가득듬뿍... 2016-02-10 0 5469
1081 묘비명 한졸가리 2016-02-10 0 4590
1080 남미주 칠레 민중시인 네루다를 다시 만나다 2016-02-09 0 4225
1079 詩人은 풍경속을 걷는 者 2016-02-08 0 4380
1078 령혼을 깨우는 천재시인의 향기 - 2천여편 : 23편 2016-02-08 0 4500
1077 <새해> 시모음 2016-02-08 0 4126
1076 <설날> 시모음 2016-02-08 0 4435
1075 동시는 童詩 2016-02-07 0 3898
1074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02-07 0 4656
1073 동시창작론 2016-02-07 1 4319
1072 동요창작론 2016-02-07 0 3892
1071 세계기행詩 쓰기 2016-02-06 0 4279
1070 소설가로만 알았던 포석 조명희, 시인으로 만나다... 2016-02-06 0 4927
1069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이용악 2016-02-06 0 4637
1068 젊은 나이에 요절한 시인 오장환을 기리며 2016-02-06 0 4125
106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오장환 2016-02-05 0 4026
1066 산문시를 확실하게 알아보기 2016-02-05 1 5211
1065 참 재미있는 산문시 2016-02-05 0 4247
1064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02-05 0 4730
1063 산문시를 아십니까... 2016-02-05 0 4573
1062 詩창작의 최고의 교과서는 詩와 詩集 2016-02-05 0 4703
1061 散文詩이냐 산문(수필)이냐 2016-02-05 0 4175
1060 산문시 쓰기전 공부하기 2016-02-05 0 4933
1059 동시야 동시야 나와 놀자... 2016-02-05 0 4114
1058 우리도 산문시 써보자... 2016-02-05 0 4679
1057 산문시를 공부하기 2016-02-05 0 4157
1056 詩와 산문시, 수필의 차이점 2016-02-05 0 4607
1055 무감각해진 詩의 하체를 톡톡 건드려봅시다 2016-02-05 0 4972
1054 散文詩에 대하여 2016-02-05 0 6276
1053 은유에 관한 보고서 2016-02-05 0 4252
1052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2-05 0 4594
1051 풍경이 곧 시인의 재산 2016-02-03 0 4162
1050 "스물여덟 삶" ㅡ 영화 "동주" 이달 18일 개봉 2016-02-03 0 4237
1049 詩의 언어운용에 관하여 2016-02-03 0 5437
1048 겁없이 쓰는 詩와 겁먹으며 씌여지는 詩 2016-02-03 0 4920
1047 태양아래 새로운 것 없다?!... 있다?!... 2016-02-03 0 4605
1046 生态詩 공부하기 2016-02-02 0 4211
1045 "생태시" 시론을 공부하고 생태시 쓰자... 2016-02-02 0 4013
1044 유교사회 조선시대 녀류시인들 2016-02-01 0 5222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